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0 Download: 0

주관적 일 중독과 근로 시간에서의 성별 격차

Title
주관적 일 중독과 근로 시간에서의 성별 격차
Other Titles
Gender Difference in Subjective Workaholism and Working Hour : Non-cognitive Ability and Working conditions
Authors
장다솜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민식

김현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t aspect of influence of reciprocity and working conditions in gender. Behavioral norms forms norms on interaction with others within the organization and explained by reciprocity. Working condition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ge, paid parental leave and vacation, firm size can affect reciprocity and are considered in the model. Using KLIPS(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data of 17th, 18th individual data and its additional surveys, only paid workers were selected. FFM(Five Factor Model) of five personality variables(open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greeableness, neuroticism), locus of control are controlled in measuring reciprocity variable. For working condition variables, organizational commitment, paid parental leave, paid vacation, log wage, and firm size were considered. To measure the utility maximization preference of individuals indirectly, job satisfaction variable was considered. The analysis methods are OLS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and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Level 2 variables for HLM are industry and job categorie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re was little gender difference in subjective workaholism. In both genders, people with higher reciprocity, higher wage, smaller firm size were likely to consider themselves as workaholics. Dependent variables in weekly working hour show gender difference. For the non-cognitive factors, male with higher level of reciprocity were likely to work more; however, female with lower level of reciprocity were likely to work more. For working conditions, higher wage and lower firms size, and paid parental leave were common factors for longer working hour; however, male with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eciprocity level, and female with lower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more likely to work more. Whether they belong to workaholic category or not were analyz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 indicates that working conditions such as lower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igher wage were significant whereas female with higher level of neuroticism and reciprocity were significant. Wage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subjective workaholism and weekly working hour regardless of gender, indicating wage was the biggest incentive for the effort level. Female had bigger substitution effect than male, providing evidence of reduction in wage gap between gender can increase woman’s labor market participation and effort level, leading to the improvement of female social status. These gender differences show that there are other factors influencing the gender difference of the subjective workaholism and working hour. The difference might be caused by behavioral prescription and gender norms in labor market. Therefore, effort level is not only the result of individual preference, but is the result of the non-cognitive ability and working condi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he use of cross-sectional data with problems of endogeneity. Also, the validity of the measure of workaholism can be pointed out since the measure based on self-report.;본 연구는 주관적 일 중독과 근로 시간에 상호성과 근로 조건의 영향이 성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양상을 파악한다. 성별에 따라 다른 행동적인 규범이 있어 조직 내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규범이 다르게 형성되며, 이를 상호성으로 분석한다. 또 상호성에 영향을 미치는 근로 조건인 조직 몰입도, 임금, 유급 육아휴직과 휴가의 보장, 기업 크기 등을 분석한다. 한국 노동 패널 조사(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의 17차, 18차 개인 및 부가 조사를 이용해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비인지적 요인으로는 FFM(Five Factor Model)의 다섯 가지 성격변수(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증)와 통제의 소재가 통제된 상호성이 고려되었다. 근로 조건으로는 조직 몰입도, 유급 육아휴직, 유급 휴가, log임금, 기업 크기가 분석되었다. 또한 개인의 효용을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개인의 직무 만족도를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OLS 회귀분석으로 일 중독 정도와 근로 시간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일 중독 여부를, 그리고 HLM(Hierarchical Linear Model) 분석을 사용해 산업별(여성, 남성), 직종별(여성) 로 구분했을 때 일 중독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주관적인 노력 수준인 일 중독 정도에 미치는 요인은 성별 간 유사하게 나타났다. 여성과 남성 모두 상호성이 높을수록, 임금이 높을수록, 기업크기는 작을수록 높았다. 주당 근로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높은 상호성이 긴 근로 시간에 영향을 미쳤으나 여성의 경우 낮은 상호성이 긴 근로 시간에 영향을 미쳤다. 근로 조건으로는 성별에 관계없이 높은 임금과 작은 기업 크기, 그리고 유급 육아휴직이 보장되지 않을수록 근로 시간이 길었으나 남성의 경우 높은 조직 몰입도와 상호성의 수준이, 여성의 경우 낮은 조직몰입도가 근로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 중독 여부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남성의 경우 낮은 조직몰입도와 임금 등의 근로 조건 요인이 영향을 미쳤으나, 여성의 경우 높은 상호성 등 비인지적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임금은 주관적 일 중독 정도와 근로 시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성별에 관계없이 임금이 노력 수준 증대에 가장 큰 인센티브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임금으로 인한 대체효과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남녀 임금격차의 해소가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의 증대와 노동 시장 내에서의 노력 수준 증대를 통한 사회적 지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암시한다. 성별 격차를 통해 노동시장 내 주관적, 객관적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이 있으며, 성 역할 고정관념 등의 행동 규정(behavioral prescription)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여성의 경우 가사 노동과 육아의 부담으로 인해 조직 내에서의 상호작용의 규범이 남성과 상이하다는 것이 예상되며, 따라서 주관적 일 중독과 근로 시간에는 개인적 차원의 선호와 더불어 사회적으로 구성된 행동 규정 등이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횡단면 자료의 분석으로 인해 노력의 수준과 비인지적 요인, 근로 조건 간 변수의 내생성 발생 가능성과, 일 중독의 측정이 주관적인 평가에 기반해 있다는 것에 한계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동사회경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