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0 Download: 0

다수준 분석을 이용한 혈액투석 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 관련 요인

Title
다수준 분석을 이용한 혈액투석 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 관련 요인
Other Titles
Factors related to Nephrology Nurses’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using HLM
Authors
김미연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주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of nephology nurses’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96 nephrology nurses from 18 hospitals in Seoul,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2th 2017 to April 28th 2017.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include Knowledge, Awareness, Safety environment, and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to obtain percentage,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of each variable. HLM 7 program was used to analyz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vel and hospital level on standard precautions performance. The result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nephology nurses was 37.20±7.28 years. The overall hospital career average was 161.42±83.42 months, while the average work experience in hemodialysis unit was 85.63±68.33 months. 2. The hospitals surveyed was a total of 18 hospitals. The classification of hospital surveyed consist of seven local clinics, six general hospitals, and five university hospitals. 3. The average score of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were 21.17±1.82, 8.72±1.18, and 37.11±6.32 respectively. The average score for safety environment was 4.67±1.62. 4. At the individual level, th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perception of patient’s severity, working experience in hemodialysis units, and safety environment for the subjects’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s. At the hospital level, the significant factors included hospital size differences. 5. 11% of individual level variances of were explained by the nephrology nurses’ individual level variables. The explanatory power of group level variables, which is related group level variance of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s, was 80.6%.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s was influenced by both individual- and hospital-level factors. Therefore, to improve nephology nurses’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s, continuous infection control education needs to be performed as well as safety environment including equipment needs to be established.;본 연구는 혈액투석 간호사의 의료관련감염 예방에 대한 표준주의지침 지식, 인식, 및 수행도와 표준주의지침 수행을 위한 안전환경 구축 인식정도를 조사하고, 다층 모형을 이용하여 표준주의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수준의 요인과 기관수준의 요인에서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 선정을 위해 서울·경기지역에 위치한 10명 이상의 혈액투석 간호사가 근무하는 71개 혈액투석실을 근접모집단으로 하였고, 난수표를 이용하여 45개의 혈액투석실을 단순 무작위 표집하였다. 이 중에서 기관의 허락을 받은 18개의 혈액투석실에서 근무하는 196명의 혈액투석 간호사를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3월 22일부터 4월 28일까지 시행되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표준주의지침 지식과 인식 및 수행도 측정은 서영희와 오희영(201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표준주의지침 수행을 위한 안전환경 구축 인식정도는 이경희, 최주옥, 이경수, 허지안과 황태윤(2014)의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를 분석하였고, HLM 7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종속변수인 표준주의지침 수행에 관련 요인을 개인수준과 기관수준에서 다수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총 196명으로 평균 연령은 37.20±7.28세였으며 여성이 98%(192명)이었다. 대상자의 병원 전체근무경력은 평균 13.45±6.95년이었고, 혈액투석실 근무경력 평균은 7.14±5.69년이었다. 담당투석환자의 중증도 인식정도는 56.5%(110명)가 환자의 중증도가 높다고 생각하였다. 지난 1년간 자상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52.0%(102명)이었고, 환자의 혈액·체액에 노출된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45.4%(89명)이었다. 감염관리 실무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80.1%(157명)이었다. 2. 대상 기관은 총 18개의 기관으로 지역별로는 서울지역이 13개(72.2%)로 가장 많았고, 의료기관 분류기준에 의해서는 병·의원 7개(38.9%), 종합병원 6개(33.3%), 상급종합병원 5개(33.3%)이었다. 간호사 1인당 평균 담당환자수는 7.19±1.00명이었고, 감염관리지침서를 구비한 기관은 11개(61.1%)였다. 3. 혈액투석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지식(25점), 인식(10점), 수행도(45점) 평균 점수는 각각 21.17±1.82점, 8.72±1.18점, 37.11±6.32점이었고, 전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표준주의 수행을 위한 안전환경 구축 인식정도 평균 점수는 6점 만점에 4.67±1.62점을 나타냈다. 4. 혈액투석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는 약 72.9%에서 개인차의 영향을 받고, 약 27.7%는 기관 간의 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주의지침 수행에 영향을 주는 관련 요인은 개인수준에서 혈액투석실 근무경력, 담당투석환자의 중증도 인식정도, 표준주의지침 수행을 위한 안전환경 구축 인식정도이고, 기관수준에서는 병원규모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5. 혈액투석 간호사의 표준주의 수행에 대한 1수준 변량 중에서 개인수준 설명변수들로 설명된 기관내 변량의 설명력은 약 11%로 나타났고, 2수준 변량 중에서 기관수준 설명변수들로 설명된 기관 간 변량의 설명력은 80.6%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수준의 설명변수들 보다 기관수준의 변수들의 설명력이 더 높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혈액투석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개인수준의 요인과 기관수준의 요인이 함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수준에서의 투석실 근무경력에 초점을 둔 감염관리 교육이 필요하고, 표준주의 지침 수행을 위한 안전환경 구축을 위해서 표준주의지침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표준주의지침 준수에 필요한 보호장비의 보유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기관수준에서는 혈액투석실의 병원규모와 상관 없이 모든 혈액투석 간호사가 표준주의지침 준수할 수 있도록 의무적인 감염관리 교육을 받도록 하거나 모든 혈액투석실에서 감염관리를 강화하도록 주기적인 평가 등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