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15 Download: 0

영유아기 부모대상 세척제 안전 사용을 위한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평가

Title
영유아기 부모대상 세척제 안전 사용을 위한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평가
Other Titles
Health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in Promoting the Safe Use of Cleaning Agents for Infants and Toddlers Parent : Health belief model application
Authors
이승희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대학원 보건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안정훈
Abstract
Even before the impact of the humidifier disinfectant event, it has been controversial that harmful substances are found in the necessities such as toothpaste, cleanser, wet tissue and sanitary napkin. As the harmfulness of life chemical products becomes controversial, the interest of related people is increasing, so that the proportion of life chemical products in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is gradually increasing, and consumers desire for safe product use is increased, and it is emerging as an urgent policy issu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the safe use of cleaning agents for infants and toddlers parent who should be especially careful about harmful components of household chemical products based on Becker's health belief model and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the effect was ver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education program to provide knowledge about harmful ingredients of cleaning agents and to prevent dangerous behavior, to provide basic education materials on correct use of cleaning agents and risk improvement measur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 kindergartens and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rea, as a 20-40-year-old woman with infant children, a total of 117 participants including 15 focus group interviews, 10 preliminary surveys, 46 experimental groups, and 46 control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the final goal of the education was to improve the possibility of behavior change for the use of cleaning agents safet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ived sensitivity and severity of the cleaning agents harmful components and related diseases, to reduce the perceived disability by cost and time burden of safe cleaning agents selection, to increase the perceived benefits of the prevention of disease when using cleaning agents safety, improved knowledge of methods and methods of use, and improved self-efficacy for safe use of cleaning agents as health beliefs. The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PPT lecture and leaflet distribution for safe use of cleaning agent. After consulting with experts, 90 minutes of training was divided into 2 classe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evaluated by the self-evaluation tool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of health beliefs through perception and use habits of the use of cleaning ag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 education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erceived sensitivity, seriousness and perceived benefit, and the perceived disord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Self-efficacy and knowledge 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and the possibility of behavioral changes to the use of cleaning agents was also significantly improv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considering the effects of education program, sensitivity and self-efficacy among health belief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sibility of behavior change. Considering the effects of education program, the perceived severity and the possibility of change of behavior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educational program, but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sensitivity, perceived disability, perceived benefit and self efficac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afe use education program of cleaning agents is effective for infants and toddlers parent to carry out health promotion behaviors safely using cleaning agent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knowledge and self-efficacy, when considered together with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program, can provide a basis for improving the health education method by suggesting that it can directly affect the improvement of health behavior change possibility.;가습기 살균제 사태의 충격이 채 가기도 전에 치약, 세척제, 물티슈, 생리대 등의 생활 필수 용품에서 유해성분이 발견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생활화학제품의 유해성분이 논란이 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생활화학제품이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제품의 안전 사용에 대한 소비자 욕구가 커지면서 유해물질 관리가 시급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Becker의 건강신념모델과 ADDIE 교수설계모델에 근거하여 생활화학제품의 유해성분에 특히 조심해야할 영유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세척제 안전 사용을 위한 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이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목적은 세척제 유해성분에 대한 지식 제공 및 위험 행동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소비자의 올바른 세척제 사용 및 위험성 개선 방안에 대한 기초 교육자료를 마련하고 세척제 안전 사용 교육프로그램의 실무 적용 및 확산을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청 지역의 어린이집과 사회복지관 8곳에서 영유아기 자녀를 둔 20-40대 여성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125명 중 8명의 탈락자를 제외하고 포커스그룹인터뷰 15명, 예비조사 10명, 실험군 46명, 대조군 46명으로 총 117명이 참여하였다. 포커스그룹인터뷰 결과를 근거로 교육의 최종 목표를 세척제 안전 사용을 위한 행동변화가능성 향상으로 설정하고, 이를 위해 세척제 유해성분 및 관련 질병에 대한 인지된 민감성과 심각성 향상, 안전한 세척제 선택에 대한 비용 및 시간 부담에 따른 인지된 장애 감소, 세척제를 안전하게 사용 할 때 질병예방에 대한 인지된 이익 향상, 올바른 선택방법 및 사용방법에 대한 지식 향상, 세척제 안전 사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향상을 건강신념 주제로 설정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은 세척제 안전 사용에 대한 PPT 강의 및 리플렛 배포로 구성하여 전문가 자문을 거쳐 1회 90분간의 교육을 2차시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평가는 세척제 사용에 대한 인식 및 사용습관을 통해 건강신념의 주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평가도구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프로그램을 적용 한 실험군은 인지된 민감성과 심각성, 인지된 이익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인지된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자기효능감과 지식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세척제 안전 사용에 대한 행동변화가능성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변인간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함께 고려했을 때 건강신념 중 민감성과 자기효능감은 행동변화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함께 고려했을 때 지식은 인지된 심각성과 행동변화가능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지된 민감성, 인지된 장애, 인지된 이익, 자기효능감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세척제 안전 사용 교육프로그램은 영유아기 부모들이 세척제를 안전하게 사용하여 건강증진행동을 실천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교육프로그램 효과를 함께 고려했을 때 지식과 자기효능감은 건강행동변화가능성 향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보건교육 방법을 개선시킬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