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 김정일·김정은 기록영화의 기호학적 분석 연구
- Other Titles
- A Comparative Analysis of Semiotics in Documentary Films of Kim Jong-Il and Kim Jong-Un
- Authors
- 김두영
- Issue Date
- 2017
- Department/Major
- 대학원 북한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서훈
- Abstract
- In North Korea, the significance of a documentary film has expanded beyond a genre of art, because it is used as a device to infuse the greatness of the North Korean leader to its people, as a powerful weapon to make the people as communists, and as a means of social education for the revolution, working class, and communism.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image reproduction of representative documentary films produced in the early days of Kim Jong-Il and Kim Jong-Un by decoding their narrative structures and image codes respectively. The reason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study to the beginning of the presidency of the Supreme Leader is that this period is a crucial period in North Korea, where it is necessary to subdue the social turmoil caused by the change of power and to promote the emergence of a new supreme leader. It is also a time when the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y movies as propaganda tools for maintaining the system can be utilized positively. In this context, this paper ultimately aims to identify the initial message sent by North Korea’s supreme leader as the sender to the North Korean people.
This study analyzes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s of four documentary movies by analyzing their narrative and image symbols. Ferdinad de Saussure’s integral analysis method and Levy-Strauss's sequence analysis method is used for the narrative analysis. The image symbol analysis is based on Herbert Jettle’s image expression element classification and Michael Rabigher’s image component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corded films produced in the early days of Kim Jong-Il and Kim Jong-Un were similar in narrative development of the successor process, while they were different in image reproduction method.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rrative structure repeatedly claimed the ‘Continuous Revolution’. Second, they emphasized the core of Kim Jong-Il's ideology, ‘Chongdae’. Third, they emphasized that Kim Jong-Il and Kim Jong-Un were successors of Kim Il Sung and Kim Jung Sook’s with the legacy of Mt. Baekdu. Kim Jong-Il and Kim Jong-Un, the successors of Kim Il Sung and Kim Jong-Il, acquired the objectivity by saying that they were “people of Baekdu-san”. Fourth, it was advertised that they had genius ability and outstanding leadership as the successors. Fifth, it was commonly described that, without the leaders, there would be no destiny for the North Korean people and no future for North Korea. To integrate these findings, it was identified that the narrative structures of the documentary films produced in the early days of Kim Jong-Il and Kim Jong-Un reflected the North Korean ‘successor theory’.
The differences in the structures of the narrative were associated with th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quoting of the supreme commander. The early documentary films of Kim Jong-Il's regime showed a tendency to rely on Kim Il Sung's teachings. Kim Jong-Il's thoughts and values, who thought of the people, were passed through the direct statement of Kim Il Sung’s. However, the early documentary films of Kim Jong-Un regime used his own language rather than the teachings of Kim Il Sung and Kim Jong-Il. In addition, the documentary films on Kim Jong-Il frequently referred to Kim Il Sung’s anti-Japanese revolutionary struggle and the country's liberation war, while only appearing once or twice in the documentary films on Kim Jong-U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early documentary films of Kim Jong-Il's regime highlighted Kim Il Sung and relied on him, while the documentary films in Kim Jong-Un’s early regime promoted him as a whole.
The similarities of documentary films in early regimes of Kim Jong-Il and Kim Jong-Un were that Kim Jong-Un imitated the narrative of Kim Jong-Il's successor image. Kim Jong-Un seemed to attempt to recall the nostalgia and memories of the Supreme Commander by reenacting Kim Jong-Il’s successor status, which was familiar to the North Korean people.
There were several differences in the image representation method. First, the visual expression methods varied: the documentary films on Kim Jong-Il frequently used in one shot, bust shot (BS), waist shot (WS), and fix (FX), which created an authoritarian and mysterious image with a rigid atmosphere. However, the documentary films on Kim Jong-Un frequently used group shots, medium shots (MS), full shots (FS), tilt (TL) and follow (FL) to create open-minded, public-friendly image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image editing techniques. Although the documentary films on Kim Jong-Il featured a variety of image editing techniques, the documentary films on Kim Jong-Un used only minimal image editing techniques. The former frequently used computer graphics and symbolic images, while the latter had low use of computer graphics. Third, the documentary films on Kim Jong-Il quoted the reports from Labor Newspaper and internal news, while the documentary films on Kim Jong-Un frequently cited foreign reports, such as CNN in the U.S., CCTV in Japan, and NHK in Japan, to make Kim Jong-Un appealing as a talented person praised abroad.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documentary films in depth by adopting narrative analysis as well as video symbol analysis. In conclusion, the study could confirm the meaning and repeated rules of the documentary films in the early regime of Kim Jong-Il and Kim Jong-Un. The analysi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examine how the North Korean documentary films have expanded and established the images of the successors based on symbols.;북한에서 기록영화는 예술 장르의 의미를 뛰어넘는다. 북한 주민에게 수령의 위대성을 주입하는 도구이자 공산주의적 인간형으로 만드는 강력한 무기이며 혁명화·노동계급화·공산주의화하기 위한 사회교육의 수단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김정일·김정은 제작된 대표적인 기록영화를 대상으로 영상기호를 해독(decoding)하여 각 기록영화의 서사구조와 영상재현에서 나타나는 유사점과 상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최고지도자의 권력이행기와 집권기로 연구범위를 나눈 이유는, 북한에서 이 기간이 권력교체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잠재우고 새로운 최고지도자의 등장을 선전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제 유지를 위한 선전선동 도구로서의 기록영화의 특징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발신자인 북한 최고지도자가 수신자인 북한 주민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찾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기록영화 4편의 영상기호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첫째,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통합체분석과 레비-스트로스의 계열체분석을 통하여 서사구조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둘째, 허버트 제틀이 분류한 영상표현요소와 마이클 래비거가 정리한 영상구성요소를 토대로 영상재현 방식을 해독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록영화 4편의 영상기호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김정일·김정은의 기록영화는 후계자 등장 과정의 서사 전개는 유사한 반면, 영상 재현 방법이 상이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서사구조의 특징으로는 첫째, ‘계속혁명’을 반복적으로 주장하고 있었다. 둘째, 김정일 선군사상의 핵심인 총대를 강조하고 있었으며 셋째, 김정일·김정은이 김일성과 김정숙의 백두산 혈통을 이어받은 후계자라는 점을 역설하였다. 이는 김일성·김정일의 입으로 후계자인 김정일·김정은을 “백두산형 인간”이라고 말함으로써 객관성을 획득하고 있었다. 넷째, 후계자로서 천재적인 능력과 수령으로서의 풍모를 갖추었다는 점을 선전하였다. 다섯째, 수령 없이는 북한 주민의 운명도 없고 북한의 미래도 없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김정일·김정은 시기 제작된 기록영화의 서술구조는 북한의 ‘후계자론’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사구조의 상이점으로는 선대 최고사령관의 유훈 인용 빈도를 들 수 있다. 김정일의 권력이행기 기록영화는 김일성의 유훈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민을 생각하는 김정일의 마음과 다짐까지 김일성의 입을 빌려 전하고 있다. 그러나 김정은의 권력이행기 기록영화는 김일성이나 김정일의 유훈보다는 본인이 주체가 되어 서사를 이끌고 있었다. 이 외에도 김정일 기록영화에는 김일성의 항일혁명투쟁과 조국해방전쟁을 빈번하게 언급하지만, 김정은 기록영화에는 한, 두 차례 등장한다. 김정일의 권력이행기 기록영화는 김일성을 부각하여 그의 권위에 의존하는 반면, 김정은의 권력이행기 기록영화는 김정은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김정일·김정은 기록영화의 영상 재현에서 나타나는 유사점으로는 김정은이 김정일의 후계자 영상 서사를 모방하고 있다는 점이다. 김정은이 북한 주민에게 익숙한 김정일의 후계자시절 모습을 재연함으로써 최고사령관에 대한 북한 주민의 그리움과 추억을 불러일으키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영상 재현 방식의 상이점으로는 첫째, 영상표현방식에서 차이가 있었다. 김정일의 기록영화는 원샷, 바스트샷(BS), 웨이스트샷(WS), 픽스(FX)의 사용빈도가 높았다. 이를 통해 권위주의적이고 신비로운 이미지를 만들고 있으며 경직된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그러나 김정은의 기록영화는 그룹샷, 미디엄샷(MS), 풀샷(FS), 틸트(TL), 팔로우(FL)를 많이 사용해 개방적이고 대중친화적인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영상편집기법에서 차이를 보였다. 김정일의 기록영화는 다양한 영상편집 기법이 등장했지만, 김정은의 기록영화는 최소한의 영상 편집 기법만 사용하고 있었다. 김정일의 기록영화는 컴퓨터 그래픽의 사용빈도와 상징이미지의 사용빈도가 높았으나, 김정은의 기록영화는 컴퓨터 그래픽의 사용빈도가 낮았다. 셋째, 김정일 기록영화는 노동신문 및 내부 보도를 인용하고 있지만 김정은은 미국 CNN, 중국 CCTV, 일본 NHK 등 외부 보도의 인용빈도가 높았다. 김정은을 해외에서도 인정받는 인재로 어필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
본 논문은 서사구조와 영상재현 분석을 병행하여 북한 기록영화의 특성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김정일·김정은 기록영화의 의미와 반복되는 규칙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분석은 북한의 기록영화가 어떠한 기호를 근간으로 후계자의 이미지를 확대·정립해갔는지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