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32 Download: 0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놀이 제한이 유아의 가상놀이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놀이 제한이 유아의 가상놀이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teacher's restriction on children’s pretend play during free-choice activities
Authors
이가원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희진
Abstract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가 흥미영역별 인원수, 놀잇감의 자유로운 사용, 놀이 공간 및 시간에 대해 허용하는지 제한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유아의 가상놀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놀이 제한은 유아가 나타내는 가작화의 빈도(총 빈도, 요소별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놀이 제한은 유아의 가상놀이 주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자유선택활동 시 교사의 놀이 제한은 유아의 가상놀이가 일어나는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유치원의 만3세 담임 교사 90명 중 자유선택활동 시 놀이 제한을 실행하는 정도를 기준으로 선정된 교사 4명과 그들이 담당하는 유아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시 놀이 제한 여부와 제한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자유선택활동시간 운영 현황 조사 질문지’를 본 연구자가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질문지의 응답을 기준으로 놀이 제한을 실행하지 않는 허용적인 교사 2명과 놀이 제한을 실행하는 제한적인 교사 2명을 선정한 후 연구 대상 유아를 한 학급 당 15명씩 무선표집하였다. 유아의 가상놀이를 관찰하기 위해 이숙재(1984)의 가작화 요소 범주를 예비연구를 통해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집단 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흥미영역별 인원수, 놀잇감 사용, 놀이 공간과 시간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고 허용적일 때 유아는 더욱 빈번하게 가상놀이를 진행했으며 실제와 유사하지 않은 보다 수준 높은 가작화 행동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사물의 가작화의 경우 허용적인 학급의 유아는 실물과 다른 사물을 통해 가작화하거나 실물을 사용하지 않고 가작화하는 행동을 빈번하게 한 반면 제한적인 학급의 유아는 실물과 유사한 사물을 통한 가작화를 더 자주하였다. 행동의 가작화의 경우 자신과 다른 사물을 통한 가작화는 허용적인 학급의 유아가 더 많이 하였으나 사람과 유사한 사물을 통한 가작화는 제한적인 학급의 유아가 더 많이 하였다. 역할의 가작화의 경우 허용적인 학급의 유아는 환상적 역할을 가장 많이 나타낸 반면 제한적인 학급의 유아는 가정적 역할을 가장 많이 하였고, 언어의 가작화의 경우 모든 학급에서 가작화 빈도가 역할 언어, 해설 언어, 사물 언어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허용적인 학급이 언어 사용을 더 빈번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허용적일 때 유아는 더 수준 높은 주제의 가상놀이를 진행하였다. 일상적인 행동과 관련된 가상놀이 주제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자신의 경험을 재조직하거나 일상생활과 거리가 먼 가상놀이 주제는 허용적인 학급의 유아가 제한적인 학급의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허용적일 때 유아는 더 다양한 영역에서 가상놀이를 진행하였다. 특히 쌓기놀이 영역, 수⋅조작 영역, 음률 영역, 기타 영역에서 허용적인 학급의 유아가 제한적인 학급의 유아보다 유의미하게 가상놀이를 빈번하게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pretend play of children according to whether the teacher allowed to choose the number of people depending on the fields of interest, to use toys and space and time for playing. In this regard,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Does the teacher's restriction on playing affect the frequency (total frequency, frequency of elements) of the children’s pretend play? 2. Does the teacher's restrictions on playing affect the level of children's pretend play during free choice activities? 3. Does the teacher's restriction affect the space in which the child's pretend play takes place during the free choice activity? This study targets(aims at) 4 teachers who were selected based on the level of placing limitations on free-choice activities among 90 teachers in charge of 3-year-old in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ir 60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limitations on free-choice activities of teachers and the level of limitations, the researcher made and use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Status of Free Optional Activities'. After selecting 2 permissive teachers and 2 restrictive teachers who place limits, 15 children were randomly selected for each class. In order to observe the children’s pretend play, the observation category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the preliminary study based on the category of motivational factors of Lee, Sook – Jae (1984). For data analysis, mean for each group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t–test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teacher was permissive without placing limitations on the number of people based on the interested area, the use of toys, the playing space and time, the children played the pretend play more frequently and showed a higher level of make-believe which was far from reality. Specifically, in the case of make-believe of a thing, children in the permissive class frequently performed make-believe of a thing using objects different from reality or without using objects, while the children in the restricted class performed make-believe of a thing using objects which are similar to reality. In the case of make-believe behavior, the make-believe behavior through own and through a thing not similar to human appeared more frequently in permissive class, while make-believe behavior through a thing similar to human appeared more frequently in the restricted class. In the case of make-believe role, children in the permissive class showed fantastic roles most frequently, while children in the restricted class showed domestic roles most frequently. And in the case of make-believe language,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make-believe was higher in the order of role language, commentary language, and object language in both classes. Generally, permissive class showed more frequent use of language. Second, when the teacher is permissive, the children performs pretend play in relation to a higher level of subjec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tend play subjects related to daily behavior, but it was found that pretend play subjects, which are far from daily life or related with reorganizing their experiences occurred significantly more often for the children in permissive class rather than restricted class. Third, when the teacher is permissive, children tend to perform pretend play in more various field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children in the permissive class significantly showed more frequent pretend play than the children in the restricted class, especially in the pile play area, the number·operation area, tone area, and other ar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