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7 Download: 0

박은선 작곡 해금독주곡 <오늘은 내가 반달로 떠도> 분석 연구

Title
박은선 작곡 해금독주곡 <오늘은 내가 반달로 떠도> 분석 연구
Other Titles
for Hae Geum
Authors
양희주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류정연
Abstract
본 논문은 박은선 작곡 <오늘은 내가 반달로 떠도>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박은선의 작품해설을 바탕으로 악곡을 각 악장별로 단락을 분석하고 해금 연주법에서 나타나는 연주상의 특징과 운지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Ⅰ악장은 장구의 세령산 장단 지속, 해금 선율의 정악 선율에 주로 사용되는 꾸밈음의 사용으로 정악풍의 선율 진행이 특징이다. 운지법면에서도 정악의 운지법 중 황종(黃鐘)이 e♭음인 경우의 e♭음 으뜸자리와 a♭으뜸자리가 주로 사용된 것으로 보아 제Ⅰ악장은 정악풍의 선율을 의도한 악장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제Ⅱ악장은 16분음표 리듬의 짧은 음가 사용, 급격하고 극적인 악상의 변화, 불규칙한 리듬의 강세와 악곡의 중·후반부 선율에서의 넓은 도약 등은 연주자의 음악성과 작품 해석능력, 기술적 면모를 과시할 수 있게 한다. 운지법으로는 으뜸자리 e♭, a♭, b♭, d♭′등의 다양한 으뜸자리의 사용과 글리산도의 주법의 등장, 다른 악장보다 잦은 이동횟수 등이 특징이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보면 제Ⅱ악장은 서양음악의 카덴차(Cadenza)와 같은 성격을 갖는다. 셋째, 제Ⅲ악장은 해금과 장구간의 선율과 리듬이 대위적 모방 기법으로 발전하나 선율 진행상의 규칙이 푸가처럼 엄격하지 않아 인벤션(Invention)양식으로 볼 수 있다. 선율적인 면에서는 극적인 악상의 대비와 헤미올라 리듬, 도약음정의 사용 등으로 생동감과 경쾌함을 주는 악장이다. 운지법면에서는 조의 이동으로 으뜸자리 g의 사용이 나타났고, 그 외에는 전통음악운지법이라 할 수 있는 으뜸자리 e♭, a♭의 사용이 주를 이룬다. 제Ⅲ악장은 서양음악양식을 구조로 해금선율은 전통과 현대적 양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악장이다. 이와 같이 작곡가 박은선은 한국 음악의 5음 음계를 전제로 각 악장마다 정악, 현대음악, 인벤션의 음악장르를 설정하여 해금의 전통주법과 현대적 주법을 접목시켜 작곡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논문을 통해 연주자들의‘해금 독주곡 <오늘은 내가 반달로 떠도>’의 작품에 대한 이해와 실제 연주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해금 창작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This paper is an analysis of Eunsun Park's composition . Based on the commentary of Eunsun Park,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aragraphs for each move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and the fingering method in the haegeum playing method as follows. First, the 1st movement is characterized by the progress of Jung-ak melody such as Seryeonsan jangdan with the Jang-gu, the use of the main ornaments appearing in Jung-ak, and the gentle progression without leaps. In the aspect of fingering, it can be also said that the first movement intends Jung-ak since the e♭position and a♭position are mainly used when the Hwang-jong is e♭position among the fingering of Jung-ak. Second, the II movement enables the performer to demonstrate the musical ability, the interpretation ability and the techniques by the use of the short sound of the sixteenth note rhythm, the sudden and dramatic change of music, the irregular rhythm, and the wide leap in the mid and late melodies of the music. In the case of fingering, there are features such as the use of a variety of positions (e♭, a♭, b♭, and d♭'), the demergence of the Glissando playing styles, and the frequent movement more than other movements. Thus, the II movements have the character like Cadenza in Western music. Third, the III movement can be viewed as an Invention style because the melody and the rhythm between Haegeum and Jang-gu evolved into the imitative counterpoint but the rules of the melody progression are not as rigorous as Fuga. In the aspect of melody, it is a movement that gives a feeling of liveliness and lightness by the contrast of theme, hemiola rhythm, and use of the jumping tune. In the aspect of fingering, the appearance of g position by the movement of key, and besides, the major use of e♭ and a♭ positions which can be considered the traditional fingering method form the main. The third movement is structed as Western music style and the melody is a mixture of traditional and modern styles. In this way, it can be knowned that Park Eun-sun has set the genre of Jung-ak, mordern, and Invention styles for each movement, respectively based on the five-note scale of Korean music and composed by applying both traditional and modern Haegeum technique. Through this paper, I hope that it will help the performers understanding and actual performances of the Haegum solo song , and hopefully it will be a chance to think about the directions that Haegeum creations should tak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