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04 Download: 0

과학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과학 학습 동기, 과학 관련 진로 인식과 사회적 기여도 간의 구조적 관계

Title
과학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과학 학습 동기, 과학 관련 진로 인식과 사회적 기여도 간의 구조적 관계
Other Titles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Science Teacher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Perception on Science Related Career, and Level of Social Contribution
Authors
장연주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우애자
Abstract
과학기술의 발달은 국가의 경쟁력이며, 과학기술의 발달을 위해 과학기술 부분의 인재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것은 과학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유은정 등, 2016). 따라서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을 가져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과학 진로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한 학생들이 자신의 재능을 사회에 환원하는 성숙한 민주시민이자 국가 인재로 자라날 수 있도록 올바른 시민 의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 인식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과학 관련 진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중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과학 학습 동기를 설정하였다. 두 요인이 과학 관련 진로 인식과 사회적 기여도에 직접적, 간접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또한 심미관이나 성취감, 경제보수, 협동성 등을 포함하는 올바른 직업관의 여러 가지 요인 중 하나인 사회적 기여도에 과학 관련 진로 인식이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과학 학습 동기가 과학 관련 진로 인식에 미치는 단편적인 영향, 과학 진로 인식이 사회적 기여도에 미치는 단편적인 영향만을 확인하는 데에 멈추고 있으므로 이들의 관계를 통합적이고 구조적으로 살펴 그 인과관계와 설명력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고안한 구조적 모형을 통해 변인간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관계들이 학생 성별에 따라, 중·고 학교 급별, 학생의 거주 지역에 따라 서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서울, 인천, 군산 지방의 중학교 1학년 학생 305명, 고등학교 1학년 334명 총 6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학생들이 과학 교사로부터 얻는 사회적 지지정도, 과학 학습 동기 수준, 과학 관련 진로 인식 수준, 사회적 기여도 수준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자료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설정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느끼는 과학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과학 학습 동기가 과학 관련 진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며, 과학 관련 진로 인식은 사회적 기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는 가설 모형이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에서 학생이 인지하는 과학 교사의 사회적 지지는 과학 관련 진로 인식에 직접적인 부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학습 동기는 과학 관련 진로 인식에 직접적인 정적 효과를 나타내며, 과학 관련 진로 인식은 사회적 기여도에 직접적인 정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이 느끼는 과학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과학 학습 동기는 과학 관련 진로 인식을 매개로 하여 사회적 기여도에 유의한 간접 효과를 미쳤다. 과학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과학 학습 동기가 과학 관련 진로 인식에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나타내고, 과학 관련 진로 인식이 사회적 기여도에 직접적 인과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과학 관련 진로 인식이 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을 갖게 하며, 바른 직업 선택관과 사회에 대한 기여인식을 함양하게 하기 위해서는 교사와의 적절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과학 학습 동기를 촉진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성별, 학교급별, 거주 지역별로 경로모형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본 연구의 수정모형이 남녀 학생 집단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두 집단 간 동일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경로계수 추정결과 두 집단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구조모형의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중·고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중학생과 고등학생 두 집단은 측정동일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집단에 따른 분석을 수행 할 수 없었다. 거주 지역 집단별로 다중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정모형은 서울/지방 주거 지역에 따른 두 지역 집단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에 따른 다중 집단분석을 통해 과학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과학 관련 진로 의식에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경로와 과학 학습 동기가 과학 관련 진로 인식에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경로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지역별 집단은 조절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rect or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of science teacher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perception on science related career, and level of social contribution through a structural model devised in this study. Also, this study conducted a multiple group analysis to investigate if these relationships differ by gender and according to the grade of middle and high school. This survey is based on 639 freshmen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Incheon, and Gunsan. And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study contain questions asking degree of social support of science teacher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perception on science related career, and level of social contribution. Then, descriptive statistics data and correlation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and analyzed confirmatory factors and the establishe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Program. The results foun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of science teacher,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related career and the level of social contribution in acceptable model fit. The social support of science teachers perceived by students in a modified model makes direct nega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cience-related career. Science learning motivation makes direct positive effect on perception of science-related career, and perception of science-related career makes direct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social contribution. Also, Social support of science teachers perceived by students and science learning motivation made significantly indirect effect on the level of social contribution through perception of science-related career. Second, the modified model of this study appropriately corresponds to the male and female groups. And this model is identified a measurement residual model. And the two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can’t satisfied the measurement invarience. Therefore, it was identified that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accepted differently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would be necessary for follow-up studies to identify a cause and effect relations model by investigating different influencing variables on perception of science-related career that were not addressed in this study. Also,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by establishing different subfactors other than the ones used in this study in measuring perception of science-related career. Second,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structural model, the better questionnaire should mad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