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마한나-
dc.creator마한나-
dc.date.accessioned2018-04-04T11:56:59Z-
dc.date.available2018-04-04T11:56:59Z-
dc.date.issued2017-
dc.identifier.otherOAK-0000001390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139042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47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towards music therapy among special education staff and professionals in related service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A total of 160 professiona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which examined the professional working experience, experiences with music therapy, and perception of music therapy. Out of the participants, 82.5% had previous exposure to music therapy, 41.9% observed music therapy sessions, 38.8% collaborated with music therapists, and 25.6% received music therapy consultation.Perceptions of music therapy was examined using a 4 point Likert scale.The participants indicated low understanding of therapeutic use of music (M=2.81). However, participants generally agreed on the benefits of music therapy (M=3.21), the need for music therapy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M=3.14), the goal of addressing non-musical skills (M=3.08), and disagreed with the effectiveness of a therapy session conducted by a music teacher compared to music therapist (M=2.78). Music therapy was perceived to be effective for all the age groups of students except infants and toddlers, with various disabilities except hearing impairment. Music therapy was also seen as effective in addressing diverse goal areas of the children. Further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ception among the participants based on occupation and music therapy experien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establishing music therapy profession in Arabic countries and developing an effective collaborative model in the special education settings.;본 연구의 목적은 UAE 내 특수교육 및 관련 서비스 전문가들의 음악치료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문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 160 명의 설문 결과를 SPSS 통계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 중 82.5%는 음악치료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이 있었으며, 41.9%가 음악 치료 세션을 관찰하였고, 38.8%는 음악치료사와 협력한 경험이 있었다. 25.6%의 응답자가 음악치료 자문에 참여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특수 교육 내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관련하여, 참여자들이 4 점 Likert 척도로 평가한 음악의 치료적 사용에 대한 인식은 낮은 편이었다 (M=2.81). 그러나 설문 참여자들은 대체로 특수교육 세팅에서 음악치료의 유익 (M =3.21), 특수교육 환경에서의 음악치료의 필요성 (M =3.14), 비음악적 기술을 다루는 목표 (M =3.08)에 대하여 동의하였으며, 음악교사에 비해 훈련된 음악치료사에 의한 서비스가 더욱 효과적이라는 인식을 보였다. 음악치료의 효과와 관련한 항목에서 참여자들은 음악치료가 청각장애 외 다른 장애에 모두 효과적이고, 미취학 (3-5 세) 및 초등학생 연령의 아동에게 효과적일 것이라고 답하였으며, 모든 목표 영역 향상에 효과적일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음악치료 효과에 관한 직업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특수교육 내 음악치료의 필요에 있어 언어치료사의 인식이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05), 전반적으로 음악치료에 대한 언어치료사의 인식 수준이 타 영역 전문가보다 높았다. 음악치료의 효과와 관련하여, 특수교사가 물리치료사 및 작업치료사보다 지적 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효과를 더 높게 인식하였다 (p<.05). 넷째, 음악치료와 관련한 경험이 있는 참여자들의 경우 경험이 없는 참여자에 비해 음악치료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p<.05), 특히 음악치료 자문을 경험한 참여자들은 특수교육 내 음악치료 및 특수아동을 위한 음악치료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이러한 설문 결과는 UAE 내 특수교육 및 관련 서비스 전문가들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고, 향후 아랍 문화권 내 효과적인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도입 및 특수교육 환경에서의 협력적 서비스 모델 개발을 위한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Introduction 1 A. Need for the study 1 B. Purpose 4 C. Research questions 4 D. Definition of terms 5 E. Scope of the study 6 II. Review of literature 8 A. Music therapy in special education 8 1. United States of America 8 2. Europe 12 3. South Korea 15 4. The United Arab Emirates 18 B. Music therapy goa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22 1. Music therapy for promoting cognitive skills 23 2. Music therapy for improving physical and sensory skills 26 3. Music therapy for improving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28 4. Music therapy for enhancing social skills 31 5. Music therapy for addressing emotional skills 33 C. Music therapy and professionals of special education services 35 1. Collaborations and consultations 35 2. Perceptions of other professionals on music therapy 45 III. Methods 53 A. Participants 53 B. Survey instrument 54 C. Proce dure 59 D. Data analysis 59 E. Ethical Consideration 60 IV. Results and discussion 62 A. Demographic information 62 B. Music therapy experience 65 C. Perceptions of music therapy 69 D. Different perceptions of participants 74 E. Discussion 88 V.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95 A. Conclusion 95 B. Recommendations 96 References 100 Appendices 113 Abstract(in Korean)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73059 bytes-
dc.languageeng-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Perceptions towards music therapy of special education staff and related service professionals in the United Arab Emirates-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UAE 특수교육 및 관련서비스 전문가들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 조사-
dc.creator.othernameHanna Ma-
dc.format.pagevi, 123 p.-
dc.contributor.examiner김수지-
dc.contributor.examiner이진형-
dc.contributor.examiner정현주-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