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8 Download: 0

향유 맥락을 고려한 고려속요교육 연구

Title
향유 맥락을 고려한 고려속요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Goryeosokyo education considering its circulation contexts : centered on its characteristics as Ak-jang
Authors
조은정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소연
Abstract
The education for Goryeosokyo has been focused only on its private circulation, which may disrupt appropriate recognition on the types of Goryeosokyo and understandings of individual works. Goryeosokyo had ambivalent features: it started from the private secto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song and, simultaneously, absorbed into the court and performed as court so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ducation for Goryeosokyo is required to consider its contexts, exploring an educational method dealing with these two characteristics as popular song and court song. To supplement the existing educational cont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oryeosokyo works with the circulation contexts as court song. The approaching method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given that Goryeosokyo was based on the Ye-ak ideology and included in Soakbu under the format of Chinese poetry: the first approach was based on the Chungsinyeonjujisa one. Considering the specific objectives and reasons for songs on romantic love, such romance songs seemed to be easily transformed into Chungsinyeonjujisa. It was plausible that, for performing the song in front of a king, a poetic narrator singing for love could be shifted into a servant and the beloved one could be shifted into the king. The second approach was Sondo/Songchuk approach for Goryeosokyo, which had been performed in court parties as a part of Sok-ak of court music. The court music in the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was differentiated from the modern music since they were on a basis of the Ye-ak ideology. It was taken for granted that court music aimed to sing for admiring the virtues and graces of kings and countries. The individual works were analyzed based on the direct expressions on songdo/songchuk (blessing and celebration). The third approach was related to the awareness of reality and reflective views of political administrators on Goryeosokyo. It seemed that there were some revisions in the flow process from the private sector to court. These amendments were conducted by the political administrators, namely, the court servants. Therefore, there were likely to recognize the situations of ordinary people in reflective ways and recorded the song in order to reform the public customs. The fact that a part of Goryeosokyo was included as a Chinese-Korean translated poetry in 『Soakbu』 lend substantial support to this assumption. Moreover, the educational approach on Goryeosokyo was attempted to consider its the circulation contexts, which could lead to more proper recognition on its types and accurate comprehension and appreciation. Also, since Goryeosokyo was characterized as Ak-jang when considering the circulation contexts in the court, it could contribute to more acute understandings on not only the existing Ak-jang education but also the overall trends on the literature history in Korea. Furthermore, the revisions and transforms of Goryeosokyo according to its circulation contexts resulted in the conclusion that it was not simply confined into an established literature work from the ancient time but could be accepted as literature work depending on the recent circumstances of learners, which implied that learners could improve their consciousness as successors and participants of national culture and literature with the expansion into other classical poetry genres.;본고는 그동안 고려속요가 민간에서 불리었다는 특성에 치중하여 교육되고 있으며, 이는 고려속요 갈래의 정확한 인식뿐 아니라 고려속요 개별 작품의 이해와 감상을 방해할 수 있다는 점을 문제로 보고 논의를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의 국문학계의 고려속요가 악장으로 볼 수 있다는 연구 성과들이 국어교육계에 반영된다면 이러한 부분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접근을 시작하였다. 고려속요는 민간에서 시작되어 민중가요로서의 속성을 지니고 있음과 동시에 궁중으로 흡수되어 궁중악으로 연행되었던 양가적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향유 맥락을 고려한 고려속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 기존의 민중가요로서의 속성과 함께 궁중악으로서의 속성이 함께 교육되기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교육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려속요가 궁중악으로서 불렸다는 향유 맥락을 고려한 작품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고려속요가 예악 사상을 기반으로 하는 악장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소악부에 한시의 형태로 실려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3장에서는 작품에 접근하는 방식을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는 고려속요에 대한 충신연주지사적 관점으로의 접근이다. 민간의 노래가 궁중으로 유입된 것에는 어떠한 목적과 이유가 있었을 것인데, 남녀 간의 사랑을 주제로 하는 작품의 경우 충신연주지사의 노래로 변용되어 불리기 용이하다는 점을 근거로 보았다. 임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는 시적 화자는 신하로, 사랑하는 임은 임금으로의 치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임금이 있는 자리에서 불리었다는 향유 맥락을 고려한다면 충분히 가능한 접근이다. 둘째는 고려속요에 대한 송도·송축적 관점으로의 접근이다. 고려속요는 궁중악의 속악조에 편성되어 연희에서 불리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궁중악은 현대의 노래와는 조금 다른 속성을 지니는데, 예악사상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예악사상을 기반으로 한 궁중악에서 임금과 나라에 대한 축복과 덕의 기원을 노래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또한 송도와 송축적인 의미의 어구들이 직접적으로 표현되는 구절들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각을 가지고 개별 작품에 접근하였다. 셋째는 고려속요에 대한 위정자들의 현실 인식과 민풍 교화적 시각에서의 접근이다. 고려속요는 민간에서 궁중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개작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는데, 개작의 주체는 궁중의 신하들 즉 위정자들이었다. 따라서 이들이 일반 백성의 현실을 성찰적으로 인식하고, 풍속을 교화시키고자 하는 의도에서 기록으로 남겼을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고려속요의 일부가 『소악부』에 한역시의 형태로 남겨졌다는 점에서 이러한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4장에서는 향유 맥락을 고려한 고려속요의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향유 맥락을 고려한 고려속요 교육은 고려속요라는 갈래에 대한 정확한 인식뿐 아니라, 작품 이해와 감상의 올바른 길로 유도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궁중이라는 향유 맥락을 고려했을 때 악장적 성격을 지녔음을 알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악장 교육에 대한 부분까지도 정확한 이해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시각은 우리나라의 문학사적 흐름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고려속요가 향유 맥락에 따라 개작되고 변형되었다는 사실을 통하여, 고려속요가 먼 옛날의 것으로 고정된 문학작품이 아니라 현재의 학습자들의 상황에 따라 또 다른 문학 작품으로의 수용이 가능하다는 이해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이해는 민족 문화의 계승과 문학 참여자로서의 인식 고취가 가능하여, 여타의 고전시가 장르에 까지 확대가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향유 맥락을 고려한 고려속요 교육은 모든 작품을 충신연주지사를 기반으로 감상하자는 주장이 아니다. 기존의 교육에서 강조되었던 민요적 특성 또한 고려속요가 지니는 중요한 속성이다. 다만 한편으로 치우친 교육의 편향성을 극복하고, 다양한 해석을 통하여 작품의 이해와 감상의 범위를 넓히는 것이 교육적으로 유의미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