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4 Download: 0

북한당국의 평양 관리 담론 연구

Title
북한당국의 평양 관리 담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uthors
성다솜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대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로동신문」 평양 관련 기사 분석을 통해 북한당국이 제시하는 평양 관리 담론의 내용적 특징을 밝히고 북한당국이 평양 관리 담론을 강화하는 방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북한당국이 평양을 물리적·사회적·심리적 공간으로 관리해온 내용을 재구성한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당국이 공간 평양과 평양 관리 담론을 정치적으로 활용해 왔음을 밝히고자 한다. 공간은 인간과 상호작용을 하는 사회적 존재이다. 지배 세력은 공간을 활용하여 피지배 세력의 행동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싶어 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려 한다. 북한당국도 공간 평양 관리에 의미를 부여하여 북한 주민들이 평양에 대한 개념을 자연스레 받아들일 뿐만 아니라 평양 관리 활동에도 참여하게 하고자 하였다. 특히 북한당국은 평양을 특별한 공간으로 조성하며 관리하는 일에 자원을 집중하였다. 사회주의 국가를 표방하며 평등을 강조해왔기에 북한당국은 평양 관리 담론을 통해 평양 특별대우에 대한 합리화 논리를 도출하려 하였다. 평양 관리 담론 연구는 북한당국이 평양을 어떠한 공간으로 인식시키고 싶어 했으며 이를 권력 운영방식에 어떻게 활용하였는지를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본 논문은 주로 공학이나 지리학적 관점에서 평양을 분석하던 기존의 연구에서 나아가 평양이라는 공간의 사회성에 주목하고 평양과 지배 세력 간의 상호구성 과정을 좀 더 입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1953년 7월부터 1956년 6월, 1980년부터 1982년, 2012년부터 2014년에 당 기관지인 「로동신문」에 실린 평양 관련 기사를 분석하였다. 평양 관련 기사의 내용은 ‘도시 관리’,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 ‘이미지 및 정체성’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평양 관련 기사에 대해 내용분석을 하여 북한당국이 공간 평양을 어떻게 관리해오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평양 관리 담론의 내용적 특징을 정리하였다. 평양 관리 담론의 내용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당국은 평양을 관리하는 것을 조국에 대한 애국심이 발현된 행위로 설명하였다. 이것은 ‘김정일애국주의’와 결합하여 평양 관리를 북한 주민의 본분으로 강조하였다. 둘째, 평양 관리를 지도자에게 충성을 표하는 행위로 해석하였다. 지도자의 업적이 평양에 담겨있고 평양을 잘 관리하는 것이 지도자의 명령이므로 평양 관리는 ‘혁명적 수령관’에 근거한 행동이라는 것이다. 셋째, 평양 관리를 제국주의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는 방식 중 하나로 보았다. 평양 관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제국주의를 향한 분노뿐만 아니라 북한 주민의 주체성도 드러내 보일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넷째, 평양은 사회주의 도시의 대표이기 때문에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평양을 잘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북한당국은 평양 관리 담론을 통해 평양 관리에 당위성을 부여하는 한편 평양의 이미지 및 정체성을 유지하며 재생산하기도 한다. 북한당국이 만들고자 하는 평양의 이미지를 살펴보기 위해 본 논문은 평양 관련 기사 중 평양에 대한 이미지나 인식이 명확히 드러나는 기사를 중심으로 프레임 분석을 하였다. 평양 묘사 프레임은 ‘영웅적 혁명의 도시’, ‘아름답고 깨끗한 도시’, ‘역사·발전의 도시’, ‘모범적 중심 도시’, ‘인민·문화의 도시’, ‘감정유발 도시’ 프레임으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프레임 분석으로 북한당국이 평양에 부여한 이미지를 살펴보고 이를 활용한 북한당국의 평양 관리 담론 강화방식을 정리하였다. 북한당국은 평양 관리 담론을 강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시도를 하였다. 첫째, 평양 견학을 통해 북한 주민들에게 평양을 경험시키는 것이다. 그들의 입을 통해 평양 관리 사업의 성과와 의의를 강조함으로써 북한당국이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평양 관리 담론의 주관성을 극복하려 하였다. 또한 평양 관리 담론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심리적 거리감은 단축하고 신뢰는 높여 평양 관리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둘째, “평양 처녀”와 같이 평양의 공간성을 부각한 별명을 지어 부르는 것이다. “평양 처녀”의 행동을 통해 ‘모범’, ‘충성’ 등 평양의 공간성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인식을 고착화하고자 하였다. 또한 “평양 처녀”의 모범적 행동이 평양 시민의 정체성에 따른 자발적인 것이었음을 내세워 평양 관리 담론이 북한 주민들의 공감과 행동을 이끌어냈음을 증명하려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로동신문」 평양 관련 기사 분석을 통해 북한당국이 정치 담론을 평양 관리 담론의 실행 근거로 활용하였고, 공간 평양은 정치 담론 수행의 장으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체제 대결 및 성분 비교 관점에서의 이분법적 의미를 공간 평양에 부여함으로써 평양의 정체성을 확립해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평양 관리 담론에서는 평양 관련 사건 및 경험에 대한 개인적 기억과 감정을 활용함으로써 평양이 정치적으로 유의미한 공간이자 개인적으로도 유의미한 공간임을 내세우고, 이를 통해 평양 관리 담론에 따른 북한 주민들의 행동을 유인하였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This study aims to reveal features in the contents of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propos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comprehend the means of how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strengthened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through the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concerning Pyongyang in Rodong Sinmun. This study reconstructs the contents of how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managed Pyongyang as a physical·social·psychological space. With this reconstruction,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been utilizing the conceptual area of Pyongyang and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for political use. A space is a social presence which interacts with humans. The governing force desires to influence the behavior of those under subjugation by utilizing the space, and thus accomplish its objectives. As such,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placed meaning to the management of Pyongyang so that the people of North Korea would not only naturally embrace the idea of Pyongyang but also be made to participate in Pyongyang’s management activitie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especially concentrated its resources to create and manage Pyongyang as a special area. Claiming to be a socialist state and thus emphasizing equality,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tried to draw a rational reason for the special treatment given to Pyongyang through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This study of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has value in that it reveals what image of Pyongyang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ttempted to create and also how this was used in ways of governing power. This study has aimed to go further on from previous studies which have usually analyzed Pyongyang from an engineering or geographical point of view and to identify the interrelation between Pyongyang and the governing force in depth. This study has analyzed newspaper articles in the party bulletin Rodong Sinmun concerning Pyongyang from time periods of July 1953 to June 1956, years 1980 to 1982, and 2012 to 2014.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concerning Pyongyang could be sectioned into several categories: ‘city management,’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image and identity.’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concerning Pyongyang to observe how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managed Pyongyang. Through this observation, the study has organized features in the contents of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The features in the contents of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are as follows. Firs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explain the management of Pyongyang as a manifestation of patriotism of one’s homeland. This combined with “Kim Jong Il’s Patriotism” was used to emphasize the North Koreans’ duty to manage Pyongyang. Second, managing Pyongyang was interpreted as an action of showing allegiance to the leader. The leader’s achievements were placed in Pyongyang and managing Pyongyang well was the leader’s command, so managing Pyongyang was an action based on “the view of the revolutionary suryong(leader).” Third, managing Pyongyang was viewed as a means of displaying anger towards imperialism. It was emphasized that actively participating in managing Pyongyang would not only allow displaying anger towards imperialism but also the national identity of being a North Korean. Fourth, because Pyongyang is a representative socialist city, it was insisted that Pyongyang should be well managed to prove the superiority of the socialist system.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justified the management of Pyongyang through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as well as maintaining and reproducing Pyongyang’s image and identity. To examine the image of Pyongyang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tried to create, this study implemented the frame analysis centered on articles distinctly dealing with image or perception of Pyongyang from the articles concerning Pyongyang. The descriptive frame of Pyongyang could be sectioned into several frames: ‘city of heroic revolution,’ ‘beautiful and clean city,’ ‘city of history·progress,’ ‘exemplary central city,’ ‘city of the people·culture,’ and ‘emotion evoking city.’ With the frame analysis, this study has examined the image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given Pyongyang and organized the ways it was used to strengthen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have attempted the following ways to strengthen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First, they made the people experience Pyongyang through field trips. Through their own lips, they emphasized the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 of Pyongyang’s management program in an effort to overcome the subjectivity of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unilaterally presented. Also, the people’s mental distance towards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could be reduced as well as build credibility, thus bringing the people out to participate in managing Pyongyang. Second, they created the “Pyongyang maiden,” a nickname stressing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Pyongyang. They tried to fixate in the minds of the people an image of ‘exemplary conduct,’ ‘allegiance,’ and others as such concerning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Pyongyang through the actions of the “Pyongyang maiden.” In addition, they tried to prove that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brought out the people’s sympathy and action by asserting that her exemplary conduct was voluntarily brought on by a Pyongyang citizen’s sense of identity. In conclusion, through the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concerning Pyongyang in Rodong Sinmun, this study has identified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utilized political discourse as grounds to carry out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and the conceptual area of Pyongyang was utilized as a place to perform political discourse. Furthermore, it was identifiable that they were establishing Pyongyang’s sense of identity by giving dichotomous meaning in the sense of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cial strata to the area of Pyongyang. Moreover, in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they asserted that Pyongyang was a politically as well as personally significant space by utilizing personal memories and emotions concerning incidents and experiences regarding Pyongyang. Consequently, it was possible to conjecture tha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attempted to maneuver the people of North Korean to execute actions according to the Pyongyang management discour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