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5 Download: 0

관여도 수준과 요약문 작성 활동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Title
관여도 수준과 요약문 작성 활동이 고등학교 영어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writing summary sentences according to the task-involvement load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uthors
허담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은주
Abstract
어휘는 언어학습에서 가장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로 여겨져 왔다. 이에 따라, 이 제2 언어습득과 학습 분야에서는 학습자들의 어휘습득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와 더불어 영어교육에서 기존의 암기 위주의 영어 학습 및 교수에서 탈피하여 의사소통교수법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실제 말하기와 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휘 습득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어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어휘와 관련한 많은 연구들에서는 어휘를 읽기나 듣기 학습의 부수적인 학습목표로서만 여겨왔다. 따라서, 한국의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수용적 어휘지식의 습득과 더불어 생산적인 어휘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수업 설계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어휘 노출의 빈도보다는 활동의 관여도 부담 정도에 근거하여 관여도가 높을수록 어휘습득이 촉진된다고 주장한 Laufer와 Hulstijn(2001)의 과제관여도 가설을 근거로 하여 연구를 설계하였다. 특히, 목표 어휘를 유의미한 상황에서 사용할 기회가 부족한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관여도를 달리한 과업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인 어휘학습 활동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읽기와 쓰기 지도의 통합 측면에서 효과적인 활동이라 여겨지는 요약하기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어휘습득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 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학습자의 능숙도에 따라 어떠한 과업이 가장 적절한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181명을 대상으로 4주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대상은 요약문장을 작성하지 않는 통제집단(63명), 과업도에 근거하여 빈칸 채우기를 통하여 요약문장을 완성하는 집단(58명), 모국어 요약문장을 참고하여 요약문장을 작성하는 집단(60)명으로 구분되었다. 실험 시작 2달 전 사전 평가를 통하여 학습자의 능숙도를 상, 중, 하로 구분하였으며 사전 평가 점수를 2차시에 걸친 사후 평가 점수를 합산한 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능지문의 요약문장을 작성하는 활동이 학습자의 우연적 어휘학습을 발생시켰다. 수용적 어휘지식과 생산적 어휘지식 습득 모두에서 사전평가와 사후평가의 점수를 비교했을 때, 요약문장 작성을 실시한 두 실험집단 모두에서 사후평가의 점수가 향상하였다. 둘째, 과업의 관여도 수준 차이에 따라 학습자의 어휘지식 습득의 차이가 유발되는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용적 어휘지식의 습득 측면에서 과업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평균이 높았으나, Scheffe의 사후검증에서는 각 집단 별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생산적 어휘지식의 습득 측면에서는 실험집단의 점수 향상도가 통제 집단 보다 높았으나, 실험 집단 내에서 과업도가 낮은 활동의 사후 평가 평균 및 향상도가 과업도가 높은 활동보다 높아 Laufer와 Hulstijn(2001)의 과업 관여도 가설을 전적으로 지지하지는 않는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능숙도를 고려한 연구의 필요성에 의거하여 각 관여도의 차이에 의한 실험집단별 능숙도에 따른 학습자의 어휘습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용적 어휘지식 습득의 경우 상위집단은 과업도가 가장 낮은 집단에서 가장 높은 향상도가 관측되어 과제 관여도 가설과 배치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중위권의 경우에는 통제 집단과 실험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실험집단 간 관여도 수준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위집단의 경우에는 과업도가 높을수록 수용적 어휘지식의 평균 향상도가 높은 것이 확인이 되어 Laufer와 Hulstijn(2001)의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생산적 어휘지식 습득의 경우에서는 상위집단과 중위집단의 경우에는 과업도가 높을수록 생산적 어휘지식 습득의 향상도 평균이 증가하여 Laufer와 Hulstijn(2001)의 과업 관여도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하위집단의 실험집단의 경우 요약문장 작성 활동에서 상대적으로 관여 부담이 낮은 빈칸 채우기 활동이 작문 활동보다 생산적 어휘지식습득에서 향상도가 높아 Laufer와 Hulstijn(2001)의 가설과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결론을 드러내었다. 또한, 능숙도에 나타난 유의미한 결과가 어느 집단 간의 차이에서 유발된 것인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능숙도 집단 별 Scheffe의 사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집단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 현재 한국의 영어 교육 현장에 제시할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의 영어 학습자가 실제 목표어휘를 사용하는 생산적 과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수업을 설계함으로써 수용적 어휘지식 습득뿐 아니라 생산적인 어휘지식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 또한, 각 학습자의 능숙도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과업이 상이하므로, 개별 학습자에게 알맞은 수업활동 제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개선하여 관여도 수준이 어휘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보다 장기간의 실험을 계획하고, 실험 대상을 확대하며, 학습자에게 개별화된 수업을 진행한다면 보편화된 결론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Building up vocabulary has be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essential factors for learning a language. Thus, in the fields of L2 language acquisition, various studies aimed at figuring out the effect way to learn vocabulary. In addition, with the rise of communicative approach in language learning, the need to provide opportunities to use vocabulary in real-world setting has been emphasized. Despite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vocabulary in language learning, vocabulary was merely regarded as a byproduct of reading or listening lessons. Therefore, providing tasks promoting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should be the focus in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In response to the need to enlarge learners’vocabulary, this study focuses on the involvement load of task rather the frequency of the target vocabulary based on Involvement Load Hypothesis proposed by Laufer and Hulstijn(2001).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it is hard for Korean learners to be easily furnished with chances using the target words in meaning contexts. Therefore, the study aims to establish which tasks is effective for Korean highschool students in learning vocabulary. In addition, the goal of study is to investigate which task is appropriate for each English proficiency group.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181 Korean highschool students over four week perio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ne control group which is the reading task group(63 subjects), two experiment groups which are writing summary sentences by filling the gap(58 subjects), writing summary sentence with reference to Korean summary(60 subjects). Moreover, the subjects in each group were divided into high, mid, low English pror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pretest measuring students’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The scores attained from two post-tests after each lesson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those of the pre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1) the impact of summary writing on students’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2) whether the tasks with different involvement load will result in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tudents’ vocabulary learning; (3) whether the addition of treatment of the subject’s proficiency level will result in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students’ learning. With regard to the first ques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mean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ummary writing and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By comparing scores of pretest and the post-test, it can be concluded that two experiment groups using summary writing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cores. When it comes to the second question, the result partially coincided with Laufer and Hulstijn’s(2001) Involvement Load Hypothesis. In the aspect of receptive vocabulary learning, the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the involvement contributes to the higher mean scores in the post-test, thus fully supporting the involvement load hypothesis. However, in the productive vocabulary learning, it has been observed that even though the mean scores for the experim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group having less involvement load turned out to have better scores than the group having more involvement load among the experiment group. Lastly, the effects of including the subject’s English proficiency as additional treatment are as follows. In terms of the receptive vocabulary learning, the high proficiency group with the least involvement load showed the highest increase in the mean scores, indicating the result that do not support the involvement load hypothesis. The mid proficiency group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 group, but not between the groups in the experiment. Lastly, the low group showed the result supporting the involvement load hypothesis that the differences in the involvement brough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improvement. Concerning the result for the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both high and mid proficiency group indicated the conclusion in accordance with the involvement load hypothesis. However, for the low proficiency group did not support the hypothesis in that the mean scores for gap-filling group showed better scores than a sentence writing group.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current English education in Korea are as follows. To begin wi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Korean learners of English sufficient productive tasks in order to promote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In addition, teachers should design the task appropriate for each students’ proficiency level of English since whether the task is effective or not relys significantly on the student’s proficiency as observed in the study. Lastly, improving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by planning a longer term experiment and providing individual feedback on students’ work, it is likely that more reliable and generalized result can be achiev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