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2 Download: 0

A Study on the Prospect of U.S.-China Trade Relations under Rising Protectionism

Title
A Study on the Prospect of U.S.-China Trade Relations under Rising Protectionism
Authors
이태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병일
Abstract
Protectionism is on the rise again. The WTO has warned about the surge in antitrade rhetoric around the world and a rise in the introduction of protectionist measures by the world’s leading economies During 2016 U.S.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China- bashing was a prevalent rhetoric of both major candidates from Republicans and Democratic parties, as they charged China for damaging the United State’s sluggish economy with ballooning trade deficit and manufacturing job loss. However, this is not a new story. In the 1980s, the U.S. and Japan had trade disputes over the huge amount of trade deficit. Under such analogous background, however, two disputes cases appear to follow different development path. This should be analyzed in the light of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international negotiations. Robert Putnam’s two-level theory explains how international negotiation strike a “plausible deal” in respects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phase. The two-level perspective could be employed as a useful metaphor to examine U.S.-Japan and U.S.-China dispute cases. In the 1980s, U.S. and Japan could dissipate the tension as Japan accepted the unilateral measurement of the United States despite the domestic industries’ opposition. However, in U.S.-China case, with different strategic relations and negotiation leverage, tension is increasing as none of them are willing to make a concession. For instance, China is taking “tit for tat” strategy unlike Japan which attempted to avoid unnecessary conflict. Also, it is hard for U.S. to mend complicated interests of Congress and industries. Based on the two-level perspective, this paper will attempt to analyze the U.S.-Japan trade dispute case during the Reagan administration, and then examine the U.S.-China’s trade dispute case during the Obama administration. We can then distinguish the major factors that contributed to forming each win-set and consequently the negotiation results. This analysis of negotiation factors will provide the prospect of the future evolution of U.S.-China during Trump administration. The three evolutionary path are; Stalemate, China’s concession, and Compromise. Considering the U.S. trade policy during the previous disputes cases and current administration’s trade agenda, the most plausible scenario will be the Stalemate scenario, and the least likely scenario is the Compromise.;보호주의가 다시 부상하고있다. 세계 무역기구 (WTO)는 세계 주요국 경제에 의한 보호 무역 조치의 도입에 대해 경고했다. 2016 년 미국 대선에서 공화당과 민주당, 양당 후보자들은 모두 무역 적자 확대와 제조 일자리 상실로 미국 경제가 부진한 원인으로 중국을 꼽는 China-bashing 하기에 여념이 없었다. 그러나 이것은 새로운 이야기는 아니다. 1980년대 미국과 일본은 엄청난 무역 적자에 대한 무역 분쟁을 겪은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사한 배경 하에서 두 가지 분쟁 사건은 다른 경로를 따르는 듯 하다. 이러한 갈등의 전개과정은 국제 협상의 다층적 구조를 고려하여 분석되어야만 한다. 로버트 퍼트남 (Robert Putnam)의 Two-level Game Theory 국제 협상이 국내 및 국제 단계에서 어떻게 "타결 가능한 협약"을 형성하는지를 설명하여, 미-일 및 미-중 분쟁 사건을 조사하는 데 유용한 두 단계의 관점이 유용한 메타포로 사용될 수 있다. 1980년대 미국과 일본은 국내 산업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일방적 보호무역 조치를 수용하며 갈등을 해소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의 경우, 전략적 관계와 불균형적 협상력 때문에, 양측 모두 양보를 기꺼이 하지 않으므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은 불필요한 갈등을 피하려고 협상의 타협을 추구했던 일본과 달리 "이에는 이 눈에는 눈" 전략을 취하고있다. 또한 미국 내에서도 지역별, 당 별로 복잡한 이해관계에 따라 의견 합치를 이루기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 연구는 Two-level perspective에 기반하여 레이건 행정부 당시의 미일 무역분쟁 사건을 분석하고, 오바마 행정부 시절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 사건을 조사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는 각 win-set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 주요 요인을 분석하여,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국-중국의 미래 무역 갈등 발전 전망을 제공하고자 한다. 세 가지 가능성으로는, 교착 상태, 중국의 양보 및 타협이 있다.이전 레이건 행정부와 오바마 행정부에서의 무역 갈등 대응 양상과, 현 행정부의 무역 정책 기조를 고려할 때,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는 교착 상태이며, 가장 가능성이 적은 시나리오는 타협안이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