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50 Download: 0

인도네시아 이부운동에 나타난 여성주의적 함의에 관한연구

Title
인도네시아 이부운동에 나타난 여성주의적 함의에 관한연구
Other Titles
A Study about Feminist implication on Indonesia Ibu Movements : Focusing on 'Gerwani' and "Suara Ibu Peduli'
Authors
최형미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장필화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wo feminist movements, Gerwani and Suara Ibu Peduli(SIP), in Indonesia. Gerwani is an active feminst organization when Indonesia was founding as a nation after the second World War. It was involved with the land ownership, the right to work, and various human rights issues for female farmer. By means of working on the increase of nursery, eradicating illiteracy, the members reached up to two millions. It has stayed behind a history because Suharto took advantage of them to eliminate Communism. However, currently feminists have paid attention to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of Gerwani. SIP is a feminist movement, which crucially contributed to democratization of Indonesia in 1998. It organized a demonstration in public place in the time of the first class national security alert from Suharto's Govenrment funtioning as a great oppression to Indonesian. During the expansion of neoliberalism and the great inflation by financial crisis due to the corruption of Suharto's New Order, SIP made a voice, asking price stabilization policy to the government.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Ibu, it criticized economic policies which made domestic economy in great troubles. This motivated and inspired many women from various classes to participate its movement. SIP has been conceived as an antipoverty movement by middle class women rather than a political movement. After Suharto's resignation, SIP began to have more concern to welfare and education of women. Gerwni and SIP emerged in different historical and political background. However,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Ibu(mother) was the subject of both. Thus, this study initially analyzes the concept of Ibu in both. Then, how these Ibu's movement could establish a new political space in Indonesian society by reconciling and disputing with gender order. In order to evaluate Gerwani movement, I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online resources as well as interviewing Indonesian woman activists. For SIP, I interviewed previous movement leaders and woman activists, and analyze online resources. The main argument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points. Firstly, 'Ibu' in Indonesia is not stable but flexible concept. Traditionally, female Javanese had economically powerful in family. Motherhood was practiced by women within extended or pseudo family. There was no singular understanding of motherhood as women took several roles in family. Whilst, Dutch colonial government set up Ibuism implying 'mother gives everything without any expectations of rewarding' in regard to noble Javanese women. It had its own purpose to resolve some problems such as 'natives' diverse sex culture' and 'the high death rate of infants' in terms of 'Ibuism' By insisting Kaum Ibuism, male nationalist intellectuals forced women to become mother of nation capitalizing liberation and founding national state. But they did not likely share political power. Governors in New Order also invented 'State Ibuism' in favour of maintaining long-term military dictatorship. Many women organizations was grasped by wife group of officials. PKK as family welfare program was aa instrument to control women. Secondly, Woman activists can grant political authority to Ibu through reconceptualization. Gerwani could reembark feminist movement by reconceptualizing patriarchical concept of Ibu. Ibuism was criticized by Gerwani who were women experiencing intersectional oppression of sexism and classicism. They strongly disagreed with Kaum Ibuism which cannot attain an understanding of mother on grassroots facing the struggle for survival. Based on women's experience, they built up 'militant mother' and fought against domestic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those which were significant issues on women's rights. They also emphasize women's participation on politics in order to bring out social reformation. Lastly, the de-politicalized term 'Ibu' formulates political menaing in a certain radical concept. From this depoliticalization, SIP had a strategy to make political statements. "Down Susu" implies the concern of mother taking care of children. But "Susu" also signifies Suharto. Thus, they are not just de-politicalized Ibu but members of civil society by strategically deploying dualistic character, more specifically hybridic identity. Towards the threat of power, they practiced their 'depoliticalized Ibu' identity. However, indirectly, they politically stated "Down Susu" as meaning of "Resign Suharto" in civil society. The more SIP defined themselves as non-political Ibu. The more their message spreaded out and shared. This study employs Crenshaw's "intersectionality" as a main theoretical concept. Crenshaw argues that the difference among women can become a political concept because it results from the intersectioned oppression. Thus, intersection theory may provide an account on how two different strategies on Ibu, namely Gerwani's 'militant mother' and SIP's de-politicalized 'Ibu', were chosen in their own movements. This study on Ibu movement in Indonesia represent how diverse the meanings of Ibu(mother) can be. And it also shows that how Indonesian women could become subjective by means of signifying their own term or concept 'Ibu'. Rather than they were encapsulated on motherhood ideology.;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여성운동인 ‘거르와니(Gerwani, 1950-1965)’와 ‘수아라 이부 페둘리(Suara Ibu Peduli, 걱정하는 어머니의 목소리, 이하 SIP, 1998)’ 에 나타난 ‘이부(Ibu, mother, 어머니)운동’에 관한 연구이다. 거르와니는 세계 2차 대전 이후 인도네시아 국가건설이 진행될 때 활동한 기층여성중심의 여성운동단체이다. 거르와니는 여성농민들의 토지권, 노동권 그리고 다양한 인권이슈에 관여했으며 회원수가 2백만에 이르렀다. 그러나 수하르토 정권이 공산당제거의 수단으로 거르와니를 이용하고 몰락시키면서 그들의 행적은 역사에서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부터 인도네시아의 페미니스트들은 이 운동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반면, SIP는 1998년에 인도네시아 민주화 운동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여성운동이다. 이 운동은 수하르토가 장기 집권을 위해 1급 보안령을 내린 억압적 상황에서 최초로 공공장소에서 시위를 하여 다양한 집단이 수하르토 퇴진 운동에 참여하게 한 시발점이 되었다. 수하르토 신질서(New Order) 정권의 부패와 신자유주의가 확장되며 발생된 아시아 금융위기가 물가를 치솟게 했을 때, SIP는 고통 받는 기층민들을 위해 물가안정을 호소했다. 특히 그들은 파탄에 이른 가정경제로 힘겨워 하는 ‘이부’들의 입장에서 정부의 경제실책을 비판함으로써 다양한 계층의 많은 여성들이 운동에 참여하는 동기와 기회를 만들었다. 그러나 수하르토가 퇴진한 이후에 SIP는 그들의 정치적 활동보다 빈곤운동을 하는 중산층 어머니운동으로 평가되고 있고, SIP이름만을 보존한 채 여성들의 복지와 교육활동 중심의 여성단체로 전환되었다. 이 두 가지 운동은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시점과 상이한 정치적 상황 속에 나타났지만 공통적으로 ‘이부’를 운동의 주체로 내세우고 있다. 본 연구는 각각의 운동이 사용한 이부의 개념을 분석하고, 이부 운동이 어떻게 젠더질서와 타협하고 교란하며 새로운 정치적 공간을 만들어 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및 면접조사를 주요한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미디어와 인터넷 자료 등을 보조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는 다름과 같다. 첫째, 인도네시아 안에서 ‘이부’ 개념은 시대별로 문화별로 그 의미가 변하는 불안정하고 유동적인 개념이다. 전통 자바여성들은 경제적 능력이 있었고 모성은 유사가족이나 확대가족 안에서 여러 명의 여성들이 함께 수행하는 것이었다. 여성들의 다양한 역할만큼 모성에 대한 이해도 규정되기 보다는 다양했다. 그러나 네덜란드 식민정부는 네덜란드 엘리트 계층과 인도네시아 자바 귀족들의 모성을 반영하여 ‘대가없이 주는 어머니’ 라는 의미로 여성들을 규정하는 이부이즘을 만들었다. 이들은 이부이즘을 통해 ‘선주민들의 자유로운 성문화’와 ‘높은 영아사망’ 등의 문제를 해결하려 하였다. 남성 엘리트 민족주의자들도 ’카움 이부이즘(Kaum Ibuism)을 주장하며 여성들에게 민족해방과 국가 건설에 앞장서는 민족의 어머니가 될 것을 요청했지만 그들의 정치적 권력을 여성들과 공유하지 않았다. 신질서 정권(New Order)의 통치자들도 ‘국가이부이즘(State Ibuism)’을 만들어 장기군사독재를 유지하는데 사용하였다. 공무원 부인단체들은 여성단체를 장악하였고, 여성들을 중심으로 운영된 가족 복지 프로그램은(PKK)을 전국으로 확산해 여성들을 통제하였다. 이부이즘은 식민정권, 민족주의자, 독재자, 군인들 등 남성통치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용되었고 여성들을 시민으로서 존중하기보다 특정목적에 사용하기 위해 도구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여성운동가들은 ‘이부’를 재 개념화하여 여성들의 정치참여의 정당성을 주장하려는 시도를 거듭해왔다. 거르와니는 기층여성들의 입장에서 남성통치자들이 중산층 모성을 반영해 만든 ‘이부이즘’를 비판하고 재 개념화함으로써 여성운동의 새로운 정치의 장을 열었다. 기층여성경험을 반영한 ‘전투적 어머니’를 내세워 여성들의 권리를 위해 싸웠고 가정폭력, 성폭력 등을 반대하는 다양한 여성인권 문제에 관여하였다. 또한 착취와 차별의 근간이 되는 사회구조를 변혁시키기 위해서 여성들이 정치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거르와니가 성차별과 계급차별의 교차적 억압 속에 처한 기층여성들의 입장에서 이부를 새롭게 개념화 한 것이다. 셋째, 탈 정치화된 ‘이부’는 급박한 정치적 맥락에서 정치적 의미성을 발화하였다. SIP(1998)는 탈 정치화된 ‘이부’로 자신을 위치시켜 정치적 발언을 하는 전략을 펼쳤다. ‘우유값을 내려라 (Down Susu)’ 라는 그들의 슬로건은 몇 십 배로 치솟은 생활필수품의 가격을 내리라는 어머니들의 목소리로 들리기도 하지만, 다른 면에서 이것은 정치적 함의를 갖고 있다 ‘수수’는 수하르토를 의미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탈 정치화된 이부이면서 동시에 정치의식을 가진 시민이기도 한 혼종적 정체성을 운동 전략에 사용하였다. 정치적 발언을 금지시킨 국가 권력이 그들의 ‘정치적 의도’를 추궁하면 ‘비 정치화된 이부’ 정체성을 내세웠고, 정치적 변화를 기다리는 시민사회에서 그들은 간접적이지만 강렬하게 ‘수하르토 하야(Down Susu)’라는 정치적 발언을 공표하였다. SIP가 정치적인 의도가 없는 ‘이부’ 일뿐이라고 주장하면 할수록 그들의 정치적 메시지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확산되었다. 본 연구는 크렌쇼(Crenshaw, 1989)의 교차성(Intersectionality) 이론을 분석의 프레임으로 가져왔다. 크렌쇼는 여성들 간에 등장하는 차이가 억압의 교차성에 의해 나타난다고 주장하여 차이들을 분석가능한 정치적 개념으로 보여주었다. 거르와니는 정치적 참여를 중요하게 여기는 '전투적 어머니'를 운동에 내세웠고, SIP는 수하르토 정권이 탈정치화한 이부를 운동에 접목시켰다. 교차성 이론은 왜 두 가지 운동이 서로 상반된 의미를 갖는 ‘이부’를 전략으로 선택하였는가를 설명하는데 이론적 틀을 제공한다. 인도네시아의 이부운동에 관한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역사의 맥락에서 ‘이부’, 즉 어머니의 의미가 얼마나 다양한가를 보여주며, 여성들이 ‘이부’호명에 의한 모성이데올로기에 갇혀있지 않고 적극적으로 이부를 활용하는 주체일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