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6 Download: 0

악성 골종양 환자의 질병지각, 가족의 강인성과 암 심리적응에 관한 연구

Title
악성 골종양 환자의 질병지각, 가족의 강인성과 암 심리적응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llness Perception, Family Hardiness and Mental Adjustment to Cancer of Primary Malignant Bone Tumor Patients
Authors
윤여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주현
Abstract
본 연구는 악성 골종양 환자의 질병지각과 가족의 강인성이 암 심리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시 G구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악성 골종양을 진단받고 외래를 추적관찰 하거나 병동에 입원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G pow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소로 필요한 연구의 대상자 68명에 도달할 때 까지 편의표집을 시행하였다. 질병지각은 Broadbent 등(2006)이 개발하고 성연실과 이영휘(2011)가 번안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가족의 강인성은 McCubbin 등(1986)이 개발하고 서문경애(2005)가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암 심리적응은 Watson 등(1994)이 개발하고 수정·보완한 도구를 Kang 등(2008)이 번안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 23.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총 68명으로 평균연령은 39.46±14.98세였으며 남성이 52.9%(36명)이었다. 악성 골종양을 진단받은 후 9.81±3.63개월이 경과하였고 수술을 받은 대상자는 95.6%(65명)이었다. 2. 대상자의 질병지각은 38.12±12.95점, 가족의 강인성은 54.40±8.56점이었다. 암 심리 적응의 하위영역에서 무력감 12.84±3.76점, 불안몰두 18.99±5.07점, 인지적 회피 10.59±2.33점, 긍정적 태도 25.15±4.20점으로 보고되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ᆞ·질병관련 특성에 따라 질병지각과 가족의 강인성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는 없었다. 암 심리적응 중 인지적 회피는 월 소득(t = 2.29, p < .05), 긍정적 태도는 주 보호자(F = 3.84, p < .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질병지각(r = .446, p < .001)은 암 심리적응 중 무력감과 양의 상관관계, 가족의 강인성(r = -.475, p < .002)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질병지각(r = .644, p < .001)과 무력감(r = .561, p < .001)은 불안몰두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r = .290, p < .05), 가족의 강인성(r = .561, p < .001), 인지적 회피(r = .282, p < .05)는 암 심리적응 중 긍정적 태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진단기간(r = -.274, p < .05)과 무력감(r = -.293, p < .05)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연령, 진단기간, 질병지각, 가족의 강인성이 암 심리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무력감에 질병지각(β = .39, p < .001)과 가족의 강인성(β = -.40, p < .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몰두에는 질병지각(β = .66, p < .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요인은 연령(β = .29, p < .05) 진단기간(β = -.23, p < .05), 질병지각(β = -.19, p < .05), 가족의 강인성(β = .56, p < .001)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연령, 진단기간, 질병지각, 가족의 강인성이 대상자의 암 심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질병지각과 가족의 강인성이 악성 골종양 환자의 암 심리적응에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들의 긍정적인 질병지각과 가족의 강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대상자의 연령과 진단기간을 고려한 간호 중재를 제공이 필요하며, 긍정적인 질병지각과 가족의 강인성을 향상시키면 악성 골종양 환자가 성공적인 암 심리적응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To better understand the recently increasing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malignant bone tumors and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successful adaptation, relationships with illness perception, family hardiness, and mental adjustment need to be exam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how the occurrence of primary malignant bone tumor is correlated with illness perception, family hardiness, and mental adjustment. The study was conducted (at a hospital) on the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th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 The Study was carried out using the Korean version of Brief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B-IPQ) for illness Perception, Family Hardiness Index(FHI) for family hardiness, and Mental Adjustment to Cancer(Mini-MAC) for mental adjustment to cancer. The sample size was 68 and the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11th 2016 to April 4th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SPSS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o ru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average age of patients is approximately 39.46±14.98. Of the patients, 52.9% is female and 95.6% is the patient who has received surgery. The average time sinc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 has been diagnosed is approximately 9.81±3.63 months. 2. The mean score of illness perception was 38.12±12.95, family hardiness was 54.40±8.56, mental adjustment to cancer's subscale was helpless-hopeless 12.84±3.76, anxious preoccupation 18.99±5.07, cognitive avoidance 10.59±2.33, positive attitude 25.15±4.20. The cognitive avoidance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economic conditions(t = 2.29 p < .05). The positive attitude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primary caregivers(F = 3.84, p <.05). 3. Illness perception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elpless-hopeless(r = .47, p < .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amily hardiness(r = -.48, p < .001). Anxious preoccupation shows positive correlations with both illness perception(r = .64, p < .001) and helpless-hopeless(r = .56, p < .001). Positive attitud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r = .29, p < .05), family hardiness(r = .56, p < .001), and cognitive avoidance(r = .28, p < .05), while it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elpless-hopeless(r = -.29, p < .05) and the time elapsed sinc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r = -.27, p < .05) have been emerged. 4. Results of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helpless-hopeless results in the illness perception (β = .39, p < .001) and family hardiness (β = -.40, p < .001) with high confidence level. Anxious preoccupation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for illness perception(β = .66, p < .001). Positive attitude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for age(β = .29, p < .05), diagnosis duration(β = -.23, p < .05), illness perception(β = -.19, p < .05), and family hardiness(β = .56, p < .001).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s that age, diagnosis duration, illness perception and family hardiness influences mental adjustment to cancer. Illness perception and family hardiness is the most remarkable factor among the various factors. Therefore, it is evident that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the mental adjustment to cancer is necessary for the primary malignant bone tumor patient. Specifically, it is of greater importance for the patients to improve illness perception and family hardi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