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4 Download: 0

‘시집 한 권 읽기’를 통한 상호텍스트적 시 교육 연구

Title
‘시집 한 권 읽기’를 통한 상호텍스트적 시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tertextual Poetry Education by
Authors
김지현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educational methodology of poetry education based on learning-readers’ intertextual reading experience by “Reading a poetry collection”. This study observes the aspects in which learning-readers build intertextual networks and draw the poetic meanings while reading a poetry collecti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is found in “Reading a poetry collection intertextually” which leads to acquiring the method of reading poetry independently and developing the habituation of literature. In the previous study of literature education, “Reading a poetry collection” could not attract significant attention because a poem had been considered as an independent text containing whole meaning in itself. In this respect, it was very difficult that learning-readers overcame interpretation difficulties in reading a poem by themselves. This thesis proposes a new poetry education methodology based on intertextuality as an alternative for solving this problem in conventional reading of poetry. In chapter Ⅱ, a definition “Reading a book” in reading education is reviewed critically, and a new definition “Reading a poetry collection” is defined. Then, “Reading poetry intertextually” is described that it is developing interactive meaning based on similarity among texts. Furthermore, it is assumed that more elaborate meaning network is built by finding differences in their similarity when other poems with different contexts are read. Especially, targeting “A poetry collection” as an object of reading is appropriate because learning-readers are easy to search interactive meaning under synchronism and internal intertextuality of writer. The aspect of intertextual reading in poetry reports written by learning-readers is observed in chapter Ⅲ. This is based on process of building interactive meanings in reading “A poetry collection” mentioned in chapter Ⅱ. At first,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 poetry collection” with intertextuality is described, and then, for the next step, various types of network in the steps, where signification of literary works are identified, are classified. The reason why second step is mandatory is that readers show relatively coherent reading with intertextuality in the beginning, but they do totally different aspects in constructing intertextual network. As a result, the types of intertextual network construction is classified as ‘convergence’, ‘independence’, ‘divergence’, ‘narrative order’, ‘seasonal order’, and ‘composition logic of a poetry collection’. Therefore, learning-readers are able to recognize active meaning relationships and interpret “A poetry collection” subjectively in reading. In chapter Ⅳ, the educational progress extracted from “Reading a poetry collection intertextually” is realized with practical education design. This simulation proves that this education proposal is adaptable for actual education process by reflective writing of learning-readers who read “A poetry collection”. The significance of intertextual poetry education through reading “A poetry collec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comprehensible that intertextual essence and context affect to interpretation of text. Second, reception strategy about poetry, which includes clarification of interpretation and diversification of both of comprehension and appreciation, is achievable. Last, constant and spontaneous activity about literature on the basis of positive belief and emotion is expected.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learning-readers should build multi-layered poetic meaning utilizing intertextuality of plural poems according to various contexts. Moreover, it leads learning-readers to develop their knowledge as a subject of literary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practical literary experience from “A poetry collection” as a intact work should be the origin of experiences where learning-readers keep reading “A poetry collection” consistently and actively.;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독자가 ‘시집 한 권’을 상호텍스트적으로 읽으며 그 안에서 관계망을 형성하고 시적 의미를 도출하는 양상을 밝힌 후, 이에 대한 교육내용을 마련하는 것이다.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시집 읽기’는 시를 주체적으로 감상하는 방법을 터득하게 하고, 문학을 생활화하는 태도를 길러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시 교육 연구에서 ‘시집 읽기’는 충분히 논의되지 못하였다. 이는 한 편의 시를 그 자체로서 완결한 의미를 구성하고 있는 독립적인 텍스트로만 접근해온 시 교육의 방식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는 하나의 텍스트를 읽어 나갈 때 맞닥뜨리는 해석의 어려움을 학습독자 스스로 충분히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본고는 이러한 전통적인 ‘시 한 편 읽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상호텍스트성을 기반으로 하는 시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독서 교육의 개념인 ‘한 권의 책 읽기’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시 교육 측면에서 ‘시집 한 권 읽기’로 재개념화했다. 또한 ‘상호텍스트적 시 읽기’가 기본적으로 텍스트 간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관계적 의미를 형성하는 것임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나아가 새로운 맥락의 다른 시들을 읽어 나갈 때, 유사성 속의 차이점을 발견함으로써 더욱 정교화된 의미 관계망을 구성한다고 보았다. 특히 ‘시집’을 읽기 대상으로 삼는 것은 공시성과 작자 내적 상호텍스트성 아래에서 학습독자들이 비교적 쉽게 관계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적절하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밝힌 ‘시집 읽기’의 관계적 의미 구성 과정을 원리로, 학습독자의 시 감상문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적 읽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1차적으로는 ‘시집 한 권’을 상호텍스트적으로 해석하는 과정을 정리하였고, 2차적으로는 작품군의 의미지형을 파악하는 단계에서 보인 다양한 관계망의 유형을 구분하여 설명했다. 처음에는 학습독자들이 비교적 일관성이 있는 상호텍스트적 읽기 과정을 거치지만 작품군의 상호텍스트적 관계망을 형성할 때에는 학습독자마다 상이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시집의 상호텍스트적 관계망을 형성하는 유형은 ‘수렴적’, ‘독립적’, ‘발산적’, ‘서사적 질서’, ‘계절의 질서’, ‘시집의 구성 논리’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는 학습독자가 시집을 읽는 과정에서 텍스트 간의 역동적인 의미 관계를 인식하고 주체적으로 해석해 나갈 수 있음을 보여준다. Ⅳ장에서는 ‘시집 한 권’을 상호텍스트적으로 읽는 과정에서 추출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실제 교육적 설계로 구체화하였다. 이때 시집 한 권을 읽은 학습독자들의 ‘반성적 쓰기’를 검토하여 이것이 실제 교육 내용으로 적용 가능한 것임을 입증하였다. ‘시집 한 권 읽기’를 통한 상호텍스트적 시 교육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트의 상호텍스트적 본질, 맥락이 텍스트의 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다. 둘째, 해석의 명료화, 이해 및 감상의 다양화를 낳는 시 수용 전략을 획득할 수 있다. 셋째, 문학에 대한 긍정적 신념 및 정서를 토대로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문학 활동을 실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학습독자가 여러 시들의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하여 다양한 맥락에 따라 다층적이고 중층적인 시적 의미를 구성해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문학 활동의 평생 주체로서 소양’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둔다. 특히 온전한 작품으로서 ‘시집 한 권’이 가지는 문학 감상의 실제적 경험은 앞으로 학습독자들이 지속적이고 자발적으로 시집 읽기 경험을 축적하게 만드는 시발점이 되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