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35 Download: 0

Effectiveness of Development Assistance on Health in Developing Countries, with a Focus on Women’s Health

Title
Effectiveness of Development Assistance on Health in Developing Countries, with a Focus on Women’s Health
Authors
송지선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은미
Abstract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4년까지 129개국의 개발도상국과 45개국의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국가 국민들의 건강에 대한 원조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여성 건강에 대한 원조효과성을 살펴보고자 종속변수를 두 가지로 분류하여 양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성 중립적인 변수인 영유아 사망률, 기대 수명, 그리고 HIV 감염률을 종속변수로 삼아 이에 대한 원조효과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여성 건강에 대한 원조효과성을 분석을 위해 여성 건강을 나타낼 수 있는 산모사망률, 여성의 기대수명, 그리고 여성의 HIV 감염률을 종속변수로 삼았다. 방법론으로는 System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틀과 가설 수립을 위하여 개발에서 여성 건강의 역할, 건강과 교육, 인구 및 성생식 건강, 식수위생보건 분야와의 관계를 다루는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더 나아가 원조효과성에 대한 문헌연구를 다루었는데 이는 가장 전통적인 원조와 경제성장 간의 상관관계부터 원조효과성 향상에 있어 개발도상국의 정책과 제도의 역할, 교육과 보건분야에 대한 원조효과성, 그리고 여성 역량강화와 성평등에 대한 원조 및 개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포함하였다. 보건 및 교육, 성생식건강, 식수위생보건 분야에 대한 원조 패턴을 분석해본 결과 국제사회가 2000년대부터 HIV/AIDS 등 특정 이슈에 대해 집중하고 다양한 공여국 및 공여단체들이 참여를 하기 시작하면서 인구 및 성생식건강 분야에 대한 원조가 급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보건과 인구 및 성생식건강 분야에 대한 원조 중 여성 역량강화와 성평등을 목표로 하는 원조 사업의 규모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양적 분석을 통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첫째, 전체 원조와 인구 및 성생식 건강에 대한 원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낳았으며 특히 전체 개발도상국보다는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국가들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 그 결과가 더 유의미하였다. 둘째, 분야별로 원조 효과성을 분석하였을 경우 인구 및 성색식 건강에 대한 원조가 다른 분야별 원조에 비해 월등히 유의미한 결과를 낳았다. 셋째, 거버넌스와 민주주의는 유의미한 역할을 하지 않았다. 넷째, 원조는 여성 건강을 향상시켰으며 여성건강에 대한 원조효과성을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국가에서 특히 컸다. 해당 결과는 또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development assistance on health in improving the health status of the population in 129 developing countries as well as in 45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both from 1995 to 2014. The health status is represented by child mortality rate, total life expectancy and prevalence of HIV.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shed light on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aid on women’s health by measuring aid effectiveness against three health indicators on women: maternal mortality rate, female life expectancy and prevalence of HIV in female. By selecting health indicators that is comparable by sex, the comparison of results between the empirical tests against gender-neutral and gender-sensitive health variables can show the aid effectiveness on health by sex.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system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 was used. This study utilized the following literature as the bases for the development of hypotheses and research design: (1) the role of women’s health in developing countries; (2) linkage between health and other sectors (i.e. education, population and reproductive healthcare, and water, sanitation and hygiene); and (3) studies on aid effectiveness that covers the aid-growth nexus, the role of good policies and institutions, aid effectiveness by sector (e.g. education and health), and aid and development effectiveness on women. To understand the trend of development assistance on health and other sectors that puts women’s empowerment and gender equality as its direct and indirect objective, this dissertation analyzed the different types of sectoral aid by using the Gender Equality Policy Marker developed by the OECD DAC.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th increasing number of players, has expanded its contribution to improving the health status of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When disaggregating sectoral aid by its linkage to women, aid for the population and reproductive healthcare jumped from the 2000s, and aid for health witnessed increasing amount of projects that targeted women’s empowerment and gender equality as the principal objective. Progress in education and water, hygiene and sanitation sectors has been comparatively modest. The empirical analysis in chapter 5 generat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otal aid and sectoral aid on population and reproductive healthcare had more robust impact on improving the health status of the population in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than in developing countries. Second, aid for population and reproductive healthcare among six different types of aid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inducing substantial impact on health outcomes in both developing countries and in sub-Saharan Africa. Third, quality of governance and the level of democracy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outcomes. Fourth, aid brought about changes in women’s health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 changes were more robust in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and through aid for population and reproductive healthcare than any other types of ai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