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7 Download: 0

현대시 교육에서의 공동체 교육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문학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Title
현대시 교육에서의 공동체 교육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문학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f competencies of community in modern poetry education : Focusing 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of high school literature
Authors
정재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문학 교과서에서의 공동체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폭넓은 공동체 교육의 연구의 필요성과 그 결과 공동체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 및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공동체 역량 함양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이 논문에서는 2011 교육과정과 2015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여 현행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서의 공동체 교육이 지니는 가치를 알아보고 문학 교과서에서 구현된 공동체의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바람직한 공동체 교육의 방안 모색을 위하여 현 문학 교육과정에서의 공동체 교육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공동체 교육 요소의 다양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여 공동체 교육의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우선 공동체와 관련한 개념과 정의를 두루 살피는 것부터 시작한다. 공동체의 일반적 정의와 개념에 대해 분석하고, 경제학, 윤리학, 사회학에서의 공동체 개념과 국어를 제외한 여러 교과의 교육과정에서 공동체를 어떻게 인식하고 정의하고 있는지에 대해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2009, 2011,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공동체 관련 교육요소를 검토하고 관련 역량이 어떻게 변하였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어서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공동체 교육의 연관성을 통해 공동체 교육에서 필요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요소를 알아보았다. 11종의 문학교과서에서 공동체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2009 교육과정과 2011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공동체의 범주를 기준으로 하여 구현양상을 살펴본 후 비판적으로 접근하였다. 문학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공동체 범주를 2009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공동체관련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하여 민족과 역사, 사회와 자연 공동체로 설정하여 문학 교과서에서의 공동체 단원의 작품들을 전체적으로 분석하고 각 공동체의 대표적인 작품과 학습 활동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네 개의 공동체를 토대로 11종의 교과서에 선정된 제재와 설계된 학습활동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는 이 과정은 현 문학 교과서가 학습자에게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는 데에 적절히 설계되어 있는지 파악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동체 교육의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며 그에 따른 공동체 교육의 구체적 내용을 설계하고자 한다.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현대시 교육의 목표를 세우고 대안적 공동체를 모색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설계한 민족과 역사, 사회와 자연 공동체라는 범주의 한계점을 살펴보아야하며, 이러한 논의를 전제로 하여 네 가지의 공동체를 포괄하거나 또는 이 범주로부터 분화되는 공동체 범주를 알아보았다. 대안적 공동체의 모색은 창의융합 인재 육성을 위한 인성과 공동체 교육의 함양이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부합한 현대시 교육의 지향점이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대안적 공동체를 기반으로 하여 이전에 교과서에서 다루지 않았던 현대시 제재를 선정하고 제안하였다. 또한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현대시 교육의 설계를 문학교과서를 넘어 국어교육 영역 내, 교과 간 통합을 통해 개발할 것을 제안하여 문학을 기점으로 공동체 역량에 관한 이해를 확산적 이해를 지향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공동체’에 대한 교육 요소가 한정된 영역에만 논의되는 고정된 개념이 아닌 사회와 문화, 역사 등 학습자를 둘러싼 다양한 체제 속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적 요소임을 인식하고 그 교육의 중요성과 가치를 인식하는 계기가 되어 보다 활발한 공동체 교육 연구의 기점이 되기를 기대한다.;It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not only in Republic of Korea but also in various OECD countries. Reflecting this tendency, this paper examined the value of community education in current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and identified the aspects of communities implemented in literary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munity education in current literature curriculum and to raise issues about the diversity of community education elements in order to find a desirable community education curriculum. For this study, I started by looking at definitions and concepts related to communities. I analyzed the general definitions and concepts of community and identifies the concept of community in economics, ethics, and sociology and how to recognize and define community in curriculum of various subjects except Korean language. Based on this, I reviewed the elements of community-related education in the 2009, 2011, and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examine how the relevant competencies have changed. I then examined the educational elemen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hat are needed in community education through the links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community education. I looked into how to define the community in 11 literary textbooks and critically examine the implementation patterns based on the category of community presented in the 2009 curriculum and the 2011 curriculum. Based on the preliminary consideration, the category of the community is set up, and the scope and the status of each community in the community education are examined by the category. In order to critically examine the aspect of community development in literary textbooks, I analyzed the work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national community, historical community, social community, and natural community, and critically reviewed representative works and learning activities of each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 sought new alternatives of community education and designed concrete contents of community education accordingly. In order to establish the goals of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for community consciousness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examin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nation, history, society and natural community. Based on this discussion, I examined the categories of communities that encompassed or diverged from the four communities. In addition, I sought to explore the concrete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 of community edu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s of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for community consciousness development: integrating the integration of subjects within literary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a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