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4 Download: 0

한국청년의 불안치유를 위한 목회적 돌봄 연구

Title
한국청년의 불안치유를 위한 목회적 돌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astoral care to heal anxious Korean young people
Authors
김신혜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희성
Abstract
본 논문은 목회적 돌봄의 관점에서 한국 청년들의 불안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원인을 밝히고 이에 기초하여 치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목표를 위하여 한국 청년의 불안을 분석할 목회적 돌봄 이론을 탐색하고 그 이론에 따른 청년 불안을 치유할 방법을 연구했다. 한국 청년들이 호소하는 주된 감정을 불안이라고 할 정도로 불안은 한국 청년들에게 중요한 문제로 부상하였다. 요즘 들어 한국 청년을 주제로 하는 대중매체나 기사를 살펴보면 학자금대출, 취업난, 고용불안, 저임금, 주거문제, 인간관계 포기 등의 내용이 주요 부분을 자치하고 있다. 이런 실태는 한국 청년들이 예측할 수 없는 미래로 인해 불안을 겪고 있는 상황을 방증한다.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는 한국 고유문화의 정형화된 성공 기준에 못 미칠 때 청년들에게 실패감을 심어주어 불안을 심화시킨다. 이처럼 개인적, 사회문화적 영역에서 다양한 요인들이 한국 사회 내 청년 불안 문제를 점점 더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 전통적 관점은 불안의 원인을 밝히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미 오래전부터 전통적 관점은 불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불안을 유발하는 요인과 치유방안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공헌을 했다. 그러나 이 관점으로 한국 청년의 불안을 연구하는데 한계를 갖는다. 한국 청년에게 만연한 불안을 유발하는 요인은 신학적, 심리학적, 사회문화적 영역 전반에 걸쳐 존재한다. 그러나 전통적 관점은 불안 이해나 치유에 있어 개인주의적으로 환원하여 한계를 갖는다. 한국 청년들의 불안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는데 그들의 가족, 교육, 경제문화 등 전인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청년들의 불안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하여 다각적 불안 요인을 연구하고자 한다. 존 패튼의 목회돌봄 패러다임을 활용하여 한국 청년, 특히 교회 내 청년의 불안을 유발 하는 요인과 치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고전적 패러다임에서 청년 불안은 개인 내면에 존재하는 메시지 즉, 편협한 하나님 이해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패튼의 관점으로 불안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치유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개인의 신학적 메시지를 확장하고, 임상적 치유방안을 도입하고, 공동체가 함께 상황적 요인을 개선하고, 치유적 돌봄을 제공하여 신학적, 임상적, 상황적 공동체적 측면에서 전인적으로 회복될 때 불안을 치유할 수 있다고 보았다. 패튼의 패러다임에 따라 엘리야의 불안과 치유방안을 모색하여 이 이론의 기독교적 자원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증하였다. 그리고 동일한 패러다임으로 한국 청년의 불안을 분석하고 치유하는 개인의 회복을 기대한다.;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eriousness from a pastoral care and to discover the resolutions that anxiety problems Korean young people encounter. In order to fulfill this aim, this study explored the pastoral care theory analyzing the anxiety of Korean young men and it also aims to find methods to help them to heal the anxiety by using same theory. The anxiety has become a significant problem of Korean young people for it has emerged as one of main sentiments they express. Recently, the mass media and articles, with the main target as Korean young people, directly address difficulties about student loans, unemployment crisis and problems, job instabilities, low wages, residence problems, and human relations, etc. Moreover, the Korean society even intensifies the anxiety by burdening with a sense of failure, when a Korean young man is inferior to the culturally standardized stereotypes of the success in Korea. In this way, various causes derived from individual and sociocultural areas have deepened Korean young people’s anxiety problems. The traditional view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larifying the roots of the anxiety. It has long been studied anxiety. This rendered a lot of service to present heal plans. However, In the traditional aspect, this has limits to study anxiety of the young Korean people. The causes of anxiety for the korean young people has existed across the theology. psychology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But, the traditional perspective studies on the anxiety of young Korean people address the origin of the matter to the individuals. Knowing the root of the matter leads to understand Korean people’s anxiety effectively; It's highly suggested that more various studies should be researched with the topics such as family, education, and economics. In order to fully examine anxiety of young Korean people, those various studies should be acquired beforehand. By applying John Patton’s paradigm of pastoral care, this study will discuss about the provoking causes and provide the resolutions for the anxiety to the young Korean men, especially, Christians. In the classical paradigm, it claims that the young’s anxiety comes from the “message” within oneself, which has been personally understood as God from a narrow viewpoint. With the aspect of the clinical pastoral paradigm, it indicates that mental conflicts trigger mental disorders. Lastly, in the communal contextual paradigm, situational factors lead the individual to form the narrow-minded message. With Patton’s viewpoint, this paper aims to expand the message in a theological way for the individual, to adopt clinical cures, to improve situational factors as a community, and to provide healing cares, therefore, one can be released from the anxiety when holistically cured in theological, clinical, situational, and communal aspects. A demonstrative experiment with Elijah, written in the text, has clearl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Patton’s paradigm as a Christian way of examining the cause of anxiety and its resolution.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analyze young Korean people’s anxiety and to restore individually with the use of the same paradig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