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2 Download: 0

韓國 木造 佛殿의 重建 및 重修의 特徵

Title
韓國 木造 佛殿의 重建 및 重修의 特徵
Other Titles
The Characteristics of Reconstruction and Restoration of Korean Wooden Buddhist halls : Focusing on the Changes of the Framework Schema from Ancient Times
Authors
강선혜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윤재신
Abstract
우리나라 불교건축은 고대 적극적인 불교의 수용 및 창건의 시대와 전국적인 사찰 건립의 부흥을 거쳐 조선시대 불교에 대한 국가적·사회적인 억압적 태도와 상황을 겪으면서 유구한 세월을 존속해 왔다. 현존하는 한국의 사찰 목조불전들은 기단부터 지붕 및 의장까지 총체적으로 계획되어 지어진 건물이라기보다는 기존의 부지에서 지속적인 중건과 중수에 의해 지금과 같은 형식을 보이게 되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입각하여 우리나라 목조불전에서의 고식 수법 전승의 특징과 오랜 시간 중수 및 중건 과정에서 적용되는 건축 계획적 특징을 살펴볼 때, 한국 목조 불교건축의 보편성(普遍性)과 다양성(多樣性)은 더욱더 설득력을 가지고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사찰건축의 창건연대가 그 기록의 정확성을 완전히 신뢰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어 고식(古式) 기단 및 초석의 흔적, 기단에 딸린 고식 소맷돌, 다양한 공포양식의 혼재, 고부재의 재사용, 고식 기법 등 조선시대 목조 불전에서 나타나는 고식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목조건축 장인이 전체 가구구조를 구상할 때에 필수적인 가구를 짜 맞추는 틀로 “가구형식(架構形式: framework schema)”을 정의하고,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고려시대 주심포 건축의 건축 계획적 특징을 고찰하여 한국 고대건축의 가구형식을 유추하여 이후 불전들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토대로 삼았다. 불전의 창건 시기부터 19세기 말까지 시대적·사회적 상황에 따라 목조불전에는 공간 및 의장에 대한 변화가 요구되어 왔다. 목조불전의 가구형식을 규명함으로써 의장이 가구형식과의 갈등 요소를 어떠한 과정을 통해 해소하고 조화를 이루었는지를 고찰해 볼 수 있다. 목조불전의 가구형식을 규명하는 것은 우리나라 목조건축 수법의 전승 및 오랜 시간 중수 및 중건 과정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의장적 특징을 고찰하기 위한 바탕적 도구를 제공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고려시대 주심포 건축에서 공포층단의 의장은 기둥과 보로 이루어지는 종단의 가구를 통해 명확히 드러나는 것이었고, 횡단을 통해서도 표현되었다. 주심포 불전에서 다포 불전으로의 발전 과정은 공포의 기준모듈이 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비례관계는 간단한 것으로, 공포층단은 일체화되며 장식적으로 변하는 것이었다. 다포 불전에서 지붕의 물매가 층단높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종단면의 모듈 분석을 통하여 층단높이의 결합이 도리 하부 가구의 수직짜임에 지속적으로 응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포 건축에서 공포층단의 의장적 효과는 보와 기둥으로 이루어지는 종단면 수직 가구에서는 약화되는 대신 벽면과 수평한 첨차 방향으로는 계속 남아 있게 된다. 살미첨차는 일체화 되어가는 반면에 살미와 결구되는 첨차들은 소로와 결구되며 중첩되는 의장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영조법식의 체계가 주심포식에서 다포식으로 변화되어 가는 시기에 작성된 법식임을 고려하여 우리나라 중건·중수 불전을 통해 영조법식의 재분등급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주간포를 사용하게 되고 공포층단이 일체화되면서 부재의 크기는 축소되고 재분법에 의한 등급은 낮은 등급이 되었음을 추측하였다.;When Buddhism was introduced from India and China into Korea in times of antiquity, the architectural culture were dramatically progressed, and so many Buddhist temples were constructed throughout the country. In Korea, it could be said that almost all the Buddhist temples were established at that time. And the Buddhist buildings were lasted with wholly repairing, newly reconstructing and relocating. So it could be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Korean Buddhist buildings and still we could find the ancient stylobates, foundation stones, stairs and wooden members of framework and frame system of various periods at that build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later transformation and acceptance in the process of reusing Buddhist Halls known as constructed in ancient times specially in light of framework schema. To find the adopted modules and proportions, this study conceived a schematic diagram based on the whole frame structure taking reference from the Cai-Fen system in Yingzao Fashi. The framework schema of early Jusimpo-style Buddhist halls(Geungnakjeon Hall of Bongjeongsa Temple,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and Daeungjeon Hall of Sudeoksa Temple) show the influence of the schema of the early Unified Silla Period, though the halls are known as built in the late Goryeo Period. In these three halls, the heights of each cross-beam(Dori) are made up by the layers of member and member units. This study computes the values of Cai, Zhi, and Fen which can apply to both the section and the plan. The vertical section structure is determined by combining the standard member heights(Cai) and the standard unit heights(CaiZhi). The bays of columns are made by multiples of the standard member width(Fen). And then, this study focused on the reconstructed wooden buddhist pavilions like Geungnakbojeon Hall of Muwisa Temple, Daeungjeon Hall in Gaesimsa Temple, Geungnakbojeon Hall in Donghwasa Temple and Daeungjeon Hall of Chamdangam Hermitage of Seonunsa Temple. The frame members were analyzed in terms of structural rules of Cai-Fen system in Song Dynasty and also Doukou system in Ch'ing Dynasty. To investigate unit modules and building proportions of these halls, this study analyzed a schematic diagram based on the whole frame structure. The results are follows. The members are likely to the unification in design but the vertical section of building structure can be divided by the layers of member units as shown in Joosimpo-style halls. The standard member units changed to the simple proportions like Doukou module system in the Qing Dynasty. Even the intercolumniation of the halls must be altered due to the changes of frame type and the use of space, the module units of a bay follows the standard member width(Fen) of old frame memb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건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