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충래-
dc.contributor.author박소윤-
dc.creator박소윤-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7:06Z-
dc.date.available2018-04-04T11:57:06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75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7564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52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또래애착이 정서행동 문제인 우울과 공격성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확인하여 사회복지적 함의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 아동·청소년 청소년패널조사 2010 (KCYPS: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중학교 3학년 학생 2,259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방법 과정에서 SPSS 22와 MPLUS 7.4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 경로의 효과성 분석, Sobel 검증을 하였다. 첫째, 자아정체감과 또래애착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정서행동 문제인 우울과 공격성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자아정체감과 또래애착을 형성할수록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우울할수록 공격성이 강할수록 학교생활적응 정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아정체감과 또래애착은 우울과 공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긍정적인 자아정체감과 또래애착을 형성할수록 우울과 공격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자아정체감,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우울, 공격성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시기에 중요하게 여겨지는 자아정체감과 또래와의 신뢰, 의사소통을 통한 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다양한 경로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점 및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긍정적인 자아정체감 형성과 신뢰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강한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 방안이 다각적 차원에서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 성찰 기회를 제공하며 프로그램 실시, 또래와의 애착을 증진시킬 수 있는 멘토링 프로그램, 협동학습을 실시하여 학교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자아정체감, 또래애착과 학교생활 적응관계에서 우울과 공격성이 매개하는 요인으로 밝혀졌기 때문에 우울, 공격성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즉, 우울과 공격성이 높은 청소년들을 조기에 발견하여 이로 인한 학교생활적응을 저하하는 선행요인들을 예방해야 한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과정에서 우울,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이들의 학교생활 적응력을 향상시키고 성공적인 발달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개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집단 생활적응정도가 추후 집단생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감안하여 후기청소년시기를 앞둔 중학생 시기를 대상으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우울과 공격성을 매개로 한 학교생활적응의 연구가 부족한 실정에서 본 연구가 우울, 공격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관련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go-identity and peer-attachment on school adjustment and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identity and peer-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so as to draw social welfare implications to increase school adjustmen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data from ‘2010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which included 2,259 middle school 3rd grade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onducted to test goodness of fit for the model and to analyz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variables on school adjustmen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ego-identity and peer-attach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with a negative(-) effect by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other words, it revealed that the more positive ego-identity and peer-attachment adolescents had, the higher their school adjustment was, and the stronger depression and aggression they had, the lower their school adjustment was. Second, it showed that ego-identity and peer-attach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As they had positive ego-identity and peer-attachment, their depression and aggression were lower. Third, it revealed that depression and aggression ha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between ego-identity and peer-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showing that there are various paths in the effects of ego-identity, trust with a peer and attachment by communication regarded important on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variety of strategies are needed to prevent problems of school adjustment. Second, it showed that positive ego-identity and strong peer-attachment may enhance school adjustment so interventions should be prepared in multilateral dimensions. Hence, an opportunity for self-reflection has to be provided to improve ego-identity and various interventions are required for school adjustment by conducting a mentoring program and cooperative learning to increase attachment to peers. Third, it showed that depression and aggression are mediators in relations of ego-identity and peer-attachment with school adjustment so intervention for depression and aggression are needed. That is, early screening for adolescents having high depression and aggression has to be conducted and antecedents lowering school adjustment has to be prevented. This study made contribution to giving basic data for specific intervention to increase adolescents' adjustment for their successful development by identifying a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the effects of their ego-identity and peer-attachment on school adjust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the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ers before late adolescence considering the effects of adolescents' adjustment to a communal life on a life as a group hereafter. This study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a direction of the future research on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on school adjustment in a situation there are few related studies by mediation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문제제기 1 B. 연구목적 5 Ⅱ. 선행연구 6 A. 개념적 논의 6 1. 자아정체감 6 2. 또래애착 7 3. 정서행동 문제 9 4. 학교생활적응 12 B. 학교생활적응 영향 요인 변수 관계 14 1. 자아정체감 14 2. 또래애착 17 3. 정서행동 문제와 학교생활적응 21 C. 자아정체감,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행동 문제의 매개효과 24 Ⅲ. 연구방법 26 A.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26 1. 연구문제 26 2. 연구모형 26 B.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7 1. 원자료 개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27 2. 분석대상 29 C. 연구측정도구 29 1. 자아정체감 29 2. 또래애착 30 3. 정서행동 문제 31 4. 학교생활적응 32 D. 자료분석방법 34 Ⅳ. 연구결과 35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35 1. 인구사회학적 특성 35 2. 주요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및 상관분석 37 B. 자아정체감, 또래애착, 정서행동 문제,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42 1. 측정모형 42 2. 구조모형 46 3. 정서행동 문제의 매개모형 검증 48 Ⅴ. 결론 및 제언 51 A. 결론 및 논의 51 1.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또래애착, 정서행동 문제,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51 2. 정서행동 문제의 매개효과 54 B. 의의 및 제언 55 1. 연구의 의의 55 2.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57 참고문헌 59 ABSTRACT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020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청소년의 자아정체감, 또래애착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우울, 공격성 매개효과-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Ego-identity and Peer-attachment on School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and Aggression-
dc.format.pagev,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