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65 Download: 0

조기폐경 여성의 체험

Title
조기폐경 여성의 체험
Other Titles
The Experience of Women with Premature Menopause
Authors
성지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경림
Abstract
조기폐경 여성은 난소기능의 영구적 저하로 인해 가임능력이 상실되어 불임의 고통을 경험하며, 장기적인 에스트로겐 호르몬 결핍으로 인해 심혈관계, 신경계, 근골격계 등의 건강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관련하여 조기폐경 여성은 가임능력 회복과 폐경기 건강관리와 관련되어 다양한 간호요구를 필요로 하지만 실제 제공받고 있는 의료서비스의 수준은 조기폐경 여성의 요구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조기폐경 여성이 필요로 하는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조기폐경 여성의 체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2005년에서 2014년 사이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국내 여성의 폐경 나이를 조사한 결과 40세 이전에 폐경이 되었다고 응답한 여성은 2005년 1.3%에서 2014년 2.5%로 나타나 약 2배 정도 증가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나 국내 조기폐경 여성의 체험에 대한 연구는 외국에 비해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기폐경 여성의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van Manen (2000)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탐색하여 조기폐경 여성의 생생한 체험을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40세 이전에 조기폐경 진단을 받은 5명의 무자녀 기혼여성으로 목적적 표본추출을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4월부터 2015년 6월까지로 5개 지역의 대상자를 방문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필요시 전화면담을 통해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충분히 수집하였다. 또한 다양한 체험의 원천으로 문학작품인 소설 5편과 예술 작품인 영화 1편과 드라마 3편을 통해 조기폐경 여성과 관련된 자료를 탐색하여, 18개의 주제와 6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여 글쓰기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조기폐경 여성의 체험은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절망함’, ‘조기폐경의 원인에 대해 숙고하며 후회함’, ‘가임능력 상실로 여성성이 박탈되어 마음의 상처가 깊어짐’, ‘주변의 시선과 자책감에 한없이 움츠러듦’, ‘삶의 모든 초점이 임신으로 지향됨’, ‘절망적인 현실 속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음’으로 6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모두 30대의 기혼여성으로 나이 많은 여성에게만 오는 줄 알았던 폐경이 젊은 자신에게 찾아온 사실을 믿기 어려워하였으며 조기폐경이 감당할 수 없는 하나의 큰 사건으로 느껴졌다. 그로인해 감정 컨트롤이 잘 되지 않아 시도 때도 없이 우울한 생각이 들었으며, 모든 일에 무기력해졌다. 또한 조기폐경을 진단 받은 여성들은 젊은 나이에 임신이 불가능할지 모른다는 사실에 모든 희망이 사라지는 절망감에 빠졌다. 그동안 자신의 몸에 나타난 이상증상들이 조기폐경의 전조증상 이라고 생각하지 못하였으며, 젊은 여성에게 조기폐경이 올 수 있다는 것조차 알지 못해 안일하게 대처하였다. 몸에 이상이 있다고 인지한 후 병원을 방문했을 때는 이미 치료시기를 놓친 뒤였으며, 자신의 몸을 제대로 돌보지 못해 조기폐경에 이르게 된 충격을 감당하기 어려워 조기폐경의 원인이 그 누구의 잘못도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자신의 주변사람들을 탓 하며 원망하였다. 그러면서도 자신에게 발생한 조기폐경의 원인이 무엇인지 고민하는 숙고의 시간을 가지면서, 자신의 몸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고 미리 대처하지 못한 자신을 반성하며 후회하였다. 참여자의 월경이 끊김으로 인해 여성의 고유 기능인 임신과 출산을 할 수 없다는 생각으로 여자로서의 삶이 끝났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면서 그동안 친구들과 편하게 나누었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이야기에 자신이 낄 자리가 없는 것을 느끼며 스스로 위축되는 것을 느꼈으며, 내세울 것 없는 초라함에 여성으로서의 자존심이 무너지는 경험을 표현하였다. 그러면서 자식을 가질 수 없는 자신을 안타깝게 바라보는 주변사람들의 시선이 불편한 한편 가족들에게 원하는 소식을 전해줄 수 없다는 상황에 미안한 마음이 들었으며, 결혼을 한 여성이라면 당연히 자식을 낳아야 한다는 사회적 통념과 자식을 낳지 못하는 여성을 이상하게 바라보는 주변 사람들의 시선과 자책감에 힘들고 괴로워하였다. 그리고 한 집안의 대를 잇지 못한다는 부담감과 대를 잇지 못하는 원인이 자신에게 있다는 사실을 시댁에 밝힐 자신이 없어 끝까지 숨기고 싶어 하였으며, 자신을 둘러싼 모든 주변의 시선에 신경이 곤두서있어 마음이 편치 않은 경험을 하였다. 조기폐경을 진단받은 여성들은 진단 이후 젊은 나이에 임신이 안 된다는 사실에 심한 충격을 받았으며, 더 늦기 전에 가임상태 회복을 위한 치료에 집중하였다. 모든 참여자들은 의사로부터 에스트로겐호르몬 결핍과 관련하여 호르몬치료를 권유받았으나 갱년기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의사와 가임능력 회복을 위한 자신의 치료목적이 다르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속상해하였다. 그러면서 호르몬치료가 가임상태 회복을 위한 치료가 아니라는 이유로 의사와 상의 없이 치료를 중단하거나 시작조차 하지 않았으며, 다른 치료방법을 통한 가임상태 회복을 위해 매진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은 가임상태 회복을 위해 부단히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임신이 어려운 상황에 좌절하며 현실을 받아드리려 노력하지만 이내 자신이 임신을 할 수 없는 현실을 온전히 받아드리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더 늦기 전에 다시 한 번 가임상태 회복을 위해 노력하기로 마음먹었다. 또한 가임상태 회복이 쉽지 않음을 인지하고 자식을 낳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찾게 되면서 난자공여 방법을 알게 되었고 쉽지 않은 방법이지만 자식을 가지고 싶다는 간절함에 할 수 있다면 시도해보고 싶어 하였다. 그러면서도 조기폐경이라는 절망적인 현실 속에서 좌절만하고 있기보다 자신이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며 수렁에서 헤어나고자 안간힘을 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무자녀 기혼여성의 조기폐경 체험이라는 독특한 경험을 탐색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조기폐경 여성은 에스트로겐 호르몬 결핍과 관련된 건강문제와 가임능력 상실로 인한 불임을 경험하게 되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다양한 간호요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조기폐경 여성의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색하여 그들의 체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조기폐경 여성을 간호하는데 있어 귀중한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Women with premature menopause experience the pain of infertility due to their loss of childbearing potentials caused by the permanent decline of ovarian function, and their long-term estrogen deficiency results in cardiovascular, neurological, musculoskeletal, and other health problems. In this regard, women with premature menopause have various nursing needs in terms of restoring fertility and menopausal health care, but the level of medical services they actually receive is insufficient to meet their needs. According to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conducted by the CDC between 2005 and 2014 which investigated the age of menopause in Korean women, the number of women who were menopausal before 40 years of age was 1.3% in 2005 and 2.5% in 2014, which enabled to confirm the fact that the number had almost doubled; however, researches on the experience of women with premature menopause in Korea is insignificant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women with premature menopause by using van Manen's (1990)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vividly understand their lived experienc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ve married women without children who were diagnosed with premature menopause before the age of 40,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of 2013 to Jun of 2015; the subjects in five different areas were visited and interviewed thoroughly in person, and when necessary,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over the phone additionally until data saturation was reached. In addition, data related to women with premature menopause for the sources of diverse experiences was explored through five novels, one artistic film and three dramas, and writing was proceeded after 18 themes and six essential topics were drawn.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six essential themes of the experience of women with premature menopause: “despair in unexpected situations,” “pondering and regretting about the causes of premature menopause,” “feeling wounded from the deprivation of femininity by the loss of fertility,” “being withdrawn from the views of others and guilt,” “focusing the life on restoring fertility,” and “holding on to hope despite the despairing reality'. Participants were all married women in their 30s, having difficulty in believing the fact that menopause, which was thought to happen only to older women, happened to them at such a young age, and they were seeing the premature menopause as a big event that they could not cope with. Thereby, they could not control their emotions well, which led them to feeling depressed and helpless in everything. Women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premature menopause also fell into the despair of losing all hopes from learning the fact that they may never be able to become pregnant at such a young age. Unable to foresee the abnormal symptoms in their bodies as the precursor symptoms of premature menopause and not even knowing that premature menopause could happen to young women, they did not handle the symptoms accordingly. When they visited hospitals after finally recognizing the abnormality, they had already missed the right time for the treatments. Unable to bear the shock from the fact that not properly taking care of their own body led to premature menopause, they blamed some people around them even though they knew that other people were not to be blamed as the cause of their premature menopause. On the other hand, after having time to contemplate on the cause of premature menopause that had occurred to them, they regretted that they had not accurately checked and accordingly handled their body conditions in advance. Participants, having lost their menstruation, thought that their life as a woman was over because they could not have pregnancy and childbirth, which are inherent functions of women. In the meantime, they felt intimidated as they saw no place to take part in the conversations they had naturally shared with their friends in the past about pregnancy and childbirth. Additionally, they experienced a loss of self-esteem as a woman from feeling small as they felt as if they had nothing to be proud of. They felt uncomfortable of the people around them feeling sorry for their inability to have children, but at the same time, felt apologetic toward their families for not being able to provide the family what they wanted. In addition, they suffered from social conventions that married women should have children and were agonized under the negative view of the society on the women who cannot bear children. With the burden of not being able to carry on a family line, they could not bring themselves to reveal the fact that the cause lied on them to the in-laws and wanted to conceal it as long as possible. They experienced feeling uneasy at all times as they were on edge of all the opinions of the people around them as well. Women diagnosed with premature menopause were severely shocked after the diagnosis by the fact that they lost the ability to conceive at such a young age, and they focused on remedies to restore the state of fertility before it was too late. All participants were advised by their physicians to receive hormone treatments in relation to estrogen hormone deficiency, but were upset to find that the treatment goals were different for physicians, which was to treat menopausal symptoms, whereas their goal was to restore fertility. Therefore, because hormone therapy is not a treatment for restoring the condition of childbearing, they stopped the treatment without consulting with the doctor or did not even start one, seeking other remedies to restore fertility. Participants were frustrated with fruitless results and not being able to be pregnant despite their endless efforts to recover the condition of fertility; they tried to accept the reality but decided to try to recover the fertility before it was too late just one more time after they realized that they were not able to fully accept their state that they could not conceive. They realized that it was not easy to recover the fertile state; in addition, as they researched for various ways to give birth to a child, they came across egg donation method and although they knew it was not an easy process, they wanted to try it out of their desperate desire to have a child. On the other hand, they were found to be struggling to pull themselves out of the pit by attempting all means they could utilize instead of just being frustrated by the desperate reality of premature menopau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unique experience of premature menopause of married women without children. Women with premature menopause have a variety of nursing needs in their special circumstances of experiencing health problems related to estrogen hormone deficiency and infertility due to loss of fertilit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women with premature menopause can be explored in depth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 and that it can be utilized as valuable data for nursing women with premature menopau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