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심경원-
dc.contributor.author변아리-
dc.creator변아리-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25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25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80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805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659-
dc.description.abstract비만과 대사증후군은 점차 그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인자로 널리 밝혀져 있어 이를 치료, 예방 하고자 다양한 식단이 추천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각 식단 마다 그 임상적 근거가 부족하고 의학적 논란이 있어 한국인의 현재 섭취하는 영양소 현황을 분석해 보고, 비만도 및 대사적 이상 여부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2013-2014년) 자료를 결합하여 19세 이상 만성 기저질환이 없는 성인을 대상으로 건강 설문/검진/영양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전체 6,392명을 체질량 지수 (Body Mass Index, BMI)에 따라 정상(18.5-22.9), 과체중(23-24.9), 비만(25-29.9), 고도비만(≥30)의 4개 군으로 나누고 이들을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 5가지 중 3개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Metabolic Unhealthy,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 5가지 중 0-2개에 해당하는 경우를 Metabolic Healthy로 세분화하여 총 8개 군에서 하루에 섭취하는 총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양과 그 비율을 비교 하였다. 결과 편향을 줄이기 위하여 복합표본설계를 반영하여 SPSS window version 23을 사용하여 카이제곱 검정, 분산분석, 공분산 분석을 시행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Metabolic Healthy한 사람은 5,038명, Metabolic Unhealthy한 사람은 1,354명이었다. 8개의 군은 나이, 성별, 흡연, 음주, 신체활동, 가계소득수준, 교육수준, 가족 구성원의 수에서 모두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허리둘레, 수축/이완기 혈압, 공복혈당, 혈중 중성지방, 저밀도/고밀도 콜레스테롤, 당화혈색소 수치도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보였다. 8개의 군에서 하루에 총 섭취하는 열량은 Metabolic Healthy 비만 군에서 가장 높았고, Metabolic Unhealthy 고도비만 군에서 가장 적었다. 혼란변수를 보정 후 각 군에서 영양소 각각의 양을 살펴보면 그 구성 비율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이 각각 7:1:2 로 구성되어 있었다. 고도비만 군을 제외하고 동일한 체질량 지수를 가진 대상자에서 Metabolic Healthy 군이 Metabolic Unhealthy 군에 비해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적고, 지방의 섭취량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001) 한국 성인에서 Metabolic Healthy한 군에서 Metabolic Unhealthy한 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적고, 지방의 섭취량은 많았다. 이에 따라 저지방 식이가 Metabolic Health 유지에 유리하다는 기존의 일반적 상식은 재고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Metabolic Healthy한 군에서도 섭취되고 있는 주요 3대 영양소의 비율은 Unhealthy한 군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한국인에서 대사적 건강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영양소 섭취 비율을 찾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Metabolic syndrome and obesity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major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various diets are recommended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However, there is still a lack of clinical evidence and medical controversy in each diet. Therefore, it will be analyzed the current diet of Koreans and try to find out how they relate to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health questionnaire / screening / nutrition survey were analyzed for adults without chronic baseline disease over 19 years of age by combin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3-2014). A total of 6,392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nd 8 subgroups based on the body mass index (BMI) and metabolic syndrome (MetS) components: healthy (exhibiting less than 2 MetS components) with the followings: healthy-normal weight (18.5-22.9), healthy-overweight (23-24.9), healthy-obese (25-29.9) and healthy-extremely obese (≥30); and unhealthy (exhibiting 3 or more MetS components) with the followings: unhealthy-normal weight, unhealthy-overweight, and unhealthy-obese. In these 8 groups, the amounts of total calories, carbohydrates, protein and fat consumed per day and ratio of each component in total calories were compared. In order to reducing the result bias, chi square test, variance analysis and covarianc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window version 23 reflecting the composite sample design. Of the total subjects, 5,038 persons were Metabolic Healthy and 1,354 persons were Metabolic Unhealthy. Eight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sex,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household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family members, waist circumference, systolic/diastolic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glucose, low density / high density cholesterol and HbA1c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total calories consumed per day in the eight groups were the highest in the Metabolic Healthy obesity group and the lowest in the Metabolic Unhealthy obesity group. After adjusting the confounding variables, the composition of each nutrient was composed of 7: 1: 2 carbohydrate, fat, protein. In the subjects with the same body mass index except for the high obesity group, the metabolic health group showed lower carbohydrate intake and higher fat intake than the metabolic health group,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01). In Metabolic Healthy in Korean adults, the intake of carbohydrates was lower and the amount of fat intake was higher in one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 Therefore, the general knowledge that low-fat diets are beneficial to maintaining metabolic health needs to be reconside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배경 1 B. 연구목적 3 Ⅱ. 연구방법 4 A. 연구대상 4 B. 연구방법 5 C. 통계 10 Ⅲ. 결과 11 A. 일반적인 특성 11 B. 8개 군 별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 20 C. 동일 체질량 지수 군 내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과 섭취 비율의 차이 22 Ⅳ. 고찰 25 Ⅴ. 결론 30 참고문헌 31 ABSTRACT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265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00-
dc.title동일한 체질량 지수를 보이는 한국 성인에서 대사증후군 여부에 따른 주요 영양소 섭취량 차이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understanding about differences of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metabolic health status in the same BMI group : A cross-sectional study in Korean populations-
dc.format.pageiv, 4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