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0 Download: 0

유아 창의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의 실제

Title
유아 창의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육의 실제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and the Actual practice of Creative Education for Children
Authors
신샘이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용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mprehension and educational implication of creativity education for children in kindergarten by examining the actual practice of creativity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the recognition of creativity education of teachers in the five-year-old Haenim class in Haneul kindergarten. Therefore, it analyzed the activities of creativity education in kindergarten through case study method.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examined are as follows. 1. How is the awareness of the children's creativity and creativity education methods of the 5-year-old classroom teacher in the haneul kindergarten? 2. How is the actual practice of creativity education for children of the 5-year-old class teacher in hanel kindergarte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5-year-old Haenim classroom at the hanel kindergarten in Seoul.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one teacher and 28 five–year–old children in the Haenim class of Haneul kindergarten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ust 28th to October 13th, 2017 through a total of 19 observations of infant creativity education activities, video and audio recording, formal and informal interviews with teacher, and collection of documents. The researcher wrote on-site notes and interviews based on the recordings of the site records and videos recorded on the site. It created a list of preliminary categories and divided them into upper and lower categories by subdividing the 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creativity, The teacher regarded that creativity has the ability to solve new problems by creating new thinking that are different from others, and there are many areas where creativity is manifested in each children. Furthermore, it was recognized that the children's attitude to concentrate and explore in the field they are interested in is necessarily critical for creativity, and that the creative characteristics of these infants can be developed and promoted through education. Second, The teacher recognized that children can develop their creativity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implemented by teachers in the classroom, and they are implementing creativity education accordingly.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 on the method of the creativity education for children did in deed influence the application of creativity education for children in the classroom. It is found that the method of creativity education perceived by teacher consist of responsible for informing the value of creative ideas, encouraging childrens to find out what they want to do by themselves, supporting the resources needed to carry out the ideas, teaching the fun of the process, teaching to be responsible for success and failure, encouraging the creative cooperation. And the actual practice of classroom creativity education consist of providing diverse creativity, encouraging children to express their thoughts, deepening and expanding the children's knowledge base, giving initiative and responsibility to activities, and providing them enough time to engage and explore the task.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n example of the practice of creativity education in kindergarten by identifying the recognition and actual contents of creativity education of the 5-year-old class teacher in haneul kindergarten. It is expected that it would be able to receive help in carrying out effective creative activities for children by preparing proper questions or establishing educational goals for young children's creativity education activities which are referred from the actual contents of the creativity education by kindergarten teachers who are interested in creativity education for children but have relatively little experience and skills. ;본 연구는 하늘유치원 만 5세 햇님반 교사의 유아창의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유치원에서 실행되는 유아창의성교육의 실제를 탐구하여 유아창의성교육 활동 실행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창의성교육 활동을 사례연구의 방법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하늘유치원 만 5세 학급 교사의 유아창의성과 창의성교육방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하늘유치원 만 5세 학급 교사의 유아창의성교육의 실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하늘유치원의 만 5세 학급인 햇님반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교사 1명과 유아 28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7년 8월 28일부터 10월 13일까지, 총 19회의 유아창의성교육 활동 관찰, 비디오 촬영 및 오디오 녹음, 교사와의 형식적·비형식적 면담, 문서 수집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현장에서 기록한 현장약기 및 비디오로 녹화한 내용을 바탕으로 현장노트와 면담 전사본을 작성했다. 예비 범주 목록을 만들고, 범주를 세분화하는 과정을 통해 상위 범주와 하위 범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창의성의 특성에 대해 박교사는 창의성이 남들과 다른 새로운 생각을 떠올려 문제를 해결하거나 유용한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이며, 유아들마다 창의성을 발현하는 분야가 다양하다고 보았다. 또한 유아가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에 집중하고 몰입하여 탐구하는 태도가 창의성에 반드시 필요한 성향이며 이러한 유아의 창의적 특성은 교육을 통해 계발되고 증진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박교사는 교육현장에서 교사가 실행하는 교육활동을 통해 유아들의 창의성을 계발할 수 있다고 인식했고 그에 따라 창의성교육을 실행하고 있다고 했다. 즉 박교사의 유아창의성교육방법에 대한 인식은 실제로 학급에서 유아창의성교육을 적용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박교사가 인식한 유아창의성교육방법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의 가치 알려주기, 유아들이 하고 싶은 것을 스스로 찾도록 격려하기, 아이디어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자원 지원하기, 과정의 즐거움 가르치기, 성공과 실패에 관한 책임을 갖도록 가르치기, 창의적 협력을 북돋아 주기로 나타났으며, 학급에서 이루어지는 창의성교육의 실제는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교구 제공하기, 유아들의 생각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기, 유아들의 지식기반을 심화·확장시키기, 활동에 주도성과 책임감을 부여하기, 과제에 몰입하고 탐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 제공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하늘 유치원 만 5세 햇님반 담임교사의 유아창의성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의 실제의 내용을 알아봄으로써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창의성교육 실행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유아창의성교육에 대해 관심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경력과 기술이 부족한 유아교사들이 제시된 유아창의성교육의 실제의 내용을 참고하여 유아창의성교육 활동의 교육 목표를 설정하거나 적절한 질문을 준비하여 효과적인 유아창의성 활동을 실행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