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0 Download: 0

초등학교 고학년의 건강증진교육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등학교 고학년의 건강증진교육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Education on Self-Esteem : Evidence from Korean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uthors
장희선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정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건강증진교육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건강증진교육 실시여부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분석하여 건강증진교육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에서 2016년 3월부터 7월까지 건강증진교육을 5회 이상 실시한 200명과 건강증진교육을 실시하지 않았거나 2회 미만으로 실시한 200명, 총 4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수집된 설문지 중 응답내용이 불성실하게 답변된 것으로 판단되는 자료는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실험집단 180부와 비교집단 180부로 총 360부의 자료를 STATA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분석에서는 Cronbach's α, 그리고 차이검증을 위해 t-test와 one-way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건강증진교육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 신체능력 자아와 신체외모 자아를 제외한 나머지 5가지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고, 실험집단 내 성별의 차이는 가정적 자아, 신체능력 자아, 친구관련 자아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비교집단 내 성별의 차이는 가정적 자아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 건강증진교육 실시여부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남학생의 경우 실험집단이 7가지 모든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여학생의 경우도 실험집단이 성격적 자아를 제외한 나머지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학년에서는 자아존중감의 영역 중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서 모두 가정적 자아, 성격적 자아, 신체외모 자아, 학업·전반적 자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별 건강증진교육 실시여부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4학년의 경우 신체외모 자아, 친구관련 자아, 학업·전반적 자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5학년은 모든 자아존중감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6학년은 신체외모 자아, 신체능력 자아, 친구관련 자아, 학업·전반적 자아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4, 5, 6학년 모두 학년별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비교집단의 자아존중감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건강증진교육이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교육이 성격적 자아와 가정적 자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친구관련 자아, 학업·전반적 자아, 신체외모 자아, 교사관련 자아, 그리고 신체능력 자아 순으로 자아존중감 영역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건강증진교육 실시여부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이 비교집단의 자아존중감보다 모든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초등학교 고학년의 건강증진교육을 실시하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건강증진교육이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고학년에게 보다 높은 자아존중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이러한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모든 초등학교에서 건강증진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education on the self-esteem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upper grade level. To do so, this paper analyz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elf-esteem based on participation in health promotion education and general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data used in research was obtained from a self-conducted survey on elementary students in the nation’s capital, Seoul. This paper surveyed 200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health promotion education more than 5 times between March 2016 and July 2016. Also, this paper selected another 200 students who have taken part in the education less than 2 times in the given period. Out of total 400 samples, 20 samples from each of the two groups were dropped due to incompletion of survey questions. Thus, 180 samples from treatment group and 180 samples from control group were considered for this analysis. This paper implemented confidence interval test such as Cronbach’s α, t-test and one-way ANOVA and frequency test using STATA.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on education on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pper grade were as follow. In subsample analysis, the paper found that females had higher self-esteem in all types of self-esteem except for physical ability and physical appearance. Within treatment group, there were significantly higher differences in self-esteem in family relationship, physical ability and friendship across genders. On the other hand, within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only existed in self-esteem related to family relationship. Within male subsample, male students in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esteem level in all 7 types of self-esteem and similar result followed for female subsample.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ade levels. Students in 6th grade showed significantly lower self-esteem compared to 4th and 5th graders. Also within each grade level subsample,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mber of types of self-esteem. Furthermore, self-esteem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treatment group in all aspec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ealth promotion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ll types of self-esteem, self-esteem in family relationship, schooling, physical appearance, relationship with teachers, personality, physical ability, and friendship. In conclusion, there were some evidences that health promotion educ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among elementary students in upper grade. This may suggest a policy implication that implementation of health promotion education may provide a beneficial outcome on the psychological growth of pre-adolesc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