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2 Download: 0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두 자리 서술어문 습득 연구

Title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두 자리 서술어문 습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cquisition of Two-Place Predicate Constructions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 Focusing on Particle ‘ga’ and ‘reul’
Authors
김혜성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인 학습자가 한국어 두 자리 서술어문의 조사 ‘가’와 ‘를’을 습득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Ⅰ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설명하고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고의 연구 문제는 한국어 두 자리 서술어문의 조사 ‘가’와 ‘를’에 대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습득 양상이 숙달도에 따라 용언 유형 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Ⅱ장에서는 조사 ‘가’와 ‘를’을 취하는 두 자리 서술어문을 용언의 품사와 구문의 통사·의미적 특성에 따라 나누어 이론적 배경을 검토하고, 연구 도구의 틀로 사용하기 위한 유형 분류를 논의하였다. 형용사문은 그 통사·의미적 특성에 따라 ‘심리형용사, 감각형용사, 비교대칭형용사, 성상형용사, 소유형용사’의 5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자동사문은 ‘변성자동사, 지각·인지자동사, 대칭자동사’의 3개 유형으로, 타동사문은 ‘대상 행위타동사, 속성 행위타동사, 이동타동사, 대칭타동사, 지각·인지타동사, 심리타동사’의 6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해 실행한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도출한 두 자리 서술어문의 통사·의미적 조건에 따른 분류를 틀로 삼아 실험 도구를 개발하였다. 실험 도구는 제시된 문장이 올바른지 판단하는 문법성 판단 테스트로 제작하였다. 예비 실험을 통해 실험 도구를 수정·보완하고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집단은 일본인 중급 학습자 20명, 고급 학습자 20명, 한국인 모어화자 20명이다. 숙달도에 따른 습득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숙달도 검사를 실시하여 집단을 상 집단과 하 집단으로 나누었다. 수집된 문법성 판단 테스트 결과에 대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어서 Ⅳ장에서는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고에서 연구 문제에 대하여 예상한 가설대로, 한국어 두 자리 서술어문의 조사 ‘가’와 ‘를’에 대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습득 양상은 숙달도에 따라 용언 유형 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첫째로, 일본인 학습자들은 숙달도에 상관없이 대체로 주어의 의미역이 행동주나 대상일 때에 비해 주어로 경험주를 요구하는 경우에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주어로 경험주를 요구하는 유형은 ‘감각형용사, 심리형용사, 지각·인지자동사, 심리타동사, 지각·인지타동사’인데, 이 중 감각형용사만이 숙달도 상 집단과 하 집단 모두 모어 화자에 근접한 정답률을 기록하였다. 둘째, 변성자동사, 심리타동사, 지각․인지타동사, 대칭타동사 유형에서 숙달도 집단 간 정답률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심리타동사, 지각․인지타동사, 대칭타동사와 각각 의미적으로 공통된 범주로 묶을 수 있는 심리형용사, 지각․인지자동사, 비교대칭형용사, 대칭자동사는 숙달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러한 결과로부터 일본인 학습자들은 공통된 의미 범주의 용언이라도 품사에 따라서 다른 습득 양상을 보인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형용사문, 자동사문, 타동사문의 모든 품사로 나타나는 심리구문, 지각․인지구문, 대칭구문에서, 학습자의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형용사문, 자동사문의 구조에 대한 습득은 일어나지 않았지만 타동사문의 구조에 대한 습득이 일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로, 이동타동사는 숙달도에 상관없이 습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 동사류는 주어 논항만을 가진 자동사문으로만 쓰이는 경우, 주어 명사구 외에 ‘에/에서/로’명사구를 취하며 자동사문으로만 쓰이는 경우, 부사격조사 ‘에/에서/로’와 목적격조사 ‘를’이 교체 가능한 경우, 타동사문으로만 쓰이는 경우가 있어 그 쓰임이 다양하다. 이동 동사는 한국어 교육 과정에서 주로 자동사문으로만 제시되는데, 타동사문으로 쓰이는 경우에 대한 교수·학습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문장의 구조를 한정하고 용언의 품사와 통사·의미적 특성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여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가’와 ‘를’의 습득을 언어 맥락별로 살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습득 양상에 차이가 나타나는 원인을 용언의 품사와 의미, 요구되는 논항의 의미역, 각 문장 성분이 함의하는 의미 특성 간의 상호 관계에 따라 상세히 살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용언의 통사·의미적 특성에 따른 논항과 조사의 결합에 대한 교수·학습의 필요성이 있음을 밝혔다. 특히 심리 구문, 이동 구문과 같이 공통된 논항과 성분 의미를 갖지만 여러 품사로 나타나는 용언 부류에 대한 교수·학습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한편, 본고의 실험 참여자는 각 집단별 20명으로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실험 도구를 제작할 때 어휘에 의한 오류 가능성을 통제하고자 노력하였지만 대칭타동사의 실험 결과는 제시된 어휘 형태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짐작된다. 본 연구는 일본인 중·고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두 자리 서술어문이라는 한정된 구조 안에서 용언의 품사 및 통사·의미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언어 맥락에 따른 조사 ‘가’와 ‘를’의 실현에 대한 교수·학습의 필요성을 밝혔다. 본고에서 다루지 못한 다양한 구조의 문장에 대한 습득 양상 및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Japanese learners acquire the particles ‘ga’ and ‘reul’ of the Korean language two-place predicate constructions. Chapter Ⅰ explain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research and setting up a research question through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paper is what differences of the way of acquiring Japanese learners of Korean for particle ‘ga’ and ‘reul’ of two-place predicate constructions according to their proficiency. Chapter Ⅱ survey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lassifies the two-place predicate constructions that take the particle ‘ga’ and ‘reul’ by verb/adjective classes and syntactic/semantic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s. Adjective sentences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psychological adjective, sensory adjective, comparative symmetric adjective, constellation adjective, and possessive adjective. Intransitive verb sentences can be classified into 3 types: metamorphic intransitive verb, perceptual-cognitive intransitive verb, and symmetric intransitive verb. And transitive verb sentences can be classified into 6 types: active transitive verb in patient, active transitive verb in attribute, locomotive transitive verb, symmetric transitive verb, perceptual-cognitive transitive verb, and psychological transitive verb. Chapter Ⅲ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First, an experimental tool was developed based on the syntactic/semantic conditions of two-place predicate constructions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It was constructed through a grammatical judgment test to judge correctness of presented sentences. The experimental tool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a preliminary experiment.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 were 20 Japanese intermediate learners, 20 Japanese advanced learners, and 20 Korean native speakers. In order to examine the learn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the Japanese learners were subjected to the proficiency 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proficiency test, the learners were divided into the lower and upper proficiency groups. The results of the collected grammatical judgment test were analyzed with the one-way ANOVA method. Chapter Ⅳ describes the analysis results.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age of particles ‘ga’ and ‘reul’ for various types of two-place predicate constructions according to the proficiency level of Japanese learners. First, the percentage of the correct answer of Japanese learners tends to be lower when construction types require experiencer-role as subject comparing by the types require theme-role or agent-role.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wo proficiency groups of the mean scores of grammatical tests for the metamorphic intransitive verb, perceptual- cognitive transitive verb, and psychological transitive verb. In contrast, the results found no proficiency factor in the psychological adjective, perceptual-cognitive intransitive verb, and symmetric intransitive verb. Third, both learner groups’ correctness rate of the locomotive transitive verb is lower than 75%. This figure can be regarded as not having learned structure according to Ellis (1988) standards. Finally, chapter Ⅴ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describes the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the acquisition of 'ga' and 'reul' by Japanese learners of Korean in detailed linguistic contexts by limiting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 classifying the types according to the word classes of the verb/adjective and syntactic/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in detail the cause of differences in learning patterns according to the word classes of the verb/adjective, and semantics of the predicate and it’s required argument, and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implied by each sentence component.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teaching and learning about verbs/adjectives which have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arguments and thematic roles required and ingredient meaning, yet appears as various parts of speech - e.g., psychological predicates and locomotive predicates. Meanwhile,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Since the size of the sample is small,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experimental results. However, although we tried to control the possibility of error by vocabulary when producing experimental tools, it is hypothesized that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e symmetric transitive verbs is influenced by the lexical form. Further studies on the acquisition of various structures that are not covered in this paper are expected to be carried out. It is expected to discuss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s we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