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8 Download: 0

성인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자기관리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itle
성인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자기관리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Effect of Self-management Efficacy Promotion Program for Adul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Authors
이미자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 선천성 심장병 환자를 대상으로 자기관리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성인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질병관련 지식, 자기관리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중재의 개발 단계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초안을 구성하고 6인의 전문가 집단 자문과 3인에게 예비연구를 거쳐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개발된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계에서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시차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S병원에 등록된 성인 선천성 심장병 환자 52명으로 실험군 27명, 대조군 25명이었다. 성인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자기관리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Bandura의 자기 효능이론에 근거하여 언어적 설득, 대리경험, 성취경험, 생리적·정서적 각성 완화의 효능자원을 활용해 자기관리 효능감을 향상시킴으로서 자기관리 이행을 유도하도록 마련되었다. 실험군에게 제공되는 중재기간은 총 6주간 주 1회 6차시로 제공되었다. 중재의 내용은 1회의 주제별 교육, 3회의 전화와 이메일을 통한 개별교육과 상담, 3회의 성공적인 자기관리 사례자의 동영상 제공, 2회의 면대면 자조모임이 실시되었다. 자료 수집은 중재 전 사전조사, 중재 6주 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내용으로는 설문지를 이용해 질병관련 지식, 자기관리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전과 중재 후의 변화는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질병관련 지식은 집단 간, 시점 간 차이, 시점과 집단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자기관리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로 실험군의 질병관련 지식이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관리 이행은 집단 간, 시점 간 차이, 시점과 집단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자기관리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로 실험군의 자기관리 이행이 향상되었다고 할 수 있다. 3. 실험군과 대조군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집단 간, 시점 간 차이, 시점과 집단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관리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로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성인 선천성 심장병 환자의 자기관리 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은 질병관련 지식과 자기관리 이행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삶의 질의 영향요인인 질병의 중증도, 신체적 기능 상태, 심리사회적 문제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부분이 제한점으로 나타나 추후 반복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lf-management efficacy promotion program for adul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and to test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on disease related knowledge, self management implementa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intervention, drafts were made through literature reviews, and the final program was deriv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6 experts' group consultation and applying the preliminary research to 3 peopl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intervention, study were conducted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tudy subjects were 52 adult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patients registered in S hospital in Seoul, 27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self-management efficacy promotion program for adul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is based on Bandura's theory of self-efficacy. It is designed to induce the self management implementation by improving efficacy for self management using efficacy resources of verbal persuasion, proxy experience, achievement experience, and physiological and emotional arousal. The intervention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6 times a week for a total of 6 weeks. The contents of the intervention included one subject education, three sessions of telephone education and counseling via e-mail, three videos of successful self-management cases, and two self-help group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6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disease-related knowledge, self-management implementa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1.0. Repeated measured ANOVA was used to verify the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sease related knowledg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 the time difference, and the interaction of the group and the point of view, so it can be said that the disease related knowledg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by the effect of the self-management efficacy program. 2. The self-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 the time difference, and the interaction of the group and the point of view, so it can be said that the self-management performa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by the effect of the self-management efficacy program. 3.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between the time difference, and between the time and the group interaction, so it can be said that the effect of the self-management efficacy program did not affect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the self-management efficacy program for adults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sease-related knowledge and self-management implementation, but did not affec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the seriousness of the disease, the physical functioning state, and the psychosocial problems was not taken into account and this has shown to be a limitation of the study.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