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1 Download: 0

병원간호사의 이상섭식행위 예측모형

Title
병원간호사의 이상섭식행위 예측모형
Other Titles
A Prediction Model of Abnormal Eating Behaviors in Hospital Nurses
Authors
정희자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옥수
Abstract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이상섭식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함으로써 병원간호사의 이상섭식행위 예방 및 중재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기반으로 병원간호사의 교대근무, 직무스트레스, 우울, 수면의 질, 피로, 대처방식(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 및 이상섭식행위의 8개 요인으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2개 대학병원의 여성 간호사 298명이며, 2017년 3월부터 4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과 AMOS 24.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χ2 통계량, Normed χ2, GFI, AGFI, CFI, NFI, IFI. RMSEA와 같은 전반적인 적합도 지수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이상섭식행위는 결혼상태(t=3.129, p=.002), 폭식여부(t=48.608, p<.001), 체질량 지수(F=10.883, p<.001), 체중감량 노력 여부(t=65.086, p<.001), 체형인식(F=11.717, p<.001) 및 유산소 운동 횟수(F=12.877,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근무특성에 따른 이상섭식행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이상섭식행위의 평균 점수는 7.75(±8.40)점이었고, 본 연구에서 임상적 수준의 이상섭식행위를 보이는 대상자는 8%(24명)로 나타났다. 이상섭식행위의 하부 요인별 총점 평균은 절식 5.06(±5.90), 폭식 및 음식의 몰두 1.68(±2.46), 섭식통제 1.01(±1.64)로 나타났다. 이상섭식행위 예측 변수 중 개인적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29.28(±2.99), 조직적 직무스트레스 26.73(±3.77), 우울 18.48(±9.76), 수면 6.79(±5.08), 육체적 피로 12.18(±3.70), 정신적 피로 5.88(±2.71), 적극적 대처(문제중심 대처, 사회적지지) 15.61(±4.20), 소극적 대처(소망적 대처) 7.00(±2.32)이었다. 3. 본 연구의 최종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χ2 통계량 120.672(p<.001), Normed χ2 2.806, GFI .942, AGFI .878, CFI .936, NFI .906, IFI .938, RMSEA .078이였으며, 최종 모형과 실제 자료 간의 모델 적합도는 전반적으로 적합하였다. 4. 교대근무는 직무스트레스(ɤ=.337, p=.005), 우울(ɤ=.234, p=.045), 수면의 질(ɤ=.248, p=.020) 및 피로(ɤ=.194, p=.011)에 모두 유의한 직접효과를 보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적극적 대처(β=-.241, p=.004)와 소극적 대처(β=-.184, p=.047)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보였으며, 우울도 적극적 대처(β=-.166, p=.024)와 소극적 대처(β=-.182, p=.026)에 유의한 직접효과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수면의 질(β=.137, p=.034)과 소극적 대처(β=.205, p=.012)는 이상섭식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면의 질이 나쁠수록, 그리고 소극적 대처를 많이 사용할수록 이상섭식행위 정도가 높았다. 6. 본 연구에서 이상섭식행위에 대한 교대근무, 직무스트레스, 우울, 수면의 질, 적극적 대처 및 소극적 대처의 설명력은 15.5%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수면의 질과 소극적 대처는 병원간호사의 이상섭식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교대근무와 우울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상섭식행위 예측변수들이 대처방식을 매개로 이상섭식행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원간호사의 이상섭식행위를 예방하거나 중재하기 위해서는 병원간호사의 이상섭식행위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고, 스트레스에 대해 소극적 대처방식의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방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provide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for hospital nurses to prevent abnormal eating behaviors by establishing a hypothetical model and verifying i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abnormal eating behavior of hospital nurses. A hypothetical model was established and tested with eight factors of shift work, job stress, depression, sleep quality, fatigue, coping strategy (active and passive coping), and abnormal eating behavior of hospital nurs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subjects were 298 nurse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March to April,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1.0 and AMOS 24.0 programs and the fitness of the study model was verified with overall fit index such as χ2 statistics, Normed χ2, GFI, AGFI, CFI, NFI, IFI, and RMSEA.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29.90(±5.40) years. The mean number of night shifts per month during the past one year was 5.04(± 3.45) days, and the total duration of shift work during the last 2 years was 14.65(±10.37) months. Among the job stresses, personal job stress was 29.28(±2.99) and organizational job stress was 26.73(±3.77) points. Depression was found to be 18.48(±9.76) and the mean of sleep, physical fatigue, and mental fatigue were 6.79(±5.08), 12.18(± 3.70), and 5.88(±2.71), respectively. For coping, mean of active coping (problem-solving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was 15.61(±4.20), while that of passive coping (escape-avoidance coping) was 7.00(±2.32). Abnormal eating behaviors were 5.06(±5.90) for dieting, 1.68(±2.46) for bulimia and food preoccupation, and 1.01(±1.64) for oral control. 2. The goodness-of-fit indices of the final model satisfied the recommended level with χ2 120.672(p<.001), Normed χ2 2.806, GFI .942, AGFI .878, CFI .936, NFI .906, IFI .938, RMSEA .078 and ten hypotheses for 19 paths set up in the final model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3. Shift work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all of job stress(ɤ=.337, p=.005), depression (ɤ=.234, p=.045), sleep quality (ɤ=.248, p=.020), and fatigue (ɤ=.194, p=.011) respectively. Job stress and depression showe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both active coping (β=-.241, p=.004; β=-.166, p=.024) and passive coping(β=-.184, p=.047; β=-.182, p=.026). 4. The factors that have direct effects on abnormal eating behavior were sleep quality(β=.137, p=.034) and passive coping (β=.205, p=.012),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leep quality and the more the passive coping, the degree of abnormal eating behavior was higher. In the present study, the variance of shift work, job stress, depression, sleep quality, fatigue, and coping style of hospital nurses for abnormal eating behavior was 15.5%. Fro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leep quality and passive coping were found to be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in explaining the abnormal eating behavior of hospital nurses. Therefore, intervention measures for nurses that reduce sleep problem and improve the use of passive coping method for stress should be searched for to prevent the abnormal eating behavior of hospital nurses. It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mental and physical health, and patient care of hospital nur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