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신상근-
dc.contributor.author박은영-
dc.creator박은영-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17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17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4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47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6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를 활용한 협동 어휘 학습 활동이 한국 중학생의 영어 어휘 성취도와 어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어휘 교수·학습 활동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 활용 학습 유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단기 어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광고 활용 학습 유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장기 어휘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광고 활용 학습 유형이 중학교 영어 학습자의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 대상인 서울 I중학교 2학년 영어학습자 70명을 통제 집단과 두 개의 실험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세 집단 모두 총 8차시에 걸친 제시, 연습, 강화의 단계를 거쳤으며, 두 실험 집단은 광고를 활용한 어휘 활동을, 통제 집단은 연습문제를 통한 어휘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두 실험 집단은 각각 광고 활용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으로 적용한 수업모형을 진행하였다. 8차시 수업 종료 후 사후 단기 어휘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로부터 1주 후에 지연 어휘평가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설문조사를 통해 전반적인 어휘 학습, 광고를 활용한 어휘 학습 및 협동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의 단기 기억 측면에서 광고를 활용한 개별학습, 광고를 활용한 협동학습 그리고 전통적 학습의 세 집단 모두 어휘력과 이해력 및 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고, 광고를 활용한 협동 어휘 학습을 한 집단이 개별학습을 한 집단이나 통제 집단 보다 어휘력과 이해력 및 표현력 평가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광고 활용 어휘 활동이 어휘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협동학습이 개별학습 보다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예측에 대한 통계적인 검증을 얻었다. 둘째, 어휘의 장기 기억 측면에서도 역시 광고를 활용한 개별학습, 광고를 활용한 협동학습 그리고 전통적 학습의 세 집단 모두 어휘력과 이해력 그리고 표현력의 지연 효과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단기 어휘 평가 결과와 마찬가지로 지연 어휘평가에서도 어휘력과 이해력 및 표현력 평가에서 광고를 활용한 협동 어휘 학습을 한 집단이 개별학습을 한 집단이나 통제 집단 보다 높은 점수를 받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광고 활용 어휘 협동학습 활동이 개별학습 보다 장기적으로 어휘를 기억하는데 있어서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예측에 대해서 통계적인 검증을 얻었다. 셋째, 어휘의 단기 및 장기 기억 측면에서 광고를 활용한 개별학습 집단과 통제 집단의 두 집단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광고 활용 어휘 활동이 어휘 학습에 더 효과적일 것이라는 예측과 어휘를 더 오래 기억하는데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은 모두 통계적인 검증을 얻지 못하였다. 넷째, 광고를 활용한 어휘 학습 활동에 대한 사전·사후 설문을 분석한 결과,‘어휘 학습에 대한 전반적 태도’에서는 통제 집단이‘흥미도’면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광고를 활용한 어휘 학습’에 대해서는 두 실험 집단이 ‘문화 학습’과 ‘향후 활용 의지’면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광고 활용 협동 어휘 학습 집단을 대상으로 한 협동학습에 대한 설문 결과, 협동학습의‘효과성’과‘흥미도’는 사후에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활용 학습 유형이 우리나라 영어 교육 현장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 활용 여부와 관계없이 어휘 학습 유형 모두가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이는 영어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어휘 활동으로서 학습자들이 체계적인 어휘 입력(input)과 출력(output)을 해 볼 수 있도록 하는 활동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둘째, 광고 활용 어휘 학습 유형은 통제 집단과 비교했을 때 개별학습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협동학습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는 학습자들이 어휘 학습을 할 때 협동학습을 통해 의사소통의 기회를 갖도록 하는 교실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과이다. 즉, 학습자가 또래 간 상호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높은 참여 부담을 갖으며 능동적인 자세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또한 앞으로 좀 더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실제적인 자료를 활용한 어휘 활동을 개발하여 학습자들의 학습욕구를 만족시킬 필요성이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어휘 활동은 여러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실제 교실에서 매 수업시간마다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수업 시간에 비해 어휘 학습량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고를 활용한 협동 어휘 학습을 한 경우에는 긍정적인 학습 효과가 나타난 반면 개별적 어휘 학습을 한 경우에는 유의미한 수준의 학습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두 실험 집단 모두 광고를 활용한 어휘 수업을 통해 외국문화를 더욱 친근하게 느끼게 되었고 앞으로도 광고를 활용하여 어휘 학습을 할 의향이 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보아, 본 실험에 사용된 어휘 활동을 여러 차시에 걸친 모둠활동을 통한 수행평가 도구로 활용하거나, 방학 중 모둠별 과제로서 부여하는 것도 효과적인 어휘 학습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cooperative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s for English vocabulary competence and vocabulary learning attitudes in South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ascertain an effective activity plan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vocabulary that can be used for English education. Accordingly,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What effect does cooperative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s have on short-term vocabulary abil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What effect does cooperative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s have on long-term vocabulary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hat effect does cooperative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s have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learning attitud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70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I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with the students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two experimental groups. All three groups had eight times lessons comprising presentations, practices, and reinforcement activities: The two experimental groups completed vocabulary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s, whereas the control group completed vocabulary activities using practice questions. Each exp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using the instruction models based on advertisement-based individual learning and advertisement-based cooperative learning.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ighth class, an assessment on short-term vocabulary was conducted, and an assessment on long-term vocabulary was performed one week after the assessment on short-term vocabulary. In addition, students' responses on their overall vocabulary learning, vocabulary learning using advertisements, and cooperative learning using advertisements we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short-term memory, a positive effect was found in all three groups of individual learning using advertisement, cooperative learning using advertisement, and traditional learning of vocabulary,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The group that used advertisement-based cooperative learning obt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vocabulary,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than the group with individual learning or the control group. Therefore,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obtained for the prediction that confirmed cooperative learning as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learning in improving vocabulary competence through the vocabulary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s. Second, for long-term memory, a positive effect was also observed in all three groups of individual learning using advertisements, cooperative learning using advertisements, and traditional learning on vocabulary,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In addition,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using advertisements also obt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the assessment of long-term vocabulary,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than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 or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obtained for the prediction that affirmed cooperative learning using advertisements as more effective than individual learning for long-term memory retention of vocabulary. Thir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individual learning group using advertisements in terms of short-term and long-term vocabulary memory retention. Thus, no statistical verification was obtained for the two predictions in which vocabulary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s are more effective in vocabulary learning, and vocabulary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s positively influence long-term memory retention of vocabulary. Fourth,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re- and post-survey on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s showed that the control group demonstrat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interest” on the “overall attitude toward vocabulary learning,” and the two experimental group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 learning “culture” and the “willingness for future application”of“vocabulary learning using advertisements.” In addition, the survey results on cooperative learning on the advertisement-based cooperative vocabulary learning showed post-experiment improvements in “effectiveness” and “interest” of cooperative learning, but the improvemen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advertisement-based learning for English education in our country are as follows. First, regardless of the use of advertisements, all types of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vocabulary learning. This suggests that the activities, which allow students to systematically input and output vocabulary item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vocabulary activity in English education. Second, the cooperative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in individual learning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i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cooperative learning. This indicates that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classroom environment where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when they learn vocabulary. In other words, the result suggests that students with high participation rat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rocess of peer interaction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vocabulary learning. Moreover, it is necessary to fulfill the learning desires of the students by developing vocabulary activities using more diverse and specifically practical materials hereafter. Third, since the vocabulary activities used in the study were composed of several steps, it may be difficult to use these activities in daily instruction, and the amount of vocabulary learning could be ineffective for the limited class time. Furthermore, as seen in the results, positive learning was found when advertisement-based cooperative learning was used, whereas no significant learning effect was observed when individual vocabulary learning was used. Thus, there were positive responses from both experimental groups, on foreign culture education through vocabulary classes using advertisements and on their intention to learn the vocabulary. These positive responses indicate that the activities of the present experiment can be considered an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method. They can be used as a performance assessment tool in the form of group activities over several times lessons or as a holiday group assign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5 A. 영어 어휘 5 1. 어휘 지식 5 2. 어휘 학습 7 B. 광고와 영어교육 9 1. 광고의 개념과 종류 9 2. 광고 활용 어휘 학습 11 C. 협동학습 12 1. 협동학습의 개념과 효과 12 2. 협동학습의 유형과 교사의 역할 13 D. 선행 연구 14 1. 광고 활용 영어 학습 15 2. 협동학습을 통한 어휘 학습 17 Ⅲ. 연구방법 및 절차 20 A. 연구문제 20 B. 연구대상 21 C. 연구 자료 22 1. 실험 어휘 목록 22 2. 사전·사후 어휘 평가지 23 3. 어휘 수업에 사용된 광고 24 4. 어휘 학습 활동지 27 5. 단기 어휘 평가지 28 6. 사전·사후 어휘 학습 태도 설문지 28 D. 연구 절차 및 분석 방법 29 E. 연구의 제한점 34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5 A. 집단 간 사후 단기 어휘검사 결과 분석 35 1. 어휘 검사 총점 비교 35 2. 이해어휘 검사 결과 비교 37 3. 표현어휘 검사 결과 비교 39 B. 집단 간 사후 지연 어휘검사 결과 분석 40 1. 어휘 검사 총점 비교 41 2. 이해어휘 검사 결과 비교 42 3. 표현어휘 검사 결과 비교 44 C. 어휘 학습 태도 분석 46 1. 어휘 학습에 대한 태도 비교 46 2. 광고 활용 어휘 학습에 대한 태도 비교 48 3. 협동학습에 대한 태도 비교 51 Ⅴ. 결론 및 제언 52 참고문헌 56 부록 62 ABSTRACT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170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광고를 활용한 협동 어휘 학습 활동이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영어 어휘 능력과 어휘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Cooperative Vocabulary Learning Activities Using Advertisements on English Vocabulary Competence and Learning Attitude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Park, Eunyoung-
dc.format.pageviii, 82 p.-
dc.contributor.examiner박시영-
dc.contributor.examiner이미진-
dc.contributor.examiner신상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