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4 Download: 0

치매 클리닉 내원자에서 주관적 보고와 객관적 보고, 뇌영상학적 검사의 인지장애 선별 능력 비교 연구

Title
치매 클리닉 내원자에서 주관적 보고와 객관적 보고, 뇌영상학적 검사의 인지장애 선별 능력 비교 연구
Other Titles
Comparison of screening ability among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informant-reports for cognitive decline, and brain imaging in memory clinic setting
Authors
임선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의정
Abstract
본 연구는 치매 클리닉 내원자들에서 주관적 기억력 장애 보고와 보호자에 의한 객관적 기억력 장애 및 뇌영상학적 검사 단독 또는 병합의 인지장애 선별 정확도를 비교평가하고자 하였다. 서울대학병원 치매 클리닉에 내원한 132명의 정상 인지군, 136명의 경도인지장애군, 546명의 치매군이 연구 대상으로 포함되었으며, 대상자들의 주관적 기억력 장애는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SMCQ)를 통해, 보호자에 의한 객관적 기억력 장애 보고는 Seoul Informant Report Questionnaire for Dementia (SIRQD)를 적용하여 조사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임상적 진단을 위해 포괄적인 임상평가와 신경심리평가의 과정을 거쳤다. 뇌 MRI 검사는 검사가 가능하며 동의를 한 대상자들에게 시행하였으며, T1 SPGR(spoiled gradient recalled echo)영상을 획득하여 FreeSurfer version 5.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인구학적 자료와 임상적 자료의 군 간 비교는 양측 t-검정과 x2-검정을 통해 시행하였으며, 각 군에서 SMCQ와 SIRQD의 단독 적용 모델과, SMCQ와 SIRQD 병합 모델(SMCQ+SIRQD)의 진단 예측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선별 진단의 각 모델 간 진단 예측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음우도비(-2log likelihood)의 차를 이용하였다. 각 군에서 SMCQ, SIRQD 단독 모델과 SMCQ+SIRQD 모델 각각의 선별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Recie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Hanley와 McNeil의 방법에 따라 곡선 하 면적(AUC)을 비교하였다. 전체 814명 중에서 뇌영상학적 자료가 있고, 나이, 성별, 교육수준이 일치하는 120명(정상 인지군 40명, 경도인지장애군 40명, 치매군 40명)의 하위그룹을 대상으로 동일하게 인구학적, 임상적 자료의 군 간 비교를 시행하였으며, 각 군에서 SMCQ와 SIRQD의 단독 모델과, SMCQ+SIRQD 모델, SMCQ와 SIRQD에 해마용적(Hva: hippocampal volume)을 병합한 모델(SMQ+SIRQD+Hva), SMCQ와 SIRQD에 피질 두께(CT: cortical thickness)를 병합한 모델(SMCQ+SIRQD+CT), 총 5개 모델의 진단 예측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음우도비(-2log likelihood)의 차를 이용한 선별 진단의 각 모델 간 진단 예측 능력의 차이를 비교, ROC Curve 분석을 동일하게 시행하였다. 전체 대상군의 분석 결과, 경도인지장애, 치매, 전체 인지장애군 모두에서 SMCQ 단독 모델과 SIRQD 단독 모델, 그리고 SMCQ+SIRQD 모델 각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진단 선별 능력을 보였다. 선별 모델 간 비교에서는, SMCQ+SIRQD 모델이 SMCQ 단독 모델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선별 정확도를 보였다. 그러나 병합 모델은 SIRQD 단독 모델과의 비교에서, 경도인지장애와 전체 인지 장애군에서만 유의하게 높은 선별 정확도를 보였고, 치매군에서는 유의하게 더 낮은 선별 정확도를 보였다. 치매군에서는 세 가지의 모델 중에서 SIRQD 단독 모델의 선별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뇌 MRI가 시행 된 120명의 하위그룹을 분석한 결과, 경도인지장애, 치매, 전체 인지장애군 모두에서 SMCQ+SIRQD+Hva 모델, SMCQ+SIRQD+CT 모델들 각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진단 선별 능력을 보였다. 또한 선별 모델 간 비교에서는, 경도인지장애와 전체 인지장애군의 선별에서 SMCQ+SIRQD+Hva 모델이 가장 높은 선별 정확도를 보였다. 치매군의 선별에서는 SMCQ+SIRQD+CT 모델의 선별 정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치매 클리닉에서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선별 평가에서는 기억력 장애에 대한 환자의 주관적 보고와 보호자에 의한 객관적 보고를 함께 평가하는 것이 선별 정확도를 가장 많이 향상시킬 수 있겠으며, 치매군의 선별을 위해서는 환자의 주관적 보고 보다는 보호자의 객관적 보고가 가장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해마 용적과 뇌피질 두께와 같은 뇌영상학적 정보의 활용도 선별 정확도의 향상을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된다.;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informant–reports for cognitive declines, and hippocampal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provided by structural T1-weighted brain MRI for predicting cognitive disorders in memory clinic setting. Methods: One hundred thirty two cognitively normal (CN), 136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546 dementia subjects who visited the memory clinic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were measured by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SMCQ) and informant reports for cognitive declines were assessed by the Seoul Informant Report Questionnaire for Dementia (SIRQD). All subjects also underwent standardized clinical evaluation and comprehensive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3-dimensional T1 SPGR(spoiled gradient recalled echo) images were acquired, and processed by FreeSurfer version 5.3(http://surfur.nmr.mgh.harvard.edu/). Between-group comparisons of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were performed by two-tailed t-test and x2 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predicting ability of SMCQ and SIRQD for various subject groups, and the differences of -2 log likelihood (-2LL) was used to compare the predictive ability of various models.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e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screening accuracy for subject groups in various models, and the areas under curve of ROC were compared using the method of Hanley and McNeil (1983). Sam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120 age, gender and education level matched subgroup to examine the predicting ability of SMCQ , SIRQD, hippocampal volume and brain cortical thickness for various subject groups. Results: For the whole group of 814, both the SMCQ and SIRQD had significant screening ability for all cognitive disorders including MCI, dementia, and overall cognitive disorders (MCI + dementia) (screening accuracy: 60.1 ~ 94.6%). The combination of the SMCQ and SIRQD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ly better screening accuracy compared to the SMCQ alone for any cognitive disorder condition. The combination also significantly improved screening accuracy of SIRQD, but the degree of improvement is relatively small. SMCQ plus SIRQD score showed significantly better screening ability for all cognitive disorders compared to SMCQ score alone, but not compared to SIRQD score alone. For the subgroup of 120, combination of SMCQ and SIRQD with hippocampal volume ,and combination of SMCQ and SIRQD with brain cortical thickness had significant screening ability for all cognitive disorders including MCI, dementia, and overall cognitive disorders (MCI + dementia) (screening accuracy: 85.4 ~ 92.0%). SMCQ plus SIRQD score with hippocampal volume showed the most significant screening ability for all cognitive disorders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SMCQ plus SIRQD score with brain cortical thickness showed the most significant screening ability for dementia.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both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and informant-reports for cognitive declines can be used for screening cognitive disorders including MCI and dementia before extensive diagnostic evaluation in memory clinic setting. Also hippocampal volume and cortical thickness provided by structural brain MRI could improve the screening accuracy of the two clinical scales for memory complai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