View : 837 Download: 0

근대적 여성성의 구성과 훈육

Title
근대적 여성성의 구성과 훈육
Other Titles
The Construction and the Disciplining of a Modern Femininity : Focusing on the Image of Women Represented in the Korean Popular Music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uthors
이은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채현경
Abstract
Women and femininity, in many cultural texts, are represented and performed in a certain standardized way. This standardized pattern, widely dispersed in popular culture, is an evidence that there is a certain tendency in regards to representing women in cultural texts. This, in turn, indicates that women are being standardized and categorized into specific types, and the tendency to perceive women as stereotypes is strongly based on the mechanism of discrimination and hatred(Misogyny). Although the practice of representing women as stereotypes can be found in most cultural texts, music deserves special attention for it is a field in which a female performer herself has to perform the stereotyped text, conveying a verbal narrative depicting a standardized image of women, by means of a sound model which is perceived and defined as a typical female way of singing and speaking. Popular music, a medium of most powerful and vast influence, is where the double standardization of women appears most clearly. Therefore, in order to gain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pattern of manifestation of Misogyny in cultural text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how women in popular music are and have been represented as stereotypes. To discuss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popular music, the author of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Korean popular music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during which the archetype of Korea’s modern popular music was formed, to find that the popular music of Korea had a tendency to represent and perform women and femininity in a certain standardized way from the beginning. Although this tendency is most clearly revealed in verbal text, i.e. the lyrics, it is music that delivers this tendency directly and sensuously to the listeners. In other worlds, the form of representation is determined by the way in which the musical elements, such as melody, rhythm, instrumentation, and the manner of singing are combined and operated in a certain musical work. Thus, the author of this dissertation analyzes,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musical elements and verbal text, the musical tendencies of popular vocal music representing female and femininity that are written and su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first group of works analyzed here is the songs that sing about the body of women. The author of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reveal how the Korean public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perceived modern body and how literary and musical mechanisms operating in popular songs contributed to the sexual objectification and erotization of the female body. The popular music of this era shows a tendency to categorize female body as desirable or undesirable, and use specific musical gestures to admire the desirable body or mock the undesirable body. It is also discussed that the popular music of the era repeatedly reproduced the criteria of an ideal female body, and furthermore, attempted to exercise control over the female body by representing and categorizing female body as desirable and undesirable. Analyzing the second group of works, the lyrics of which deals with romantic relationships, the author discusses how certain norms that the society imposed on women, regarding personal relationships, were being reproduced through popular music of the era. When a song is based on a narrative on a woman’s pure love, the woman’s emotional expression is represented through musical excess. The manner of representation is not different in the narratives where a female subject expresses her desire for love; In order for a female subject to expresses her desire for love, she has to stress the fact that she is a young virgin and use musical devices suggesting flattery and coquetry. This specific way of representation defines female desires in a certain way and reproduces a specific manner of expressing those desires. This particular manner was accepted by the Korean societ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a norm, and female sexuality became standardized in a certain way to be accepted by both women and men as typical. Finally, through the songs reflecting the wartime situation, the author discusses how the female norms underwent a process of transformation as the impulse for imperialism became stronger than ever. The songs in which the desire for conquering Asia is represented through setting Asia as an object of feminization and consumption, reveal the fact that a double Orientalism, that is, having a double standard in regards to the Asian world, of the people of that time led to a commercialization of women. In such songs, Asia is represented as a female. It is either introduced as an uncivilized world, using music abundant with oriental traits; or represented with jazz style music to be described as an admirably Westernized part of Asia. In case of militarist popular songs produced under wartime policy, it can be found that there had been some attempts to define the role that women should take during wartime and to discipline women to accept a standard femininity. Women represented in these militarist songs are portrayed as having a motherhood to nurture the future soldiers and a pure love for her husband fighting in the war. The motherhood and pure love were the symbols of women showing loyalty to the country (in this case, Japan) just as their husbands did, and by following this norm, women were able to be recognized as a true citizen. The standard femininity described in militarist songs is represented with musical devices highlighting old values, that is, women’s pure love and the act of waiting for their men. In sum,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Korean popular music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find that these popular song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producing the norm of femininity, in which the masculine desire is projected, and disciplining both women and men to accept the standardized femininity.;이 논문은 대중문화, 특히 대중음악 전반에 걸쳐 여성에 대한 재현 방식과 여성성의 수행 방식이 정형화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문화적 텍스트에서 여성을 재현하는 방식이 일정한 경향성을 띠고 있다는 것은 여성을 특정한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정형화한다는 의미이며, 여성을 유형화된 전형으로 인식하는 것은 차별과 혐오의 기제를 기반으로 한다. 여성을 정형화된 형태로 재현하는 관행은 대부분의 문화적 텍스트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음악은 여성을 정형화하여 재현하는 언어적 서사를 음향적 전형성으로 제시하고, 여성 연행자가 정형화된 텍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여성의 발화 방식을 특정한 형태로 규정한다는 특수성을 가진다. 대중가요는 이러한 이중적 정형화가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분야이자 그 대중성을 통해 가장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매체이다. 따라서 대중가요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정형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문화적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여성혐오의 발현 양식에 대한 이해를 보다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대중가요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재현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나라 대중가요의 원형이 만들어진 일제강점기에 초점을 맞추어 이 시기의 대중가요에서 여성과 여성성의 수행을 재현하는 방식이 일정한 경향성을 띠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러한 경향성이 가장 표면적인 층위에서 드러나는 것은 가사에서지만, 이를 보다 직접적이고 감각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음악적 장치이다. 즉 선율, 리듬, 악기, 창법 등의 음악적 요소들이 결합하고 작동하는 방식에 따라 재현의 형태가 결정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음악적 요소들과 가사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여성을 재현하는 노래에서 드러나는 음악적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여성의 몸을 소재로 다룬 대중가요를 분석하여, 모던한 몸에 대한 당대인들의 인식을 들여다보고, 여성의 몸을 대상화하고 성애화한 문학적·음악적 기제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당대의 대중가요가 여성의 신체를 바람직한 몸과 바람직하지 못한 몸으로 나누어 이분법적으로 재현했음을 밝혔다. 당대의 대중가요는 바람직한 여성의 몸에 대해서는 감탄을 표현하는 음악적 제스처를 사용한 반면, 바람직하지 못한 여성의 몸에 대해서는 음악적으로 희화화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여성의 몸을 이분법적으로 재현함으로써 당대의 대중가요가 이상적인 여성의 몸에 대한 기준을 반복적으로 재생산하였고, 이를 통해 여성의 신체를 통제하고자 했음을 논의하였다. 두 번째로는 연애를 소재로 다룬 대중가요를 분석하여, 연애라는 사적 관계에 있어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했던 일정한 규범이 대중가요를 통해 재생산되고 있었음을 논의하였다. 특히 여성의 순정을 표현하는 서사에서 여성의 감정표현을 음악적 과잉으로 재현했음을 분석하였다. 또한 여성이 사랑에 대한 욕망을 표현하는 서사에서도 공통적인 재현방식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 시기 대중가요에서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는 여성화자는 자신이 순진하고 어린 처녀임을 강조해야 했고 이를 위해 아양과 애교라는 음악적 장치를 사용했다. 이러한 재현방식을 통해 당대의 대중가요는 여성의 욕망을 일정한 방향으로 규정하고 그 욕망을 표현하는 규범적 방식을 재생산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특정한 방식으로 정형화되었고, 이러한 전형성이 대중에게 유통됨으로써 여성적 섹슈얼리티의 규범적 수행양식이 학습되는 효과를 낳았음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시 체제가 본격화되었던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노래들을 분석하여, 제국주의라는 열망 속에서 여성적 규범이 변화된 과정을 들여다보았다. 먼저 아시아 각국에 대한 정복 욕구가 아시아를 여성화하고 소비하는 것으로 재현되었던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당대인들에게 내재되어 있던 이중적 오리엔탈리즘이 여성의 상품화로 이어졌음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노래들에서 아시아는 여성으로 재현되었고, 이렇게 여성화된 아시아는 동양성을 강조한 음악을 통해 문명화되지 못한 동양으로 제시되거나, 재즈 어법을 통해 재현됨으로써 그 지역에 영향을 미친 서구에 대한 선망을 드러내었다. 또한, 전시 상황에서 정책적으로 생산된 군국가요들을 분석하여, 전시 하에 요구되는 여성의 역할을 규정하고 규범적 여성성을 훈육하려 했던 시도들을 읽을 수 있었다. 군국가요에서 여성은 미래의 전사를 양육하는 모성과 참전한 남편에게 순정을 다하는 아내로 재현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모성과 순정은 남편의 뜻을 이어 나라에 충성하는 것을 의미했고, 이러한 규범을 이행함으로써 여성은 국민으로 인정받을 수 있었다. 군국가요에서 이러한 규범적 여성성은 기다림과 순정이라는 구여성적 가치를 강조하는 음악적 장치를 통해 재현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 당대의 대중가요가 남성적 욕망이 투사된 여성성의 규범을 재생산하고 이를 통해 규범적 여성성을 훈육하는 역할을 했음을 밝히고자 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