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8 Download: 0

대학 행정직원의 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 행정직원의 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ediat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Authors
정세림
Issue Date
2017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제사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애경
Abstract
최근 사회 변화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불확실한 환경 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국내 기업들은 다양한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 오늘날의 대학 조직 역시 급변하는 외부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다양한 경영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오늘날에는 조직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조직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도록 함으로서 조직의 발전과 함께 개인의 안정과 발전을 달성하도록 하는 인적자원관리의 실현을 위해 여러 가지 측면이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조직 내에서 공정성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 조직 구성원들은 자신의 노력(input)을 줄이거나 늘일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산출(output)을 높이거나 줄이려고 하며, 결국에는 구성원들이 조직을 떠나는 결과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직 내에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학 행정직원들의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공정성 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주는데 있어 정서적 몰입의 매개 역할을 실증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행정직원의 공정성 인식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 행정직원의 공정성 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조직몰입은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조직몰입은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이를 위해, 2016년 11월 1일부터 11월 14일까지 14일 동안 판단표본추출법을 통해 현재 서울 소재 사립대학에 재직 중인 행정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총 169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누락된 설문 응답 문항이 있는 4부의 설문지를 제외시킨 후, 총 16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sobel test를 통해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모두 정서적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정서적 몰입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분배공정성이 정서적 몰입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조직공정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공정성 지각은 조직구성원으로 하여금 스스로 조직에 이익이 되는 행동을 하는데 영향을 준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셋째, 정서적 몰입은 조직시민행동(이타주의, 양심적 행동, 스포츠맨십, 공익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정서적 몰입은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결과를 살펴보면, 정서적 몰입은 분배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이타주의)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배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스포츠맨십) 사이에서는 정서적 몰입의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정서적 몰입은 절차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공익성, 이타주의, 스포츠맨십)을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스포츠맨십) 간의 관계에서는 정서적 몰입의 부분매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 몰입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둘째, 선행연구에서는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중에서 연구의 목적에 맞게 일부만을 변수로 이용하여 다른 변수와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거나, 조직시민행동의 여러 하위 요소 중 일부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각 변수들의 모든 하위 차원을 이용하여 각각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다음으로 이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모두 정서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구성원들이 긍정적인 업무 태도로 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공정한 분배 구조나 절차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둘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모두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성원이 보상이나 의사결정 과정에서 공정성을 인식할 경우, 조직이 자신의 가치를 인정해 주는 것으로 느끼고 자발적으로 조직에 협력적인 행동을 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들은 주요 현안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상호존중과 배려를 통해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근무 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정서적 몰입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구성원들의 심리적인 유대감이 조직에 대한 자발적인 공헌을 유도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정서적 몰입은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에 대한 감정적 몰입은 조직 및 직무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으로부터 비롯되기 때문에, 조직 내에서 보상과 직무에 대한 만족, 동료나 상사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기존의 제도나 절차를 점검하여 이를 개선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학문적, 실무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이 연구의 표본은 서울 소재 사립대학 행정직원으로 한정되어 표본의 외적 타당성의 문제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상황 변수나 잠재 변수를 고려하여 연구를 설계하여 연구 결과의 객관성과 보편성을 높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각 변수 간 영향관계에 있어 연령과 고용형태를 제외한 나머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연구에서는 더 많은 표본을 확보하여 인구통계학적 차이를 검증해 보는 것도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speed of social change. Accordingly, many domestic businesses have bee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various strategies in order to survive in an uncertain environment. The current university organization also needs various business strategies in order to actively react to rapidly-changing external environment. In recent years, various dimensions are being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recognize human resources management that will encourage individual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o contribute fulfill the objectives of the organization, in which they can achieve their personal st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However, if justice within the organization is not guaranteed, the individual members will decrease or increase their input and will maximize or minimize their output. This can lead to individuals leaving the organization. Therefore, efforts to ensure justice must be preceded. Accordingl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justice awareness that university administration staff has on the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It also attempt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parameter roles of affective commitment in the process of justice awareness affecting the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es justice awareness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hav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2) Does justice awareness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have an effect on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3) Doe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4) Does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method for 14 days, from November 1 through 14, 2016.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were the administrative staff at a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A total of 169 surveys were collected. Of the 169 surveys, four surveys that lacked sincerity and had unanswered questions were removed, therefore 165 survey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collected surveys were analyzed through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 stages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3. Furthermore,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mediation effect.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ll affected affective commitment.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these justices on affective commitment showed that distributive justice had the greatest effect on affective commitment. Seco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just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ased on this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justice awareness influences individual members of the organization to act for the advantage of the organiza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onfirmed that affective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truism, conscientiousness, sportsmanship, and civic virtue). Fourth, the research showed that affective commitmen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ademic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onfirmed the mediation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past research on this topic only had analyzed one of the three justices (distributive, procedural, interactional) in accordance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s a variabl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lation to other variables, or they have used a part of the many subcomponen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empirical analysis. However, in this research, all of the subcomponents of all variable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lation of each category. Next,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confirmed that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ll had significant effects on affective commitment. This shows the need to establish a fair distributive structure or procedures so that members can be immersed in the organization with a positive attitude. Second, distribution justice,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all had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other words, when the members' cognize justice in rewards or in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they feel that the organization is acknowledging their values, which increases their possibility to voluntarily act cooperatively for the organization. Therefore, the management must induce the memb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important issues, and it also must create a working condition to promote voluntary behavior of members through mutual respect and consideration for all members. Thirdly, affective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psychological fellowship of members helps in inducing voluntary contribution to the organization. Fourth, the research showed that affective commit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motional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is based on positive experience with the organization and duties. This research showed that affective commitment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altruism). Affective commitment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distributive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portsmanship). Furthermore, affective commitment completely mediated the procedur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ivic virtue, altruism, and sportsmanship). Lastly, the research confirmed partial mediation effec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portsmanship).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and to improve the existing institution's procedure so that members are satisfied with rewards and duties and satisfi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agues and superiors, as well as to facilitate clear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Despite the aforemention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 research has a few limitations. First, the sample of this research is limited to the administrative staff of a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us, there may be a problem in external validity of the sample. In future research, variables of various situations or latent variables must be considered to design a research that increases the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of the research results. Second, the demographical differ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additional research, examining the demographical differences using more samples would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