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8 Download: 0

중등 지리 교과서 탐구활동의 공간적 사고 분석

Title
중등 지리 교과서 탐구활동의 공간적 사고 분석
Other Titles
Spatial Thinking Analysis of Inquiry Ques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s : Spatial Concept, Cognitive Process, and Use of Representation Tools
Authors
이종희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quiry on the stimulation and development of spatial thinking about the inquiry activities of current geography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his study find out what kind of spatial thinking ability is developed to comparing with the case study of geography inquiry activity in other countr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limatic units and urban geography units of three geography textbooks in middle school and three kinds of geography textbooks in high school. The analysis tool is an framework of taxonomy developed by Jo & Bednarz to analyze the spatial thinking of geographic inquiry activities. It analyzes spatial thinking in three ways: spatial concept, cognitive process, and use of representation tools. The result for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the spatial concept appears in the following order: simple-spatial concept, complex-spatial concept, non-spatial concept, and spatial primitives. Especially, the concept of "region" in the simple-spatial concept appeared many, and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inquiry activities that present the concept as an example of the region. Secondly, the cognitive process is frequently seen in order of the processing level of thinking, the input level of thinking, and the output level of thinking. Thirdly, the representation tool was confirmed to be used in almost all inquiry activities analyzed. As a result, spatial thinking can be seen to be converged on inquiry activities of several similar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use of spatial concepts. These spatial thoughts can be divided into 24 cells by the classification table, and each cell is characterized by unique spatial think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imple-spatial concept, the processing level of thinking, and representation tool are used most frequently.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middle school climatic unit showed a remarkabl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dealing with the simple-spatial concept, and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high school climatic unit were distributed more than the middle school climatic unit although the simple-spatial concept was found in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high school too. Urban geography unit has the most concept of simple-spatial concept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only concept of simple-spatial concept and complex-spatial concept is identified in high school inquiry activity. Analysis of US Geography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and Analysis of jo and Bednarz Textbooks of the United States World Geography University of the United States compared with the Korean Geography textbooks. In American studies, representation tools were not used, and non - spatial concepts and cognitive processes of thinking input were found to be the most common spatial concept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 Korea show that there are many representation tools and there are many spatial concepts in which simple-spatial concept and thinking processing function are found, which is the third factor of spatial thinking. Although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to the entire textbook due to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would be helpful to check the contents lacking in terms of spatial thinking of inquiry activities and to develop better inquiry activities for future. In addition, when the inquiry activities is dealt with at the geography class, it can help teacher in the educational level considering the spatial thinking.;본 연구는 국내 중고등학교 현행 지리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대상으로 공간적 사고를 자극하고 발달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지 공간적 사고의 세 가지 요소로 분석하고, 다른 나라의 탐구활동 사례와 비교하여 어떠한 공간적 사고력을 기르는 것에 적합한지 파악하고자 한다. 그럼으로써 교사가 학생들에게 탐구활동을 지도할 때 어떠한 부분에 유의점을 두고 가르치면 좋을 것인가에 대한 도움을 주고, 나아가 앞으로의 탐구활동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 중학교 지리 교과서 3종과 고등학교 지리 교과서 3종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자연지리 영역에 해당하는 기후 단원과 인문지리 영역에 해당하는 도시 단원의 탐구활동을 선정하였다. 분석의 도구로는 Jo and Bednarz(2011)가 지리 탐구활동의 공간적 사고를 분석하기 위하여 개발한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이 분석틀은 공간적 사고를 공간적 개념, 인지적 과정, 표현도구의 사용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탐구활동을 분석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각 범주에 따라 탐구활동을 분석하고 주로 어떠한 특성의 공간적 사고가 발견되며 전체적인 분포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중, 고등학교 지리 교과서 탐구활동의 분석 결과 공간적 개념은 단순 공간 개념, 복합 공간 개념, 비공간적 개념, 공간 기본 개념 순으로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단순 공간 개념의 "지역" 개념이 많이 나타나고 있어 기후와 도시 단원의 탐구활동은 해당 개념을 지역 사례로 제시하는 탐구활동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고등학교 탐구활동 중 비공간적 개념이 많이 나타나는 사례가 있는데 이는 주로 도시 단원에서 논쟁적인 이슈를 통한 찬반 토론이나 의견 개진과 같은 활동을 하는 탐구활동에서 나타난다. 공간적 개념의 다른 범주인 인지적 과정은 사고 처리 단계, 사고 입력 단계, 사고 산출 단계 순서로 많이 나타나고 있는데, 주로 탐구활동에서 설명하기, 분석하기 등 활동에 주어진 자료를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경험하는 탐구활동이 많다는 의미이다. 반면 사고 산출 단계는 나타나는 빈도수도 적었으며, 탐구활동 한 문항에서 다른 종류의 활동과 함께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하나의 활동에서 다른 인지적 과정을 통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고 이것에 관한 추측 또는 평가와 같은 활동을 진행해볼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에서 보이는 패턴이다. 표현 도구는 다른 공간적 사고의 범주들과 다르게 추상성이나 복잡성의 정도에 따른 구분이 없으며 표현 도구의 사용여부로 분석하였다. 표현 도구는 분석된 거의 모든 탐구활동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탐구활동 1문항 당 사용된 표현 도구의 수는 최소 1개에서 3개까지도 사용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탐구활동 분석 결과 거의 모든 탐구활동이 표현 도구가 사용되며, 17번 셀을 중심으로 Jo and Bednarz(2011)가 공간적 사고 구조로 발표한 셀 구분에서 세 구성요소가 모두 포함되는 탐구활동은 공간적 탐구활동으로 분석한다. 둘째, 이처럼 범주 별로 분석한 탐구활동의 공간적 사고를 분류표 상에 표현하면 탐구활동이 가진 공간적 사고의 특성에 따라 그 위치가 정해지고 이것의 분포와 패턴을 볼 수 있는데 Jo and Bednarz(2009)는 탐구활동의 공간적 사고의 특성에 따라 24개의 셀을 만들고 각 탐구활동의 공간적 특성에 따라 각 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몇 개의 유사한 성격의 셀을 묶어서 탐구활동을 카테고리화 하고 그 분포와 패턴을 파악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탐구활동은 Jo and Bednarz(2009)의 분류와는 별개로 거의 모든 탐구활동에 표현 도구가 사용되고 있어 사용된 공간적 개념에 따라 독특한 개념 군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분포 측면에서 볼 때 기후 단원은 중, 고등학교 탐구활동 모두에서 단순 공간 개념을 다룬 탐구활동이 가장 많았으나 비교적 고등학교 탐구활동에서는 다른 공간적 개념까지 고르게 분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도시 단원의 경우 역시 중, 고등학교 탐구활동 모두에서 단순 공간 개념이 가장 많이 보이나 고등학교 도시 단원에서는 복합공간개념이 단순 공간 개념에 버금가는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기후와 도시 단원에서 공통적으로 공간 기본 개념을 다루고 있는 탐구활동의 수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탐구활동의 분석 결과를 분류표를 만들고 실제 교과서에 적용, 분석한 Jo and Bednarz(2009)의 미국 텍사스 세계지리 분석 사례와 Micheal et al.(2014)의 사례를 국내 지리 교과서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서 탐구활동은 교과서 내 위치에 따라 그 역할이 정해져 있고, 각 탐구활동의 공간적 사고가 효과적으로 탐구되기 위해서 어느 위치의 탐구활동에 학습자와 교사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미국의 연구에서는 페이지 여백에 위치한 탐구활동이 다양한 공간적 사고를 다루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단원의 마무리 부분이 공간적 사고를 자극하는 요소가 적음을 밝히면서 교사는 학습자들의 공간적 사고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페이지 여백의 탐구활동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다. 그리고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교과서 내 위치에 따른 탐구활동의 분석 내용은 미국의 사례와 동일하게 페이지 여백에서 가장 공간적 사고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단원의 끝부분에 위치하는 탐구활동은 공간적 사고가 가장 빈약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미국 사례와 달리 거의 모든 탐구활동에 표현 도구가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러나 표현 도구는 그 질적인 측면에서 탐구활동의 문항을 이해하는 데 보조적인 시각적 자료로 역할이 제한되어 있어 학생들의 도해력 신장이나 중요한 탐구의 대상으로는 활용되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 본 연구는 앞서 탐구활동의 공간적 개념, 인지적 과정, 표현 도구의 사용 측면에서 현행 지리 교과서를 분석하고 탐구활동이 어떠한 공간적 사고를 다루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국의 사례들과 비교하여 어떻게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물론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인해 연구 결과를 교과서 전반에 일반화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으나 이를 통해 탐구활동의 공간적 사고라는 측면에서 부족한 내용에 대한 점검과 더 나은 탐구활동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더불어 탐구활동을 학교현장에서 교사가 지도할 때 공간적 사고를 고려하여 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지원하려는 차원에서도 도움을 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