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신학대학원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

Title
신학대학원생의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불안, 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Seminary Students : A Mediated-Moderation and Moderated-Mediation model of Religiosity and Self-Criticism
Authors
전수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외재적 및 내재적 종교성의 조절효과와 자기비난의 매개효과를 포함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자기비난을 통해 불안과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결과 바탕으로 외재적 및 내재적 종교성의 상호작용이 자기비난을 통해 불안과 우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및 서울 소재 신학대학원에 재학 중이고 현재 교회에서 일하고 있는 성인 남녀 200명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내재적-외재적 종교성, 자기비난, 불안과 우울을 측정하였고, 수집한 자료를 SPSS 18.0, SPSS Macro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외재적 종교성, 자기비난, 불안, 우울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보였고, 내재적 종교성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다음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불안, 우울 관계에서 외재적 종교성과 내재적 종교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외재적 종교성의 상호작용은 불안과 우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내재적 종교성의 상호작용은 불안만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자기비난을 통해 불안과 우울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결과를 종합하여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외재적 종교성의 상호작용이 자기비난을 통해 불안과 우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자기비난이 높아지고 궁극적으로 불안과 우울을 더 경험하게 하는데, 외재적 종교성이 높을수록 불안과 우울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내재적 종교성의 조절효과는 자기비난을 통해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아 매개된 조절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마지막 주요 분석으로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자기비난을 통해 우울에 미치는 과정에서 내재적 종교성이 높은 경우 우울 수준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불안, 우울에 미치는 관계에서 외재적 및 내재적 종교성이 조절하는지 검증하였고, 이를 확장시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종교성의 상호작용이 자기비난을 통해 불안과 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종합적인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종교성의 두 차원으로 분류되는 외재적, 내재적 종교성은 단순 조절모형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조절된 매개모형에서 내재적 종교성이 우울 수준을 낮추는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신학대학원생이 자기비난으로 인해 불안과 우울을 경험할 수 있으므로 내재적 종교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seminary students using a mediated-moderation and moderated-mediation model.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xiety, and depression would be moderated by religiosity and mediated by self-criticism. Although previous literature have shown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redicts an increase in anxiety and depression, intrinsic religiosity might be a possible moderator reducing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addition, to understand the pathway in whic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creases anxiety and depression, self-criticism was examined as a possible mediator. A sample of 200 seminary students who are currently enrolled in a seminary graduate school and working as a church minister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elf-report survey measured intrinsic-extrinsic religiosity,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criticism, anxiety, and dep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extrinsic religiosity, and self-criticism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while intrinsic religios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Second, moderation analysis revealed that extrinsic religiosity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xiety, as well as depression. Intrinsic religiosity only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xiety. Third, self-criticism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indicating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ffects anxiety and depression through self-criticism. By integrating moderation and mediation model, results revealed that extrinsic religiosity acted as a significant moderator and self-criticism as a mediator in the pathway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redicting higher anxiety and depression. One of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is that although self-criticism mediate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intrinsic religiosity acted as a protective moderating factor lowering depression. The finding suggests that acquiring intrinsic religiosity is especially important for seminary students who are affected by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Based on the resul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