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2 Download: 0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의 기초연구

Title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의 기초연구
Other Titles
A Basic Study on the Physical Activity Encouragement Policy by Using Smart Devices : A Recognition Study among Korean Adults and Estimation of Economic Effect
Authors
이화령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정훈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심각한 고령화 문제와 건강보험재정 문제의 대안 책이 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에 대하여 대한민국 성인의 인식을 파악하고, 해당 정책이 실질적으로 경제적 효과가 있을지 추정 조사하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 시행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에 대하여 인식조사를 위해 사용된 설문지 문항 중 일반적 특성과 관련된 문항은 2015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기반으로 수정 보완하여 구성하였으며,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의 인식조사를 위해 사용된 문항은 신체활동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구성하였다. 본 설문조사의 자료 수집은 타 대규모 조사에 부속 조사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400명의 응답자료는 STATA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의 경제적 효과 추정을 위해 수집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 DB자료 또한 STATA 1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체활동과 의료비 지출 감소에 관련하여 고찰된 문헌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에서 10년간(2014년 기준)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의 경제적 효과를 추정 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인식조사 및 경제적 효과추정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에 대한 지지도는 대상자의 68.25%가 긍정적이었으며,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 세부사항의 선호도의 경우, 정책에 사용될 스마트기기의 종류에 대한 선호도는 ‘스마트폰 어플’이 36%로 가장 선호되었다. 신체활동량의 판단기준이 될 신체활동 정보에 대한 선호도는 ‘하루 소모 칼로리량’이 39.25%로 가장 선호되었고, 신체활동에 따른 혜택의 종류에 대한 선호도는 ‘건강검진 시 10만원 보조’가 39.75%로 가장 선호되었다. 신체활동에 따른 차등화 지급제도, 신체활동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 그리고 기초건강상태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는 모두 ‘찬성한다’가 많았으며, 신체활동량 평가 방식에 대한 선호도는 ‘개인의 건강상태를 반영한 권장 신체활동량 3개월 이상 지속적 도달 유지 여부’가 66%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반영한 권장신체활동량 1회 도달 여부’보다 선호되었다. 이러한 정책 세부사항의 선호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마트기기의 신체활동 정보수집 기능 인지 여부조사 결과,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인지하는 경우보다 59.75%로 많았으며, 이러한 인지 여부조사 결과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혼인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질 효용값, 신체활동 준비도, 교육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기기 사용유무조사결과는 사용하고 있는 대상자가 86.50%으로 많았고, 이러한 사용 유무조사 결과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혼인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질 효용값, 신체활동 준비도, 교육수준, 가족의 생활수준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셋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을 장려 시, 강도별, 종류별, 그리고 유산소 신체활동 지속시간별로 경제적 효과추정 결과, 신체활동의 강도의 경우, 고강도 신체활동을 장려할 시, 31.40%의 의료비 지출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가장 효과적인 의료비 지출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신체활동의 종류의 경우, 의료비 감소수준은 유산소신체활동만 장려할 시, 약제소비와 본인부담지출비용은 근력신체활동과 유산소신체활동을 함께 장려 시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유산소 신체활동의 지속 시간에 따른 의료비, 약제소비, 그리고 본인부담비용 지출 절약효과는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다. 넷째, 2014년 기준으로 향후 10년간,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을 장려할 시, 2023년 전체 의료비용 지출기준으로 고혈압의 경우 약 3,347억원, 비만의 경우 약 3백만원, 제 2형 당뇨의 경우 약 1,717억원, 우울증의 경우 약 25억원의 의료비용 지출 절약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신체활동 정보 수집기능 인지 유무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특성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신체활동 정보수집 기능 사용법에 대한 사전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사전에 보다 정확한 국가단위의 재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의 인식이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도 사회적 문제와 직결 가능한 특성들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의 인식이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문제와 직결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알아보기 위하여, 해당 사항을 보다 정확하고 자세하게 국가단위의 조사로 연구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의 세부사항에 대한 선호도 중 몇몇 세부사항의 선호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이에, 정책수행 결과로 단기간에 국민들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신체활동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을 시행 전에 본 조사와 같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정책 세부사항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국가단위의 조사로 재조사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도출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의 긍정적인 경제적 효과 추정 결과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인 경제성평가의 연구가 후속 연구로 수행되어 질 필요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South Korean adults on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that could be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serious population aging of the country and health insurance financial problem; and provide the basic data material for the implementation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by performing estimation investigation on whether such a policy would have any economic effectiveness practically. Of the survey questions in the test on people’s awareness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the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from the questionnaire of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after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The questions on awareness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were structured under advice of physical activity experts. The surve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s a secondary investigation of another large-scale survey. A total of 400 respondents’ answers were collected and processed with STATA 14.0 statistical program for the study analysis. In order to estimate the economic effect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the sample DB data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s of STATA 14.0.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physical activity and medical cost decrease, economic effectiveness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for the next 10 years (from 2014) in Korea was estimated. The study awareness investigation and economic effectiveness estim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68.25% of the survey respondents were found to be supportive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Concerning the preference for detailed aspects of the policy, in terms of the type of smart device utilized in the policy, smart phone application was found to be most favored as 36% had chosen it. With respect to the preference for the type of physical activity benefits, 39.75%, the largest par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preferred ‘KRW 100,000 financial support for health checkup’ the most. Many agreed to all of the items - physical activity-based differentiated support payment scheme, physical activity data collection, and basic health status data collection. When it comes to the methods of physical activity amount evaluation, 66% preferred ‘sustained achievement of the recommended physical activity amount in reflection of individual health status for at least 3 months’ over ‘one-time achievement of the recommended physical activity amount in reflection of individual health status’. Preference for detailed policy asp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physical activity data collection function of smart device found that 59.75% answered they had not known such a function, a larger umber than those who had known it. Awareness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living-quality utile value, physical activity preparatory level, and educational background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urvey on smart phone use or not found that 86.5% were using smart phone. Smart phone usage status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living-quality utile value, physical activity preparatory level,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living standard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ird, economic effect of promoting physical activity using smart device was estimated according to intensity, type and aerobic physical activity duration. As a result, medical cost was expected to decrease by 31.40% when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was promoted in terms of activity intensity, showing the most effective medical cost decrease. With respect to physical activity type, medical cost dropped most effectively when aerobic physical activity was promoted only. Medicine consumption and patient’s share of medical payment decreased most effectively when both physical activity for muscular strength and aerobic activity were promoted together. However, the aerobic activity duration showed slightly different effect in saving medical cost, medicine consumption and patient’s share of medical payment. Forth, it was found that, for the next decade from 2014, if physical activity was promoted using smart device, approximately KRW 334.7 billion would be saved regarding hypertension in the entire medical expenditure in 2023; KRW 300 million regarding obesity; KRW 171.7 billion regarding Type 2 Diabetes; and KRW 2.5 billion regarding de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