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5 Download: 0

오복녀와 박기종의 서도소리 비교 연구

Title
오복녀와 박기종의 서도소리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odosori of O Bok-nyeo and Bark Ki-jong : Focused on the lyrics and the melodic structures
Authors
한채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곽은아
Abstract
This thesis compares and analyzes O Bok-nyeo's and Bark Ki-jong's usic with 9 songs of the existing Seodosori(folk songs from the western region of Korea), which are , , , , , , , and . First of all, comparing O Bok-nyeo's and Bark Ki-jong's saseols(the lyrics of song), Minyo(民謠) contains a great number of Bark Ki-jong's own saseols which has not been known yet but Jabga(雜歌) don't contain their own saseols in common. In , 33 saseols of O Bok-nyeo's 81 saseols and Bark Ki-jong's 83 saseols are consistent or similar. Therefore, the total 131 added O Bok-nyeo's saseols to Bark Ki-jong's own saseols have been handed down in . The number is about 1.6 times as many saseols as already known saseols. Among many saseols, however, O Bok-nyeo's 3 saseols and Bark Ki-jong's 16 saseols are actually sung. In , 22 of O Bok-nyeo's 47 saseols and Bark Ki-jong's 28 saseols are composed of consistent or similar ones. At present there are the total 53 saseols added Bok-nyeo's saseols to Bark Ki-jong's own saseols, This is about 1.13 times as many saseols as already known saseols. In , 12 of O Bok-nyeo's 19 saseols and Bark Ki-jong's 20 saseols are composed of consistent or similar ones. At present there are the total 27 saseols added Bok-nyeo's saseols to Bark Ki-jong's own saseols, This is about 1.4 times as many saseols as already known saseols. In , 10 of O Bok-nyeo's 50 saseols and Bark Ki-jong's 45 saseols are consistent or similar. At present there are the total 85 saseols added Bok-nyeo's saseols to Bark Ki-jong's own saseols, This is about 1.7 times as many saseols as already known saseols. Among 'Nanbonga' series of music, there are the most Bark Ki-jong own saseols. In , 14 of O Bok-nyeo's 24 saseols and Bark Ki-jong's 27 saseols are composed of consistent or similar ones. At present there are the total 37 saseols added O Bok-nyeo's saseols to Bark Ki-jong's own saseols, This is about 1.5 times as many saseols as already known saseols. In , 15 of O Bok-nyeo's 23 saseols and Bark Ki-jong's 17 saseols are composed of consistent or similar ones. Therefore, at present there are the total 37 saseols added Bok-nyeo's saseols to Bark Ki-jong's own saseols, This is about 1.1 times as many saseols as already known saseols. In respect of refrains sung in 'Nanbonga' series of music, Bark Ki-jong's saseols are more than O Bok-neyo's saseols. As to and , which are through-composed types of Jabga, O Bok-neyo and Bark Ki-Jong has each one saseol of which content is consistent each other. Therefore, each one saseol has been handed down in and . In < Youngbyeonga> of strophic form, O Bok-nyeo and Bark Ki-jong has 5 saseols each. they are acknowledged as the existing 5 saseols because their 5 contents are consistent each other,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O Bok-nyeo's 3 saseols and Bark Ki-jong's 5 saseols are sung actually. Next, this thesis explores the melodic structures of O Bok-nyeo and Bark Ki-jong music, which are divided into Chulhyeoneum, beat structure and melody comparison. Firstly, on comparing Chulhyeoneums, all of O Bok-nyeo's and Bark Ki-jong's music are composed of the same notes except those of . Among Minyo, and are Susimgatory music, which is composed of 5 notes, re, mi, sol, la, do. , , , and , which were handed down to O Bok-nyeo and sung by her, are Nanbonggatory composed of la, do, re, mi, sol. However, the first half (from the first to the fifth bar) of Bark Ki-jong's . which has been handed down to and sung by him, is composed of do, re, mi, sol, la, which is the same to the solo part of the , Gyeonggi Minyo(京畿民謠). The last half(from the sixth to eleventh bar) is changed into la, do, re, mi, sol, which are the structure of Nanbonggatory notes, and then the last twelfth bar gets back to the first half melodies. This melodies are the same to those of which was sung in the early 1900s. In , and . which are types of Jabga, O Bok-nyeo's and Bark Ki-jong's melodies are Susimgatory music which is composed of 5 motes; re, mi, sol, la, do. Secondly, i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melodic structure of beats, Bark Ki-jong's melodies are faster than O Bok-nyeo's at the speed of music but O Bok-nyeo's melodies show more rhythm changes and more skillful additions of the narrative. Nevertheless, their basic beat types are the same. Among Minyo, Susimga has irregular beats and has yoekkum part. In addition, has 3 beat accompaniment (Changdan) based on small three beating and , and have 4 beat accompaniment based on small three beating. Among them, yoekkum part of shows the basic beats, 3 beat accompaniment (Changdan) based on small three beating and besides small two beat rhythm is mixed. In result, they provide tension and rhythm change. This features reveal in O Bok-nyeo's melodies more than in Bak Ki-jong's. 2 beat and 3 beat are mixed in and among Jabga, and regular 3 beat accompaniment based on small three beating reveals in . In Jabga, the basic structure of beat is the same but its beats are changed partly by whether the number of saseol words is added or subtracted and by how 1 eumbo(measure) is sung. In Yoekkum type of saseol, there is the feature that small three beat changes into small two beat in the basic beat. It shows more in O Bok nyeo‘s melodies. Especially, in , 238 beats, 24.3% of 980 beats, are composed of small 2 beat rhythms in the case of O Bok nyeo‘s melodies and only 6 beats, 0.6% of the entire melodies are composed of small 2 beat rhythm. Thirdly, comparing their melodies, O Bok-nyeo's and Bak Ki-jong's music make the same progress in the major notes of Minyo and Jabga. The division of tunes and rhythm, and the use of grace notes, however, reveal more in O Bok-nyeo's melodies than in Bak Ki-jong's because her speed of musical pieces is relatively slower than his. and , which sing Janghyeong Yoekkum saseol, have differences in Jongji melodies and the combination of melody types. Three types of cadence are used in . Among them, the basic type of cadence appear more in Bak Ki-jong's melodies(64%) than in O Bok-nyeo‘s melodies(48%). In cadence of , three types of Bak Ki-jong melodies are used and one type of O Bok-nyeo's melody is used in contrast. in 2 types of O Bok-nyeo's cadence are used and one type of Bak Ki-jong's melody is used. In the Yeokkum part of and . three kinds of melodies, which are composed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range of note. are combined to compose melodies. Especially, in of which regular types of cadence melodies are repeated in each chapter, the complex type of melodies composed of two types of melody and cadence appear more frequently than the single type of melodies composed of one type of melody and cadence. Like this, the reason why complex types of melody appear more frequently than single type of melody is that most of melodies start with middle range of notes and tunes get raised or lowered to bring variety when melodies get longer. The complex types of melody appear more frequently in Bak Ki-jong melodies (74.4%) than O Bok-nyeo melodies (57%). Lastly, in Susimga, the last part of , both of O Bok-nyeo's and Bak Ki-jong's melodies are included in the type of plain Susimga. Even though their beat structure makes differences, their progress of major notes is consistent each other.;본 논문은 현행 서도소리 중 <수심가>, <엮음수심가>, <긴난봉가>, <잦은난봉가>, <별조난봉가>, <사설난봉가>, <공명가>, <배따라기>, <영변가>의 9곡을 대상으로 오복녀와 박기종의 사설과 선율구조를 비교한 것이다. 오복녀와 박기종 사설을 민요와 잡가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복녀와 박기종의 민요사설을 비교한 결과 박기종 사설에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고유사설이 다수 존재하였다. <수심가>는 오복녀 81수, 박기종 83수의 보유사설 중 33수가 일치 또는 유사사설이다. 따라서 <수심가>는 오복녀 사설과 박기종의 고유사설을 총합한 131수가 현전한다. 이는 기존에 알려진 사설보다 약 1.6배 많은 수치이다. 그러나 많은 사설 중 실제 노래로 불리는 사설은 오복녀 사설 3수, 박기종 사설 16수이다. <엮음수심가>는 오복녀 47수, 박기종 28수 중 22수가 일치 또는 유사사설로 구성되어 있고, 오복녀사설과 박기종 고유사설을 총합한 현전사설은 53수이다. 이는 기존에 알려진 사설보다 약 1.13배 많은 수치이다. <긴난봉가>는 오복녀 19수, 박기종 20수 중 12수가 일치 또는 유사사설로 구성되어 있고, 오복녀 사설과 박기종의 고유사설을 총합한 현전사설은 27수이다. 이는 기존에 알려진 사설보다 약 1.4배 많은 수치이다. <잦은난봉가>는 오복녀 50수, 박기종 45수이고 이 중 오복녀 10수와 박기종 13수가 일치 또는 유사사설이다. 따라서 <잦은난봉가>는 오복녀 사설과 박기종의 고유사설을 총합한 85수가 현전한다. 이는 기존에 알려진 사설보다 약 1.7배 많은 수치로 ‘난봉가’계열 악곡들 중 박기종의 고유사설이 가장 많다. <별조난봉가>는 오복녀 24수, 박기종 27수 중 14수가 일치 또는 유사사설로 구성되어 있고, 오복녀 사설과 박기종 고유사설을 총합한 현전사설은 37수이다. 이는 기존에 알려진 사설보다 약 1.5배 많은 수치이다. <사설난봉가>는 오복녀 23수, 박기종 17수가 있고, 이중 15수가 일치 또는 유사사설이다. 따라서 <사설난봉가>는 오복녀 사설과 박기종의 고유사설을 총합한 25수가 현전하며, 이는 기존에 알려진 사설보다 약 1.1배 많은 수치이다. 한편 ‘난봉가’계열 악곡에서 불리는 후렴의 종류는 박기종 사설이 오복녀 사설보다 더 많다. 둘째, 오복녀와 박기종의 잡가사설을 비교한 결과 잡가는 여러 형태의 다양한 사설이 존재하는 민요와 달리 고유사설이 없다. <공명가>와 <배따라기>는 각각 오복녀 1수, 박기종 1수의 사설이 있고, 사설의 내용이 서로 일치한다. 따라서 두 악곡의 현전사설은 각 1수이다. <영변가>는 오복녀 5수, 박기종 5수의 사설이 있고, 사설의 내용이 서로 일치한다. 그러므로 <영변가>의 현전사설은 5수이다. 그러나 이중에서 실제로 가창되는 사설은 오복녀 3수, 박기종 5수여서 서로 차이를 보인다. 이처럼 잡가의 고유사설이 없는 이유는 <공명가>, <배따라기>의 경우 통절형식이기 때문이다. 즉, <공명가>는 중국의 역사소설인『삼국지연의』의 한 장면을 노래하고, <배따라기>는 뱃사람의 애환을 극적인 흐름에 맞게 서사적으로 노래한다. 따라서 이야기의 흐름상 각자의 고유사설이 형성될 여지가 매우 적다. 그런데 <영변가>의 경우는 매 절마다 사설이 바뀌는 유절형식임에도 불구하고 고유사설이 없다. 그 이유는 이 노래가 주로 전문 소리꾼들에 의해 불렸기 때문이다. 잡가는 민요처럼 구전의 과정에서 불특정 다수에 의한 사설 창작이 어렵기 때문에 사설의 변이현상만 있을 뿐 고유사설이 없다. 다음으로 출현음, 박자구조, 선율비교로 나누어 오복녀와 박기종 음악의 선율구조를 살펴보았다. 첫째, 오복녀와 박기종의 민요 선율구조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현음을 통해 본 오복녀와 박기종 음악의 구성음은 <사설난봉가>를 제외하고 모두 동일하였다. <수심가>와 <엮음수심가>는 두 선율 모두 re, mi, sol, la, do로 구성되는 수심가토리 음악이고, <긴난봉가>, <잦은난봉가>, <별조난봉가>와 오복녀 전창의 <사설난봉가>는 la, do, re, mi, sol로 구성되는 난봉가토리 음악이다. 그러나 박기종 전창의 <사설난봉가>는 전반 제1-5마디가 경기민요인 <경복궁타령>의 독창부분과 같은 do, re, mi, sol, la로 구성되고, 후반 제6-11마디는 난봉가토리 음구성인 la, do, re, mi, sol로 전환되었다가 마지막 제12마디에서 다시 전반부 선율과 같은 음구성을 회복한다. 이는 1900년대 초기에 불렸던 <사설난봉가>선율과 동일한 형태이다. 박자구조를 비교한 결과 오복녀와 박기종 음악은 기본박자의 형태가 모두 일치하였다. <수심가>는 사설의 자수에 따른 불규칙 박자이고, <엮음수심가>의 엮음부분과 <긴난봉가>는 3소박 3박자, <잦은난봉가>, <별조난봉가>, <사설난봉가>는 3소박 4박자 음악이다. 이중 <엮음수심가>의 엮음부분은 3소박 3박자의 기본박자에 2소박 리듬을 혼용하여 선율의 긴장감과 리듬 변화를 주는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이러한 요소는 박기종 선율보다 오복녀 선율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악곡의 속도는 박기종 선율이 오복녀 선율보다 빠르다. 그리고 리듬의 변화는 박기종 선율보다 오복녀 선율에 더 많이 나타난다. 선율을 비교한 결과 6개 민요의 선율은 세부적인 음정표현과 리듬의 분할방식만 일부 다를 뿐 오복녀와 박기종 선율의 주요음 진행이 같았다. 둘째, 오복녀와 박기종의 잡가 선율구조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명가>, <배따라기>, <영변가>는 오복녀와 박기종 선율 모두 re, mi, sol, la, do의 5음으로 구성되는 수심가토리 음악이다. 기본 박자구조는 오복녀와 박기종 음악이 서로 일치한다. <공명가>와 <배따라기>는 2박과 3박의 혼합박자이고, <영변가>는 3소박 3박자의 규칙적인 박자구조를 갖고 있다. 그런데 잡가는 기본적인 박자구조가 동일할지라도 사설의 자수가 가감되거나 1음보를 어떤 형태로 노래하느냐에 따라 부분적으로 박자가 달라지기도 한다. 또한 엮음형 사설에서 기준박이 3소박에서 2소박으로 바뀌는 현상은 오복녀 선율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특히 <배따라기>는 오복녀 선율의 경우 전체 980박 중 24.3%에 해당하는 238박이 2소박 리듬으로 되어 있고, 박기종 선율은 전체 선율의 0.6%인 6박만 2소박 리듬이다. 악곡의 속도는 박기종 선율이 더 빠르고, 리듬의 변화는 오복녀 선율에서 더 많이 나타난다. 악곡의 속도가 빠른 박기종 선율은 비교적 단순하면서도 분명한 음 진행을 하고, 상대적으로 악곡의 속도가 느린 오복녀 선율은 음정과 리듬의 분할 현상이 두드러지며 장식음을 많이 사용한다. 단 장형 엮음사설을 사용하는 <공명가>와 <배따라기>는 종지선율과 선율형의 조합 등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공명가>의 종지선율은 세 가지 유형이 있으며 기본형 종지선율의 출현비율은 박기종 선율이 더 높다. <배따라기>의 종지선율은 박기종 선율에 세 가지 유형이 쓰이고, 오복녀 선율은 한 가지 유형만 쓰인다. 이와 반대로 <영변가>의 종지선율은 오복녀 선율에서 두 가지 유형이 쓰이고, 박기종 선율은 한 가지 유형만 쓰인다. <공명가>와 <배따라기>의 엮음부분은 고․중․저음역의 세 가지 선율형이 조합되어 선율을 구성한다. 특히 매 장마다 일정한 형태의 종지선율이 반복적으로 나오는 <배따라기>는 선율형 두 개와 종지선율로 구성된 복합형 선율이 선율형 한 개와 종지선율로 구성된 단독형 선율보다 출현비율이 높다. 이처럼 복합형 선율형이 단독형 선율형보다 많은 이유는 선율의 시작을 중음역으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고, 선율이 길어질 때 음정을 위로 올리거나 내려서 변화를 주기 때문이다. 복합형 선율의 출현 비율은 박기종 선율(74.4%)이 오복녀 선율(57.9%)보다 더 높다. 한편 <공명가>의 마지막에 부르는 수심가는 오복녀와 박기종 선율 모두 평수심가 유형에 속한다. 비록 박의 구성은 차이가 있으나 주요음의 진행은 서로 일치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