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20 Download: 0

1인 가구의 건강행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itle
1인 가구의 건강행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acts of Helath Behavior upon mental health in single household : based on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Authors
김보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명선
Abstract
본 연구는 1인가구의 건강행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2015년 지역사회건강조사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설문조사에 응한 만19세 이상의 성인 총 229,691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 31일부터 11월 8일까지 훈련된 조사원이 선정된 표본가구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 프로그램이 탑재된 노트북을 사용해 1:1 면접조사(전자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총 229,691명 중 연구에 필요한 1인가구 31,325명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경로분석을 사용하여 건강행동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지각요인의 매개효과와 정신건강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지각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건강행동은 흡연과 금주였다. 술을 많이 마실수록 지각된 건강상태가 높았고, 지각된 장애성과 사회적지지는 낮았다. 담배 흡연량이 많을수록 지각된 건강상태는 낮았고, 지각된 장애성과 사회적지지는 높았다. 둘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행동은 아침식사일수와 수면시간이다. 아침식사를 잘 거르지 않고 수면시간이 많을수록 정신건강 수준은 높았다. 셋째, Pender의 건강증진모형 중 인지·지각요인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지각된 건강상태와 사회적지지가 높을수록 정신건강 수준이 높았고, 지각된 장애성이 높을수록 정신건강 수준이 낮았다. 넷째, 건강행동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지각 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건강행동 중 운동만 유일하게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지각 요인이 완전매개 하였으며 나머지 건강행동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지각 요인이 부분매개 하였다. 또한, 완전매개와 부분매개를 보이는 건강행동은 연령별로 달랐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인가구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해서는 대상자의 연령층을 고려한 후, 정신건강을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건강행동을 활용하여 인지·지각요인의 매개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1인가구의 정신건강을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행동과 인지·지각요인의 매개효과에 따라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This study utilizes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in order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 and how health behavior influences mental health.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targeting 229,691 adults over 19, with researchers visiting households which were designated as samples. They used a survey programmed laptop and conducted a 1:1. interview (electronic survey) from Aug 31st to Nov 8th, 2015. Out of a total of 229,691 people, single-person household individual 31,325 were analyzed for the study. Data analysis was practiced by using sass 20.0 program in doing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o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the mediated effect in which health behavior influences mental health and mental health itself. The summary fo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1. by analyzing the cognitive-perceptual factor according to health behavior, influence to a smoking and Non-drinking. drinking inputs a steady(+) influence to a perceptual health but a unsteady(-) influence to cognitive disability and social support. 2. verifying results of the relation whether health behavior influences mental health showed that breakfast days, sleeping hours input steady(+) influences. 3. in verifying whether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cognitive-perceptual factor influences mental health, it resulted that health condition inputs a steady(+) influence, cognitive disability a unsteady influence(-) and social support a steady(+) influence. 4. within the relationship of health behavior and mental health, the mediated effect of health condition, cognitive disability, social support were analyzed a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This resulted that smoking, non-drinking, sleeping, tooth-brushing frequencies were medium mediations while out of health behavior, only exercise was a complete mediation. Conclusions drawn from above study results are as so: For the enhancement of the mental health for single-person households, multilateral support from the regional society such as health policy establishment for health behaviors such as exercise, breakfast, sleeping, non-drinking, non-smoking, tooth brushing are necessary. Moreover the importance of cognitive health condition, disability and social support of each single-person households should be continuously educated and promoted. Lastly in order not to feel any difficulty while conducting health behavior for single-person housholds, providing consistent information that can aid in improving cognitive health condition and building strategy to lower cognitive disability alongside promoting various network creating to elevate social support by cooperating with regional society health institutions are desirable ac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