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해영-
dc.contributor.authorLi, Jiawei-
dc.creatorLi, Jiawei-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21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21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5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50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63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inese Korean learners’speech acts of compliment by comparing Chinese native speakers(CNS) with Korean native speakers(KNS). The data were elicited, using Written Discourse Completion Test(WDCT), from 30 Korean native speakers, 30 Chinese Korean Learners and 30 Chinese native speakers. They were asked to fill out WDCT, which consists of the questions classified into 18 questions about appearance, belongings, ability, personality depending on 3 factories, which are intimacy, social status and gend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inese learners' complimentary speech act and realization of strategies of the speech acts of compliment. This study focuses on 3 element. The first one i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strategies of compliments performed by the three groups, depending on different situation. The second one i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strategies of compliments performed by the three groups, according to intimacy, social status and gender. The last one is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between strategies of compliments by the three groups. The study found that Chinese native speakers(CNS) tend to conclude conversations by using direct expressions, and in this aspect, are similar with Chinese native speakers. And on the other hand, Chinese Korean Learners(CKL) and Korean native speakers(KNS) use framing remarks more because they regard expressing framing remarks as expression of friendliness. This study point out the realization of the speech acts of compliment of the Chinese Korean Learners. The study's result will prove useful for Korean pragmatics and the compliment speech acts teaching. Further this study can reduce Chinese misunderstandings-when Koreans excessively invade privacy while to compliment in Chinese.;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KNS)와 중국어 모어 화자(CNS)를 비교함으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CKL)의 칭찬 화행 실현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한국어 모어 화자(KNS), 중국어 모어 화자(CNS),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CKL)의 칭찬 화행의 실현 양상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찰하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Discourse Completion Test)를 이용하였고 한국어 모어 화자, 중국어 모어 화자,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각 30명씩 선정하여 총 9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설문 문항은 친밀도, 상대적 지위, 성별 사회적 변인에 따라 18개 문항으로 분류하고 칭찬 주제는 외모, 소유물, 능력, 성격 4가지로 설정하였다. 칭찬 화행의 유형은 직접 칭찬, 주제와 관련된 주변언급, 지접 칭찬과 주변언급 3 가지로 분류하여 주변언급의 하위 전략은 알아채기, 개인적 의견, 정보 묻기, 농담하기, 요청⦁제안으로 다시 분류하여 결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장면별로 칭찬 화행을 실현 양상에 있어서 사회적 변인이 서로 다른 18개 장면 중에 세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장면은 10개 있었으며, 나머진 8개 장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둘째, 사회적 변인별로 세 집단 간의 칭찬 화행 실현 양상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우선 친밀도가 변인인 경우에는 세 집단이 친밀도가 높을수록 칭찬 화행을 실현하는 비율도 높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주변언급을 자주 사용하고 있는 반면에 중국어 모어 화자가 직접 칭찬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친밀도가 상, 하인 경우에는 칭찬 화행의 실현 양상이 한국어 모어 화자와 가까이 보이지만, 친밀도가 중등인 경우에는 중국어 모어 화자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상대적 지위가 변인에 따른 분석 결과는 세 집단이 칭찬 화행을 수행하는 비율은 상대적 지위가 상, 하, 동등 순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지위가 한국어 모어 화자에게 준 영향이 가장 크고 상대적 지위가 상인 경우에서 직접 칭찬에 비해 동등과 하인 경우에는 주변언급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칭찬 화행을 실현 여부에서 중국인과 가까이 보이지만 칭찬 방식에서 한국인과 같은 양상이 보인다. 마지막 성별이 변인으로 분석 결과는 청자가 남자인 경우보다 여자인 경우에서 세 집단이 모두 직접 칭찬 표현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청자가 남자인 경우에 비해 한국어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주변언급만 표현이 감소하는 반면에 중국어 모어 화자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실제적으로 칭찬 화행에서 어떠한 특징이 나타나는지 이에 대한 한국어 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해야 하는지를 시사해 준다. 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화행 연구에서 사회적 변인인 친밀도와 상대적 지위를 상, 중, 하로 세분하지 않았던 점을 주목하여 칭찬 화행 실현 양상을 분석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연구 검토 3 1. 칭찬 화행에 관한연구 3 2.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화행 연구 8 C. 연구문제 10 Ⅱ. 이론적 배경 12 A. 칭찬 화행 12 1. 칭찬 화행의 정의 12 2. 칭찬 화행의 특징 및 기능 13 3. 칭찬 화행의 유형 15 B. 비교문화적 화용론 19 Ⅲ. 연구방법 21 A. 연구 대상 21 B. 자료 수집 도구 22 C. 연구 절차 25 D. 자료 분석 방법 및 검정 방법 27 1. 자료 분석 방법 27 2. 검정 방법 29 Ⅳ. 연구결과 30 A. 장면별 칭찬 실현 양상의 비교 30 1.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장면 30 2.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장면 46 B. 변인별 칭찬 화행 실현 양상의 비교 67 1. 친밀도 변인에 따른 분석 67 2. 상대적 지위 변인에 따른 분석 72 3. 성별 변인에 따른 분석 76 C. 결과 요약 79 Ⅴ. 결론 81 참고문헌 84 부록. 본 실험 설문지 87 1. 한국어 87 2. 中文 93 ABSTRACT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472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사회적 변인에 따른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칭찬 화행 양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ompliment Speech Acts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Language : With Reference to Social Distance-
dc.format.pagevii, 98 p.-
dc.contributor.examiner박선희-
dc.contributor.examiner이정란-
dc.contributor.examiner이해영-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국제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