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4 Download: 0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음악수업 지도방안

Title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적용한 음악수업 지도방안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ing Methods of Music Applying a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 Focusing on 'Music' of the Middle School Common Curriculum
Authors
박선영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정
Abstract
본 연구는 의사소통능력과 고차원적사고력을 기르는데 효과적인 토의활동과 음악수업을 접목한 교수·학습지도방안을 설계함으로써 음악 토의수업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1세기 정보화 사회 흐름 속에서 정보를 암기하고 받아들이는 수렴적 사고보다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논리적 사고, 문제해결능력, 의사결정능력과 같은 고차원적 사고능력의 가치가 높아졌다. 학생들이 이러한 고차원적 사고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문제해결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에 대한 교육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앞으로 다가올 사회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토의 활동은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음악과 핵심역량 중 ‘음악적 창의·융합사고 역량’, ‘음악적 정보처리 역량’을 길러내기에 용이한 수업활동이다. 또한 ‘써보자’, ‘알아보자’, ‘이해해보자’의 학습활동이 교사중심으로 진행되는 학습활동인 것에 비해 ‘이야기해보자’, ‘토의해보자’, ‘발표해보자’의 학습활동은 학생중심으로 수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학생들이 수동적인 자세를 벗어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로 학습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토의활동의 높은 교육적 가치와 장점에도 불구하고 음악 수업 중에 토의활동을 적용하기 힘든 이유는 한정된 교과 수업시수의 영향이 크다. 교과 내용 전수와 실기능력 훈련만으로도 부족한 시간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토의수업을 진행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본 연구에서 케이건(Kagan)의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토의수업에 적용하려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케이건(1999)은 수업시간 전체를 필요로 했던 이전의 협동학습 모형과 달리 상황에 따라 수업시간 일부만을 협동학습 구조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제학습과 협동학습을 함께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협동학습모형을 제시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교과서에 수록된 학습활동을 토대로 하여 가능한 Kagan의 협동학습모형을 다양하게 보여줄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였고, 토의를 적극 활용하여 음악과 교수·학습지도안을 설계하였다. 본 지도안을 적용하였을 때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 구조에 학습내용을 담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협동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을 할 수 있게 한다. 모둠 내의 다른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하며 보다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학습을 하게 된다. 학생들의 높은 참여비중은 수업몰입도를 높이며 높은 수업몰입도는 높은 학업성취로 이어진다. 둘째, 일제학습을 실시할 때 학생들 개인마다 다양한 음악적 능력수준과 사회·문화적 환경차이에서 생기는 한계점을 협동학습을 통해 보완할 수 있다. 음악적 수준이 서로 다른 학생들이 정보를 주고받으며 협동하여 과제를 해결해 나가도록 하는 과정에서 상호 보완이 이루어지며 함께 성장하게 된다. 셋째, 토의활동을 통해 고급사고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주제에 관해 스스로 탐구할 기회를 가지고 창의력이 향상되며, 다른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여 다각적으로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논리력과 의사결정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넷째, 자기표현의 기회와 더불어 타인과의 소통이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의 의소통능력이 향상된다. 전통적 교실환경에서 주를 이루는 일제학습, 개별학습 구조는 교사의 지목에 의한 개인적인 발표가 이루어지며 지목받은 몇 명의 학생들에게만 자기표현의 기회가 주어진다. 이는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있어 상당히 제한적인 수업구조이다. 다섯째, 사회적 기술을 익히는데 도움이 되어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협동구조 속에서 서로 의견을 나누며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경험은 타인에 대한 배려, 나와 다른 것에 대한 인정, 자신의 역할에 대한 책임감 등을 길러주는 효과가 있어 사회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본 지도안은 실험집단을 거치지 않았고 현직 중학교 음악교사 3명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그 결과 본 지도안은 학생중심, 배움중심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도안으로,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해볼 수 있겠으며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하도록 잘 구현해내었다는 긍정적인 의견을 받았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지도안을 통하여 음악수업시간에 구조중심 협동학습과 토의활동을 적극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In this research, there is a purpos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music discussion lesson by designing a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combining ‘discussion activities’ with music classes which is effective to cultivate communication skills and high dimensional thinking skills. In the flow of informatio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high level thinking ability such as critical thinking, creativity, log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y and decision making ability is more valuable than receptive thinking which memorizes and accepts information. Educational interest has been focused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ese high-order thinking skills, and these importance will become even greater in these societies. Discussion activities ar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musical creative-convergent thinking ability' and ‘musical information-processing ability' which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esides, compared with the fact that the activities of "Let's Write", "Let's know" and "Let's Understand" are activities appropriate for teacher-centered classes, we can say "Let's talk", “Let’s discuss” and "Let's Express" are activities that are appropriate for student-centered classes. It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participation and active learning attitude rather than low participation and passive learning. Despite the high educational value and merits of discussion activities,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apply discussion activities to music lessons is due to limited music class time allocation. During a limited time, teaching contents and practical exercises already causes shortage of time, so it is difficult to conduct discussion class properly. This is why I suggest Kagan's "Cooperative Learning" to the discussion activity. Kagan(1999) has developed a cooperative learning model that is free from any curriculum contents, time allocation. And this can be applied continuously to all grades, not specific grade. Based on this advantage of kagan’s cooperative learning structure, I selected subject from textbook which can show structure as much as possible. And developed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plan by putting a lot of discussion activity. The effects expected when applying this guidance are as follows. First, by providing learning contents in the collaborative learning structure, it leads to a situation where students can learn actively.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students in the group, they become more active in their learning. Second,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students' diverse environment and musical ability deviation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It helps students who has different musical levels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in a process of exchanging information and collaborating to solve problems. Third, the application of discussion activities in music lessons helps improve the high-order thinking ability of the students. It helps students to learn by themselves, to develop creativity, to expand thinking through diverse opinions from other students, and to improve their logical and decision-making skills. Fourth, opportunities for self-expression and interaction with other students will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In this process, social skills are improved because they learn skills such as consideration, recognition for others, and responsibility for roles. This teaching·learning instruction plan was validated through three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without going through experiment group.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evaluated positively. Because it is a teaching instruction plan, which can be a student-centered, learning-centered class, can expect to be self-directed learning. It also implemented well so that you can apply cooperative learning to the actual education field. The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presented through this study will help to utilize collaborative learning and discussion activities in music class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