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갈등 중심의 문학 교육 내용 연구

Title
갈등 중심의 문학 교육 내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ducational Contents to teach the Situation of ‘Conflict in Literature’ : Based on the Revision of Middle School Curriculum 2011
Authors
박황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지혜
Abstract
본 연구는 전인 교육의 시대적 필요성을 인식하여, 전인 교육을 실현하는 문학적 요소인 갈등을 중심으로 한 문학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산업화 사회에서 인간은 점점 소외되어 가고, AI의 등장과 새로운 산업혁명의 예고 속에서 기계와 구별되는 인간다움에 대한 성찰적 질문이 제기되고 있다. 진정한 인간다움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함으로써 전인적 성장을 도모하는 문학 교육의 본질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갈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갈등은 교육적 측면에서 작품을 적절하게 파악하게 하는 문학의 본질적 요소이자, 삶의 불가결한 일부로써 문학과 삶을 연결하는데 이바지한다. 갈등이 허구적 서사를 경험하는 데에서 나아가 학습자가 자신의 삶에 적용함으로써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인식적 기능과 자신의 삶의 방식을 성찰하는 윤리적 기능을 촉진하여 문학 교육으로서의 의의를 선취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현 교육의 갈등 교육의 양상을 살피고 교육 방향을 모색하려는 목적으로, 갈등 관련 성취기준을 반영한 교과서 단원에 수록된 서사 문학과 극 문학으로 수렴되는 제재와 학습 활동을 연구하여 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문학에서 논의된 갈등 이론을 서사 문학과 극 문학으로 나누어서 그 개념과 기능 그리고 유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이 교육적으로 차용되면서 ‘가치 비판적 태도 고양’, ‘인간에 대한 이해 확장’, ‘현실을 새롭게 인식하는 상상력 함양’을 이룰 수 있는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고 보았다. Ⅲ장에서는 갈등 관련 성취기준을 반영한 교과서 단원에 수록된 제재와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제재는 ‘갈등 진행과 해결 과정을 중심으로’살펴보았고, 학습 활동은 ‘갈등에 대한 이해 활동’과‘ 갈등 내용에 대한 적용 활동’으로 나누어서 구현 양상을 파악하였다. Ⅲ장에서의 분석을 토대로 Ⅳ장에서는 문학을 통한 갈등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먼저 제재와 관련한 교육의 방향으로 첫째 ‘갈등의 구조에 따른 적설성 고려’를 제시하였다. 내적 구조를 고려한 대안적 제재로 영화 <우리들>의 시나리오를 제안하여 제재의 교육적 가치와 의의를 밝혔다. 둘째,‘서사와 극 문학의 연계성 강화’로 각 장르의 장점을 최대화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연계적 단원구성 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다른 영역과의 연계성 확대’를 제안하였다. 문학 제재의 담화를 활용하여 듣기·말하기와 연계하는 단원구성이 새로운 제재로 소단원을 구성하는 것보다 학습자의 학습부담을 낮추고, 제재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 보다 효율적인 구성임을 밝혔다. 학습 활동과 관련한 교육 방향으로는 먼저 ‘이해 활동의 적절성 강화’를 제시하였다. 학습 활동이 적절한 맥락을 제공하고 장르를 고려하여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방향으로 고안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적용 활동의 단계적 설정’을 하여 학습자가 갈등 내용을 자신의 삶으로 내면화할 수 있도록 보다 명시적이고 순차적으로 설정되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활동 간의 긴밀한 연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이해를 확장하고, 적용을 용이하도록 구성해야한다고 제안하였다. 본고는 서사와 극 문학을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보다 갈등 교육의 현황을 총체적으로 파악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서사 문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연구되었던 극 문학 제재에 대하여 다루었다는 점에서 연구 제재의 편중화를 넘어서 통합적 연구의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well-rounded education of this day, and to realize it dealing with the situations of ‘conflict’ which is one of the literary elements in Literary education. In this industrialized society, human beings are getting more and more alienated, and it is reflected and asked what separates human race from the machine, while we see AI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ew industrial revolution are evolving.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what is the definition of the ‘conflict’ , what humanity truly is and how to realize the essential aim of literary education in promoting the learner’s holistic growth in educating literature. ‘Conflict’ i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literature that helps get a proper understanding of literary works, and it contributes to the connection of human life and literature as an integral part of life. It also contributes to the learner to experience fictional narration, by applying it to one’s own life in understanding human being and the world. It also reflects on one’s life that promotes ethical functions. This finally makes it possible to pre-empt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education. This study tries to look at the patterns of current education method to teach the ‘Conflict’ in literature and aims to find the direction in educating it by studying the topics and learning activities that were concentrated on the epic literature and the dramatic literature contained in the manual section reflecting the criteria that deals with the ‘conflict’. In chapter II, ‘Conflict theory’ is discussed in literature separated by epic narrative and dramatic literature to explore its concept, function and type. As this theory is used in the literary education, it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erms of ‘Promoting value of critical attitude’,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Building imagination in recognizing the reality in a new way’. In chapter III, it is analyzed that the topics and the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contained in the textbook sections that reflects the criteria of conflict related achievement. The topics were reviewed with focusing on ‘The progress of conflicts and resolution’. The aspec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identified being distinguished by ‘Activity of understanding the conflict’ and ‘Activity to apply the contents of the conflict’. In chapter IV, the direction for educating conflict through literature was sought based on the study done in chapter III. Fir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topic, ‘Appropriateness according to the conflict structure’ has been suggested. The script of the film titled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pic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Second,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pic and the Dramatic literature’ has been suggested as an effectively linked composition of curriculum chapters. Third, ‘Extending the connectivity to other areas’ has been suggested. It is more efficient to use the dialogues,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of listening and speaking, rather than organizing the learner with new topics or organizing a small number of members with new topics. It is suggested that each learning activity needs to be provided with appropriate context, and needs to be designed considering the genre to help the learner have proper understanding. It’s also been suggested that applying activity will be clearer step by step and it sequentially enables learners to internalize ‘conflict’ into their own lives. At the end, it is emphasized that the understanding needs to be expanded and application should be used to strengthen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connectivity between activities and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the overall status of the ‘conflict’ has been studied in this thesi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stepping stone to the stud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using the drama as a topic which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comparing to the epistemolog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