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3 Download: 0

운동중독 여부가 웨이트트레이닝 운동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itle
운동중독 여부가 웨이트트레이닝 운동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ports Addiction : Physical Self Concept and Mental Health of Weight Training Individuals
Authors
김진아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함정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ffects and relationships of sports addiction to one’s physical self concept and mental health. A survey was conducted at various fitness centers in Seoul. A total of 200 peopl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150 survey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Data was analyzed via IB SPSS Statistics 22.0 and a variety of statistical tests were conducted including one-way ANOVA, Duncan's post-hoc test, independent variable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mo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education and occupation, had in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sports addiction. In contrast, the following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evant to sports addiction: age, length of an average workout, regularity of workouts and period of workout experience. Participants in their thirties showed a much higher level of sports addiction than those in their twenties. Addiction rate increased for participants with longer workout experience, and highly regular and/or long workouts. Regarding physical self concept, addicts were more likely to have a negative view on their physical health. Self esteem levels were similar among both addicts and non-addicts, while addicts had a more positive view on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To reiterate, sports addicts showed pride in their physical appearance, but had negative feelings regarding their health due to regular intensive workouts. Within mental health, somatization levels were higher among addicts while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hostility were similar acros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The difference in somatization levels may be explained by the constant physical stress that addicts put on their bodies. Participants as a whol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self concept and mental health. In other words, as somatizaton,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hostility increased, feelings of health, self esteem and physical appearance decreased. There were other meaningful implications to this study. Findings showed the benefits of habitual exercise as well as the possibility to transform negative forms of sports addiction. The problems of being a sports addict comes from overtraining and the feeling of both mental and physical discomfort. By setting limits on workouts per week and the length of each workout, this addiction can be controlled. Such limitation allows one to rediscover the original intention of improved fitness, satisfaction and most importantly, quality of life.;본 연구의 목적은 웨이트트레이닝 운동참가자들의 운동중독 여부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신건강의 차이와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를 위해 서울 지역 휘트니스 센터를 방문하여 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일관된 응답을 하였거나 응답이 부실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된 50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150부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의 출처와 신뢰도는 다음과 같다. 운동중독 설문지는 강신욱(2009)이 생활체육 참가자들의 운동중독 원인을 규명하고자 개발한 한국형 운동중독 설문지를 웨이트트레이닝이 맞게 수정하고 3가지 요인인 금단증세, 애착, 내성으로 재구성 하였으며 금단증세의 신뢰도는 .875, 애착의 신뢰도는 .884, 내성의 신뢰도는 .892로 세요인 모두 .60 이상으로 신뢰할 수 있었고 신체적 자기개념 설문지는 Marsh, Rechards, Johnson, Roche와 Tremayne(1994)이 개발한 신체적 자기개념 설문지(Physical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PSDQ)의 한국판인 김병준(2001)의 신체적 자기개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의 10가지 하위요인인 스포츠 유능감, 체지방, 외모, 건강, 신체활동, 자기존중감, 유연성, 지구력, 근력, 신체전반 중 3가지 하위요인인 건강, 자기존중감, 신체전반으로만 수정하여 재구성 하였다. 건강의 신뢰도는 .802, 자기존중감의 신뢰도는 .833, 신체전반에 신뢰도는 .875로 세 모두 .60이상으로 신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신건강 설문지는 Derogatis, Lipman & Covi(1973)의 간이정신진단검사(Symptom Check List-90-Revision: SCL –90 –R)를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1983)이 번역 및 표준화하여 한국판 간이정신진단검사지로 재구성 한 것을 김희정(1991), 이혜원(1992), 김윤래 및 최만집(2009)이 요인 분석하여 새롭게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하위요인은 신체화, 강박증, 대인 민감증,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으로 9가지로 나뉘며 이 중 3가지 증상차원인 신체화, 대인 민감증, 적대감으로 수정하여 재구성하였다. 신체화의 신뢰도는 .719, 대인민감증의 신뢰도는 .685, 적대감의 신뢰도는 .853으로 세요인 모두 .60이상으로 신뢰할 수 있었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2.0을 활용하여, 일원변량분석과 Duncan’s 사후 검증, 독립변인 T-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 등을 실시하였다. 운동중독 여부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신건강의 차이와 관계를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중독 여부를 살펴본 결과 성별, 최종학력, 직업은 운동중독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 연령이나 운동을 하는 시간과 기간은 운동중독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대보다 30대가 운동중독 비율이 높았고 운동기간은 1년이상~2년미만이었으며, 운동참여횟수는 주6회로 거의 매일 운동을 하는 사람일수록, 운동시간은 2시간이상 운동을 지속하는 사람일수록 운동중독에 빠지는 비율이 높았다. 둘째,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은 세 가지로 건강, 자기 존중감, 신체전반이다. 건강에 대해서는 중독군이 비중독군보다 자신의 건강면에서 부정적으로 바라보았고 자기 존중감은 중독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체전반에 대해서는 중독군이 비중독군보다 긍정적 인식을 하고 있었다. 즉 운동중독자들은 자신의 외모나 신체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자부심을 느끼지만, 과한 운동으로 인해 자신의 건강에 대해서 부정적 인식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 같은 운동중독군의 건강의 부정적 인식을 다른 측면에서 해석해 본다면 이미 자신의 건강에 이상을 느끼고 있었기 때문에 과도한 운동 참여를 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셋째, 정신건강의 하위요인은 세 가지로 신체화, 대인민감증, 적대감이다. 신체화에 대해서는 중독군이 비중독군보다 부정적인 결과가 도출되었고, 대인민감증과 적대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운동중독자들이 자신의 신체적 능력보다 과한 운동으로 인해 신체의 통증이나 결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비중독집단에 비해 신체화 인식이 부정적이었다. 넷쨰, 중독자와 비중독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살펴보면 두 집단 모두 정신건강 요인인 신체화, 대인민감증, 적대감의 부정적 인식이 높아지면 신체적 자기개념의 요인인 건강, 자기존중감, 신체전반의 인식은 낮아지는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바로 정신건강의 부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신체적 자기개념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이야기 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운동자에게는 운동참여의 필요성을 일깨워주고, 부정적 운동중독자에게는 긍정적 중독으로 변화할 수 있는 도움을 주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이번 연구에서 웨이트트레이닝을 통해 자신의 신체와 체력에 자신감이 생기는 긍정적 효과도 있었지만, 자신의 몸에 이상을 느끼는 인식인 건강과 신체화에서는 부정적 효과도 드러났기 때문에, 웨이트트레이닝 운동자들이 과도한 욕심으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으로 부정적인 운동중독에 빠지지 않기 위해 운동에 대한 과한 욕구를 자제하고 운동 시간과 횟수를 통제하여 운동의 참여가 본래 의도에 맞는 삶의 질 향상과 개인의 활력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방향으로 유도해 나가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