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정혜선-
dc.creator정혜선-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8:02Z-
dc.date.available2018-04-04T11:58:02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426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4266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925-
dc.description.abstract구성주의적 학습관에 따르면 학습자는 자신이 소유한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학습 활동은 상호 작용에 근거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학습자 간 지식 구조의 차이를 발견하고 해결해 나가는 과정이 요구된다. 한국어 교수 ∙ 학습 환경 역시 기존의 교사 위주의 일방적인 수업에서 벗어나 변화하는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즉, 학습자가 교실 수업의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지식을 생산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 수업을 구현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심을 반영하여 학습자 중심 교육과 유연한 학습 환경 및 상호 작용을 강조하는 플립 러닝이 다양한 교육 분야에서 도입 및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플립 러닝을 활용한 화용 교수 방안이 학업 성취도와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 및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플립 러닝은 사전 학습을 통해 수업 전 동영상 또는 이에 준하는 학습 자료로 내용을 파악하고 실제 수업에서는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 간 상호 작용을 통해 학습 목표를 숙지하도록 하는 교수 ∙ 학습 방안이다. 본고에서는 플립 러닝에서 사전 학습 기재로 제공되는 동영상이 화용 교육에 필수적인 상황과 맥락 중심의 교수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교실 내 다양한 학습 활동을 통해 그 간 교실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했던 화용적 실패 및 비교문화적 관점의 교수, 상황 중심의 교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이러한 가정을 근거로 화용 교수 ∙ 학습의 목표로 발화 상황에 따른 의미 기능이 중시되어 화용적 실패가 일어나기 어려운 화용적 관례어를 선정하여 플립 러닝을 활용한 화용적 관례어 교수 ∙ 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I 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통해 이러한 필요성을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우선 한국어 화용 교수 ∙ 학습 방안에 대한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화용 교육과 관련된 기존 논의 및 방향성을 살펴보는 한편, 이러한 연구들이 지니고 있는 한계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플립 러닝을 외국어 교육에 활용하고자 한 연구를 검토하여 플립 러닝의 한국어 화용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해 봄으로써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모두 네 가지이다. 연구 문제 1은 ‘플립 러닝을 활용한 화용 수업 집단과 강의식 수업 집단은 화용적 관례어 이해 확인을 위한 즉시 평가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이다. 연구 문제 2는 ‘플립 러닝을 활용한 화용 수업 집단과 강의식 수업 집단은 화용적 관례어 이해 확인을 위한 지연 평가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이다. 연구 문제 3은 ‘플립 러닝을 활용한 화용 수업 집단과 강의식 수업 집단은 한국어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이다. 마지막으로 연구 문제 4는 ‘플립 러닝을 활용한 화용 수업 집단과 강의식 수업 집단은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이다. Ⅱ 장에서는 플립 러닝과 외국어 교육, 화용적 관례어의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하였다. 플립 러닝과 관련하여 플립 러닝의 정의와 개념, 수업 설계 모형을 살펴보고 플립 러닝의 외국어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및 화용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본고에서 교수 ∙ 학습의 목표가 되는 화용적 관례어에 대해 상위 개념인 ‘고정 표현’과 ‘관용 표현’을 포함하여 화용적 관례어의 정의 및 개념을 알아보고, 이러한 표현의 교육적 적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 보았다. Ⅲ 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을 연구 절차, 실험 참여자, 연구 도구, 연구 분석 방법에 의거하여 정리하였다. 플립 러닝을 적용한 화용적 교수 방안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집단인 플립 러닝 수업 집단과 통제 집단인 강의식 수업 집단을 구성하여 실험을 전개하였다. 연구 도구는 실험을 위한 화용적 관례어 교수요목, 교수 처치 방안, 사전 학습 동영상, 강의 노트 및 실험 결과 측정을 위한 화용적 관례어 이해 평가지, 정의적 태도 설문지, 만족도 조사 설문지로 구성하였다. 실험은 두 집단을 대상으로 동일 기간, 동일 교수요목으로 시행되었는데 예비 실험을 거쳐 동질성 검사, 본 실험, 즉시 사후 및 지연 사후 시험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Ⅳ 장에서는 진행된 실험을 토대로 연구 문제별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문제 1에 대한 실험 결과 플립 러닝 수업 집단은 즉시 사후 시험에서 사전 시험 대비 점수의 향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강의식 수업을 받은 집단의 경우에도 동일한 점수의 향상을 보여 강의식 수업 대비 그 효과성을 입증하지는 못하였다. 연구 문제 2인 화용적 관례어의 지연 평가에서는 플립 러닝 수업 집단의 경우 즉시 사후 시험과 지연 사후 시험 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 학습 효과가 유지되고 있었다. 그러나 강의식 수업 집단의 경우 지연 사후 시험에서 점수가 하향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즉, 플립 러닝 수업은 강의식 수업에 비해 화용적 관례어의 장기적 이해 측면에서 효과적인 교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문제 3인 한국어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정의적 태도 변화에 있어서는 플립 러닝 수업 집단이 자신감, 흥미, 불안감의 측면에서 사전 설문 대비 사후 설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강의식 수업 집단은 모든 항목에 있어 사전 및 사후 점수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궁극적으로 두 집단 간 사후 점수에 있어 자신감, 흥미, 불안감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문제 4인 수업 만족도 측면에서는 수업 전반 및 수업 중 활동에 대해 플립 러닝 수업 집단이 강의식 수업 집단에 비해 다소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수업 중 활동에 대한 설문 결과 두 집단 간 만족도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그리고 플립 러닝 수업 집단에게 주어진 사전 학습 활동에 대한 만족도 역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Ⅴ 장에서는 Ⅳ 장에서의 실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전체적인 연구를 종합하여 정리하였으며 본 연구가 갖는 의의 및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플립 러닝이라는 교수 방안 자체에 주목하여 이를 화용 교육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고, 교수 효과를 학업 성취도 뿐 아니라 정의적 태도 및 만족도 영역까지 확장하여 제시한 점, 그 간 논의가 부족하였던 화용적 관례어에 대한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based pragmatic teaching model on academic achievement, affective attitude and class satisfaction. Flipped learning i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learners study in advance through pre - video, and deepen learning about them through teacher - learner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This study assumed that flipped learning could help improve pragmatic competence because it enables context-situation based learning.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I, it aimed to clarify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to support this necessity through previous studies. First, it reviewed the existing discussions and directions related to teaching pragmatic competence and examined the limitations of these studies. Second, it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identifies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problems Follow: 1. Does the flipped learning group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ual understanding of conventional expressions as compared with the lecture class in the immediate post test? 2. Does the flipped learning group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ual understanding of conventional expressions as compared with the lecture class in the delayed test? 3. Does the flipped learning group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ffective attitude toward the Korean communication situation compared to the lecture class? 3. Does the flipped learning clas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lecture class? In Chapter Ⅱ,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flipped learning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conventional expressions is examined. First, the definition, concept and teaching model of flipped learning are organized, and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to foreign language teaching and pragmatic competence teaching are examined. Second,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the conventional expressions which is the goal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xamin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such expression are studied. In chapter Ⅲ,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ccording to research procedure, participant, research tool, detailed procedure and analysis metho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agmatic teach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a flipped learning group, which is an experiment group, and a lecture group, which is a control group, were experimented. The research tools consisted of the conventional expressions for teaching, the teaching methods, the preliminary learning videos, the lecture notes, and the comprehension questionnaire, the satisfaction attitude questionnaire and the survey questionnaire for the experimental result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same period with the same lecture in two group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rough the preliminary experiment, the pre-test, the experiment, the immediate post - test and the delayed test. In Chapter Ⅳ,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nalyzed and summarized on the ba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Regarding research problem 1, The flip learn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the post - test compared to the pre - tes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for immediate post-test. and delayed post-test results. Regarding research problem 2, The learning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group was maintained in the post - test. However, There was a change in the delayed test scores of the lecture class group.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 for delayed-test. Regarding research problem 3, flipped learning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t - test surveys compared to the pre - surveys in terms of self-confidence, interest, and anxiety.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t - test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reas of self - confidence, interest, and anxiety. Regarding research problem 3, Flipped learning group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lecture class. In chapter Ⅴ, the overall research based on the experimental analysis results was summerized, and summariz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designing and experimenting pragmat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the flipped learning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se teaching methods had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memory of learned expressions, affective attitude change, and satisfac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teaching method of flipped learning itself and applies it to the teaching of pragmatic education. It also suggests that the teaching effect is expanded not only in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in the attitude of affective attitude and satisfa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3 1. 한국어 화용 교수 학습 4 2. 외국어 교육에서의 플립 러닝 11 C. 연구 문제 및 가설 18 Ⅱ. 이론적 배경 21 A. 플립 러닝과 외국어 교육 21 1. 플립 러닝의 개념 및 수업 설계 모형 21 2. 플립 러닝의 외국어 교육에의 적용 30 B. 화용적 관례어 교육 33 1. 화용적 관례어의 개념 및 특징 33 2. 화용적 관례어의 교육적 적용 40 Ⅲ. 연구 방법 43 A. 연구 절차 43 B. 실험 참여자 45 C. 연구 도구 48 D. 분석 방법 60 Ⅳ. 연구 결과 61 A. 플립 러닝을 활용한 화용 교수와 강의식 수업의 차이 검증 61 1. 화용적 관례어 이해 즉시 평가 61 2. 화용적 관례어 이해 지연 평가 63 3.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 66 4.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71 B. 소결론 74 Ⅴ. 결론 및 논의 77 참고문헌 82 부록 1. 화용적 관례어 이해 평가지 89 부록 2. 학습자 정의적 태도 설문지 92 부록 3. 수업 만족도 조사 설문지 93 ABSTRACT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494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플립 러닝을 활용한 화용 교수가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관례어 이해와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Based Pragmatic Teaching on Recognition of Conventional Expressions and Affective Attitude-
dc.format.pageviii,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7. 8-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