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039 Download: 0

전통이미지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패브릭 패턴 디자인

Title
전통이미지를 현대적으로 해석한 패브릭 패턴 디자인
Other Titles
A Study of Fabric Pattern Design on Modernistic Interpretation Traditional Images
Authors
이미정
Issue Date
201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섬유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연순
Abstract
현대 트렌드 경향은 오리엔탈리즘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특히 1990년대 말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젠 스타일(Zen Style)`은 동양의 정결하고 고요한 느낌, 절제미를 추구하는 것과 동시에 장식적인 요소를 간결하게 표현함으로써 유행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2000년을 기점으로 장식적인 요소를 더하면서 화려하고 복잡한 오리엔탈 문양으로 정점을 이루던 것이 현재는 다시 절제된 조형미가 나타나는 문양으로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민화와 문양은 중국보다 원색적이지 않고 일본보다는 화려하지 않은 동양의 세련된 절제미를 잘 나타내고 있다. 한국의 민화 및 전통 문화의 특징이 현대 오리엔탈리즘의 미의식과 상통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민화와 조선시대 도자기 형태 그리고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 속 인물 문양을 통해 민화와 문양이 결합된 조형적 표현으로 현대 오리엔탈의 미의식으로 재해석 하고자 한다. 또한 제작된 작품에 활용한 모티브를 전개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원단에 프린트함으로써 제품으로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작품제작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 민화의 미의식이 잘 나타나 있는 꽃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였다. 또한 서울대학교 ‘규장각(奎章閣)’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가례도감의궤’ 속 인물 문양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간결하며 단순한 문양들이 현대 디자인에 잘 활용될 수 있는 모티브로 손색없기 때문이다. 특히 도자기 형태는 조선시대 분청사기와 청화백자형태를 차용하여 전통문양과 결합된 모던한 분위기가 표현되도록 하였다. 둘째, 민화 문양과 가례도감의궤 속 문양을 디지털 이미지로 전환하여 컬러 및 문양을 모던하게 수정하였으며, 디지털 전사 프린트(Digital Transfer Print)를 활용하여 민화의 꽃이 잘 표현되는 스웨이드 폴리원단과 문양이 선명히 나타나는 코튼 폴리원단에 프린트하였다. 디지털 전사 프린트는 4색(C,M,Y,K)을 기본으로 종이에 전사염료를 출력하여 원단에 뒤집어 프린트 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현재 사용되는 디지털 전사 프린트방식 중 컬러 재현이 가장 뛰어난 방식으로 가례도감의궤 속 인물문양이 섬세하게 잘 표현되기 때문이다. 셋째, 작품 표현방법으로는 점구성을 통한 균등분할구성 및 자유분할구성을 기본으로 하였다. 이는 민화 문양과 가례도감의궤 속 인물문양을 조형적 언어로 표현되는데 적절한 방법으로 사료되기 때문이다. 넷째, 작품에 활용된 모티브를 이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은 스퀘어드롭 리핏과 하프드롭 리핏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또한 디자인 경향은 현대 트렌드에 적용이 가능한 패션, 인테리어 소품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이상으로 연구한 결과 한국전통 민화의 꽃과 그 속에 담긴 의미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고 조선시대 도자기 형태를 모던하게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한국 모티브의 미의식표현이 다양하게 전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조선시대 가례도감의궤 속 인물 문양을 한국전통 도자기 형태로 표현하여 현대적인 평면 조형작업으로 재해석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대적 감각으로 재구성한 전통문양의 표현 방법과 한국적 이미지를 응용한 텍스타일 패턴 연구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현대 트렌드와 부합하는 오리엔탈 디자인으로 패션, 인테리어 제품으로 활용하려는 국내 업체들에 구체적인 시각자료와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디지털 전사 프린트의 기술적인 발전과 더불어 프린트 활용범위가 다양하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Appearance of repeated orientalisms in design patterns is a contemporary trend. Especially, Zen Style, which began to spread in the late 1990s, pursues the pure, serene, feelings of simplicity of the Orient and at the same time concisely expresses decorative elements. However, colorful and intricate oriental patterns have become popular since 2000 and currently, patterns that appear restrained in formative beauty have become popular again. In this regard, Korean folktales and patterns show the refined simplicity of the Orient in ways which are less vulgar than the Chinese and less colorful than the Japanes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folk tales and crafts perfectly match the aesthetic sense of the modern orient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aesthetic sense of the modern orient with figurative expressions combined with folk tales and patterns from Korean folk tales, along with the form of Joseon Dynasty porcelain and a combination of the patterns of Garyedogamuigwe.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these motifs. These motifs were developed for the work and printed on fabric as a textile design.Ways of production: First, the image of a flower, which illustrates the sense of beauty of traditional folk tales, was a motif. In this study, patterns from Garyedogamuigwe in Joseon Dynasty which held in collection in Gyujanggak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used. The patterns were simple and concise so that they work well as a motif to be fused with modern design. In particular, important pottery forms were represented in a modern atmosphere by combining the traditional patterns used from the form of blue and white porcelain and Joseon Dynasty buncheong wares. Second, modern colors and patterns were fixed by converting folk painting patterns and patterns from Garyedogamuigwe to digital images and then printing them on polyester suede fabrics, which are suitable for the representation of folk paintings of flowers, and on polyester fabrics, on which the patterns appear clearly using digital transfer printing. The digital transfer printing used the four colors (C, M, Y, K) as basic colors and used a method of printing in which prodye was output on a paper and then was printed by being inverted on the fabric. This printing method is the most outstanding color reproduction printing method among the digital transfer printings currently used because the patterns of Uigwe can be represented well. Third, the evenly split configuration and freedom split configuration were the base of the work expression method. That is because it was a proper way to express folk painting patterns and the patterns of Garyedogamuigwe. Fourth, the textile design using the motifs utilized in the art work employed square drop‐repeat and half‐drop‐repeat as standards. In addition, a form of the design was developed which can be applied to contemporary trends applicable to costumes, beds, and interior decora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permitted the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folk paintings of flowers and the meaning contained therein and showed the potential of aesthetic sense expressions deploying Korean motifs through the process of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forms of Joseon Dynasty porcelain. Also, modern flat molding can be reinterpret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patterns of Garyedogamuigwe and the form of the Korean traditional porcelain of the Joseon Dynas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raditional patterns, reconfigured in a modern way of expression an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in the study of the textile patterns by applying Korean images and the methods of expression of traditional patterns reconfigured in a modern style. In addition, the study can be considered as specific basic visual data for domestic companies who want to use oriental design that meets the contemporary trends for their fashions and interior products. Furthermore, the constantly evolving technological advances of digital transfer printing and the means of utilizing the range of printing methods are expected to be expanded in many way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