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5 Download: 0

미술치료가 쉼터거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itle
미술치료가 쉼터거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for Art Therapy on Resilience of Teenagers Living in Shelter : A Single Case Study
Authors
박계영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애란
Abstract
부모의 이혼 등으로 가정으로부터 괴리된 자녀들의 심리적·정서적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 최초로 쉼터가 개설되었다. 그러나 쉼터거주 청소년들은 정상적인 가정으로부터 유기되어 있다는 한계로 인하여 부적응적인 발달을 보이기 쉬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쉼터 거주 청소년에게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개인의 특성에 따라 적응하고 극복할 수 있는 힘인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는 것은 이들이 향후 독립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가 쉼터거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청소년 쉼터에서 6개월 째 거주 중인 중학교 3학년 남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를 2016년 3월 18일부터 9월 2일까지 주1회, 60분씩 총 20회기 실시하였다. 미술치료가 쉼터거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미술치료 시작 전과 후에 청소년 자아탄력성 척도와 집-나무-사람(HTP: House-Tree-Person) 검사, 동적 가족화(KFD: Kinetic Family Drawing) 검사, 학교 생활화(KSD: Kinetic School Drawing) 검사인 그림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미술치료 회기를 분석하여 미술치료가 쉼터거주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아탄력성 검사의 사전·사후 결과 비교에서 미술치료 실시 후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났다. 자아탄력성 척도의 하위요인인 개인 내적요인과 또래와 학교생활 부문을 중심으로 외적 보호요인 점수가 모두 상승하였다. 둘째, 대상 청소년이 직접 보고한 투사 그림검사를 활용한 집-나무-사람(HTP), 동적 가족화(KFD) 검사, 학교 생활화(KSD) 검사의 사전·사후 결과 비교에서도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사후 검사에서 연구 대상은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였고,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을 보였으며, 긍정적인 미래상을 표현하였다. 셋째, 회기의 분석 결과에서 후반으로 갈수록 연구 대상자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미래에 대한 목표가 뚜렷해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미술치료 실시 후 무기력, 자기표현 부족, 또래관계 부적응 등의 성향을 보인 쉼터거주 청소년에게 자아탄력성의 개인 내적요인과 외적 보효요인이 모두 증진되는 현상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심리·정서적인 지지를 받지 못하는 쉼터거주 청소년에게 미술치료는 자아 인식과 자아효능감 증진을 통하여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는 쉼터거주 청소년이 자신의 내적 자원 향상을 통하여 주위의 부정적인 환경이나 역경 속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하는 능력을 발전시켰음을 의미한다. 더불어 쉼터거주 청소년이 쉼터에서 퇴소한 뒤에도 타인과의 원만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독립적으로 삶을 영위해나가는 중장기적인 효과가 유발될 가능성도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정상적인 가정과의 괴리를 겪고 있는 쉼터거주 청소년이 미술치료를 통하여 자아탄력성을 개선시킨 결과를 보여준 단일사례연구로써 향후 기초적인 임상자료를 제공하여 미술치료의 발전에 기여한 것에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더 나아가 앞으로 미술치료가 쉼터거주 청소년이 자신의 현실 인식과 자아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쉼터 퇴소 이후의 삶을 건강하게 영위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근거로서 본 연구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A child from the divorced family ha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matters. Therefore, this issue came to the fore in our country and a first shelter was established in 1992. However, the teenagers those who protected by shelters, were having an experience maladjustment because they abandoned by the regular families. Purpose of this research is how does art therapy, one-way to compensate the defect, influence to resilience those teenagers protected by the shelter. The resilience is a fundamental concept that human adapt and maintains oneself to variety of circumstances. Therefore, improvement of resilience those who hid behind the skirt of the shelter will influence to have an independent life in positive ways. The subject of study is a boy currently attending to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protected by shelter over six months. He was showing less self-worth and self-expres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18 to September 2, 2016, once a week for 60 minutes and had a total 20 sessions. It is an individual progress of art therapy. To find out how does art therapy influence to teenager’s resilience those who protected by shelter, beginning of art therapy was purpose to built up trust relationship between a teenager and researcher. Also relaxing emotion and provide a chance to show his self-expression. The middle period, it helps oneself to be honest about one’s feelings and demands. Also it leads to understand self-efficiency by support emotion acceptance. During the advanced stage of the art therapy, the goal was the design the new era of hope in the future through strengthen internal resources and create the passive self-identity. A measure of resilience from a teenager was used to testing tool and observe potential factor of youth by objective forms such as House-Tree-Person (HTP), Kinetic Family Drawing (KFD) and Kinetic School Drawing (KSD) test. The comparison analysis was based by result of art therapy test. Also express head of organization’s opinion based the analysis contents of everyday life and personal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study using the test tool are as follows: First, by the comparison teenager resilience of ex-post analysis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The sub factor of scale such as personal factor immanent point and external protection point were increased. Second, a teenager who applied for the picture examination such as HTP, KFD, and KSD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For example, one expressed one’s opinion, developed amicable personal relationship and formulated positive image of the future. Thirdly, the result of analysis session indicated that one demonstrated positive outlook and goal of future after the advanced stage of the art therapy. Therefore, intervene of art therapy promote the growth of positive self-concept formation those who protected by shelter in long period and strengthen confidence, internal resource and self-efficiency. According to the results, teenagers who appeared lethargic emotion, less self-expression, maladjusted personal relationship was improved the private internal factor and external protection factor such as experience positive school life. Therefore, art therapy showed that development of resilience caused change and a study on the result. In conclusion, the art therapy assists to develop positive resilience by self-awareness, sense of self-efficiency teenagers who did not receive support emotion acceptance. This means that the youth living in the shelter developed their ability to cope with their negative circumstance and adversity through improving their internal resources. In addition, after one left shelter, it seems that the possibility of mid and long-term effects for independent living through spiritual interaction with other people. This study is a case study showing the results of improving resilience through art therapy those youth protected by shelter. Therefore, it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rt therapy by providing basic clinical data in the future. In the future, the youth living in the shelter will develop a positive awareness of their reality and having health life after post placement. This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model for the art therap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