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7 Download: 0

소설을 기반으로 한 문체교육 연구

Title
소설을 기반으로 한 문체교육 연구
Other Titles
Stylistic Education based on Novels : Focusing on the Literature Textbook under the 2011 revised Curriculum
Authors
임청명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basic stylistic education within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to search for the direction of active stylistic education as the learner creates his or her own style by experiencing and discovering others' literary styles. In literature education, it is important for the learner to recognize that literature is the art of language, and stylistic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is recognized as a way to induce not only the expression of language expression but also artistic aesthetics in detail (Jeong, Hyun Sook, 1995: 96). However, in the field of literature education, the reality is that there aren't any active educational process that helps learners to read the author 's style deeply and link it with learning, or to create his or her own style. Based on the necessity of the style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I would like to present the content and education plan of the stylistic education in the 2011 revi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 In Chapter II of the thesis, a general review over the research method of 'Stylistics' which has been academically theorized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is presented. The contents of the stylistics research discussed are 'individual stylistics', 'literary stylistics', 'structural stylistics', and 'statistical stylistics', and the contents are presented along with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s of each theories. The need of stylistic education and the aspect of stylistic education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were examined. Moreover, by examining the stylistic concept of the researchers and the literary concept in the 2011 revi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 the aspect of stylistic education within the literature education was examined. In Chapter Ⅲ, the stylistic education in the 2011 revised curriculum literature was analyzed. Futhermore, after reviewing the standards of achievement regarding the stylistic education, the learning activities included in the literature textbook of the 2011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Among 11 types of textbooks, 8 were presented with style learning activities, and among the total learning activities, 16 were related to stylistics.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style learning activities were activities to understand and apply the style, however, these activities didn't cover much of practical learning. In Chapter Ⅳ, reading activities to discover style and writing activities to use style are presented. There are two ways of stylistic education. The educational method on the reading level is 'cyclical reading activity', which is the activity of the learner discovering the writer's style while reading the work and reading it again. The learner can discover the author's style, find the aesthetic value, recognize it as a linguistic phenomenon, and read the style again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reading the style. In addition, the teaching method on the writing level is 'creative activity' based on stylistic, which can be divided into three processes. The model of creative activity is presented by transforming 'process centered model', and it is proceeded in three stages: 'Discovering the style', 'Understanding the style' and 'Creating'.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 of stylistic educ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and suggests alternative methods of reading education and writing education for stylistic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he learner will be able to develop a perspective that actively seeks to criticize literature and use his or her own unique style, not limited to the current stylistic education which focuses simply on certain writers and works.;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존 문체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학습자가 소설 작품을 읽으면서 타인의 문체를 체험하고 발견하고 또한 자신의 문체를 창작하는 등의 능동적인 문체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문학교육에서는 학습자가 문학이 언어의 예술체임을 인식하는 것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으며, 문학교육에서의 문체교육은 언어표현의 양식뿐만 아니라 예술적 미학성을 구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에 중요하게 인식된다(정현숙, 1995:96). 그러나 문학교육의 장에서 문체교육은 창작자의 문체를 깊이 있게 읽고 학습으로 연계하거나, 자신의 문체를 만들어내는 등의 능동적 과정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같이 문체의 필요성과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에 나타난 문체교육 학습 내용과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의 Ⅱ장에서는 20세기 초반부터 학문적으로 이론화 된 ‘문체론’의 연구 방법을 개괄적으로 검토하였다. 논의된 문체연구 내용은 ‘개별 문체론’, ‘문학적 문체론’, ‘구조적 문체론’, ‘통계학적 문체론’이며, 네 가지 이론의 의의와 한계를 함께 기술하였다. 그리고 문체교육의 필요성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문체교육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연구자들의 문체 개념과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문체 개념을 검토하여 문학교육에서의 문체교육 양상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2011 개정 교육과정 문학에서의 문체교육을 분석하였다. 문체교육 관련 성취기준을 검토하고, 2011 개정 교육과정 <문학> 교과서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11종 교과서 중, 8종 교과서에서 문체 관련 학습활동을 제시하고 있었고, 전체 학습활동 중 문체 관련 학습활동의 개수는 총 14개이다. 교과서의 대부분 문체 학습활동은 문체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활동이었고, 실천 학습 차원의 학습활동은 크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문체를 발견하는 읽기활동과 문체를 활용하는 쓰기활동을 제시하였다. 문체 교육 방법은 두 가지로 제시된다. 읽기 층위에서의 교육 방법은 ‘순환적 읽기 활동’과 ‘상호적 문체 읽기 활동’으로, 학습자가 작품을 읽으면서 문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활동이다. 학습자는 작품을 읽으면서 작가의 문체를 발견하고 미적인 가치를 찾아보고 언어적 현상으로 인식하여 다시 문체를 읽음으로써 작품 속 문체를 깊게 이해 및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학습자들과 작품 속 문체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자신의 기호에 맞는 문체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쓰기 층위에서의 교육 방법은 ‘창작 활동’으로, 문체 중심의 세 단계 창작 과정을 제시하였다. 창작 활동의 모형은 ‘과정 중심 모형’을 변용하여 제시하였고, ‘문체 발견하기’, ‘문체 이해하기’, ‘창작하기’인 세 단계로 진행된다. 그리고 초고 쓰기 단계의 창작 과정 후 진행 되는 ‘합평 및 퇴고 활동’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은 소설 창작 과정의 마무리 단계로서, 창작물의 높은 완성도를 위한 과정이다. 본 연구는 문학교육에서의 문체교육의 양상을 살펴보고, 대안이 될 수 있는 문체 교육의 읽기교육 방법과 쓰기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일부 작가와 작품에 국한된 문체교육 활동에서 벗어나 능동적으로 문학에서의 문체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고, 자신의 개성이 담긴 문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