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06 Download: 0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Title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Classes Applying the Educational Art Criticism by Tom Anderson on Critical Thinking Tendency : Focused on High School Second Grade Students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We form relationships with a number of images in the phenomenon of the modern visual culture. Overflowing images and knowledge have become the most essential and significant resources and we are living in the age when we have to generate added values by utilizing knowledge. This is why the ability to choose the necessary or meaningful thing among many options and enjoying it has become vital. For that aim, one must critically interpret, create, and explore knowledge and culture. Modern art has the same context. Its scope is ceaselessly changing in terms of contents and form than the art of the previous modernism society. In this regard, the standards and the views of appreciating modern art are changing and one's own viewpoint of interpreting and analyzing artworks in the right way is also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us, the educational contents have to be comprised of the expression activities focused on making and the activities of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artworks and not merely centered on the expression activities. In light of this situati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must suggest the direction so as to teach learners to interpret and assess art by improving their aesthetic insight the necessity of the critical thinking of reorganizing the existing information with an active attitude - the ability to create new knowledge by distinguishing and reorganizing meaningful information. In addition, systematic and professional teaching-learning program within the art curriculum is required. The education which aims to place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ability as its theme of lessons and learning should be implemented. In that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art appreciation classes which applied the educational art criticism by Anderson on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of high school second grade students. The following are the method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and considered the theory on the necessity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Second, this study designed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which applied the educational art criticism by Anderson after analyzing the content system and the textbooks of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Art Culture, which is taking place at schools. Third, in order to verify that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applying the educational art criticism by Anderson influence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high school second grade students, this study selected 66 second grade students at Y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conducted the homogeneity examination targeting 33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33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nd measured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examination through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measurement tool by Im Dong-woo (1996) who reorganized the thinking tendency examination developed by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90). A total of six classes were conducted and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applying the educational art criticism by Anderson was carried out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students of the control group experienced the art criticism model by E. B. Feldma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xperiment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using the SPSS program and the following are the summaries of the results. First, the learners who attended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applying the educational art criticism by Anderson showed higher critical thinking tendency than the learners who took part in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applying the four-stage criticism model by Feldman. Second, the subordinate domains of critical thinking tendency - intellectual probity, objectivity, systemicity, etc. - showed higher result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 group.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riticism writing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who had attended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applying the educational art criticism by Anderson, the students experienced deep appreciation and criticism through the stages of understanding personal response and discovering the meaning of artworks and the students perceived that such activities are not as difficult as they had thought after knowing that there is are no straightforward answers. Based on this verification, the result that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applying the education art criticism of Anderson has positive effects on critical thinking tendency was derived.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sense that it verified the effects of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applying the educational art criticism by Anderson on the critical thinking tendency of high school second grade students and the educational effects. From now on, the studies on the educational art criticism by Anderson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various criticism models ought to be analyzed and used for the art appreciation classes at schools, and diverse criticism activities centered on learners must be implemented.;오늘날 우리는 현대 시각 문화 현상 속에서 수많은 이미지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넘치는 이미지들과 지식은 가장 필수적이면서도 중요한 자원이 되었고 이제 우리는 지식을 활용하여 스스로 부가가치를 창출해내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시대에 당면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선택지 중 자신에게 필요하거나 의미 있는 것을 선택하고 그것을 제대로 누릴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해졌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비판적으로 지식과 문화를 해석해 낼 수 있어야 하며 창조하고 탐구할 수 있어야 한다. 현대 미술 또한 같은 맥락을 가지고 있다. 이전 모더니즘 사회의 미술보다 내용적인 면이나 형식적인 면에 있어 영역이 확장되고 끊임없이 변화되며 새로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 미술을 감상하는 기준과 시각 등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미술 작품을 올바르게 감상하는 관점과 방법, 더불어 이를 해석하고 비평하는 자신만의 관점 또한 중요해지고 있다. 그렇기에 미술 교육의 내용 면에 있어서도 표현 활동에 중점을 둔 교육이 아닌 제작 중심의 표현 활동과 더불어 작품을 감상하고 비평하는 활동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어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술 감상교육은 학습자들의 미적인 안목을 신장시켜 미술을 해석하고 판단할 수 있게 방향을 제시해야 하며 학습자 스스로가 유의미한 정보를 분별하고 재조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내는 능력, 즉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기존의 정보를 새롭게 구성하는 비판적 사고의 필요성을 제시해야 한다. 더 나아가 미술 교과 내에 미술 감상과 비평 능력 신장을 위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 계획이 요구된다. 그리고 감상과 비평 능력 향상 그 자체가 목적이 되고 수업의 주제가 되며, 학습 과제가 되는 교육이 실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 목적은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 비평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첫째, 국내외에서 논의되고 있는 미술 감상과 비평에 대한 개념과 그 관계를 탐색하고 미술 감상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둘째, 학교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2009개정 고등학교 ‘미술 문화’의 내용체계 분석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을 설계하였다. 셋째,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비판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Y고등학교 2학년 학생 6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 33명, 통제집단 33명에게 동질성 검사를 한 후, 한국교육개발원(1990)에서 개발한 사고 성향 검사를 재작성한 임동우(1996)의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 도구를 통해 사전과 사후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업은 총 6차시동안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을 하였고 통제집단 학생들에게는 펠드먼의 미술비평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후 실험 결과의 통계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을 한 학습자들이 펠드먼의 4단계 비평 모형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을 실시한 학습자보다 비판적 사고 성향에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지적 정직성, 객관성, 체계성 등의 비판적 사고 성향의 하위영역이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더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셋째,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미술 감상 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비평문과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개인적인 반응을 먼저 파악하고 작품의 의미를 찾아가는 단계를 통해 깊은 감상과 비평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답이 존재하지 않음을 알게 됨으로써 평소 생각했던 것처럼 어려운 활동이 아니라는 인식의 전환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검증을 통해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비판적 사고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미술 감상수업이 고등학교 2학년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에 대해 활발한 연구가 기대되며 학교 현장에서 미술 감상수업을 위한 다양한 비평 모형이 분석되고 활용되어야 하며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비평 활동이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