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60 Download: 0
사회과 교육과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연계 가능성에 관한 연구
- Title
- 사회과 교육과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연계 가능성에 관한 연구
- Other Titles
- A Study on Possibility of Linking Social Studies Education with KSL Curriculum :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Prospective Social Science Teachers
- Authors
- 한미경
- Issue Date
- 2018
- Department/Major
-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최윤정
- Abstract
- 세계적으로 인적교류가 확대되고 국제결혼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사회구성원 역시 그 문화적 배경이 다양해져가고 있으며, 특히 다문화가정의 급속한 증가는 다문화 이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로 이어졌다. 최근 교육계에서는 다문화 배경 학생들의 학습부진과 교육격차 문제를 해소하여 이들이 글로벌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다문화 배경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진학·진로지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짐에 따라 이들의 학습능력 향상을 지원하는 내용이 점점 더 주목 받게 된 것이다. 이처럼 새롭게 설정된 다문화교육 방향을 실천하기 위해 교육부는 2008년 ‘다문화학생 교육 지원 계획’을 발표하였고, 2012년에는 ‘한국어(KSL)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한국어(KSL) 교육과정은 현재 다문화 예비학교 및 연구학교 등을 통해서 시행되고 있다.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교육 목표는 다문화 배경 학생의 성공적인 학업 성취에 있기 때문에 ‘학습 한국어’라는 범주를 새로이 제시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다문화 예비학교 및 연구학교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KSL) 교육은 생활 한국어와 학습 한국어의 구분이 모호하여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육 목표를 제대로 성취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는다. 다시 말해, 우리 교육 현장의 다문화교육은 여전히 한국 문화 '적응' 교육이나 다문화 '이해' 교육의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한국어(KSL) 교육은 다문화 배경 학생으로 하여금 학습 한국어를 습득하게 하고, 나아가 교과 학습에서 성공적인 학업 능력을 펼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마련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한국어(KSL) 교육에 관한 연구가 오직 국어교육 전공에서만 주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까닭에 한국어(KSL) 교육이 다문화 배경 학생의 교과교육과 연계되어 곧 성공적인 학업 성취로 이어지기는 힘든 것으로 보인다. 사회과는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교육하고, 다문화·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민주시민을 양성하며 다문화교육의 중심축을 담당하고 있으나, 정작 다문화 배경 학생들이 공부할 때에는 가장 어렵게 느끼는 교과목 중 하나이다. 따라서 사회과교육을 전공하는 교사, 예비교사, 연구원 등은 다문화교육으로서의 한국어(KSL) 교육과 사회과 교과교육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고민이 요구되는 바이다. 또한, 현재 한국어(KSL) 교육을 실행하는 한국어 강사의 교육 전문성과 관련하여서도 꾸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더욱 효과적인 한국어(KSL) 교육을 성취하기 위해 교원양성기관이 예비교사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교사교육의 방향을 구상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2012년에 고시되어 다문화 예비학교 및 연구학교를 중심으로 5년 째 시행중인 한국어(KSL) 교육과정에 대하여 사회과 예비교사들이 얼마나 혹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그 인식을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의 일환으로서 한국어(KSL)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제 역할을 넓혀나갈 수 있는 가능성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더불어 다문화교육에 대한 사회과 예비교사의 실제적 인식을 조사하여 교원양성기관의 역할을 해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예비교사가 다문화교육 현장에 나아갔을 때 다문화 배경 학생에게 효과적으로 사회과 교과를 교수-학습 할 수 있도록 하는 교사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서울 시내 사범대학 및 교육대학원에서 사회과교육을 전공하는 사회과 예비교사들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이를 양적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크게 시나리오 부분과 설문 부분으로 구분되며, 설문 부분은 다문화교육에 대해 묻는 부분과 한국어(KSL) 교육에 대해 묻는 부분으로 나누었다. 특히 시나리오형 설문은 사회과 예비교사가 다문화교육 현장에서 발생하기 쉬운 몇 가지 갈등 상황에 놓일 것을 가정하고, 그때 본인이 느끼는 감정을 체크하게 하였다. 다문화교육에 관련하여 책 속에 진술된 것보다 현장의 생동감을 더하고자 의도하였고, 이로써 보다 직관적이고 솔직한 인식 조사 결과가 도출되기를 기대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활용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섯 가지 의미 있는 발견을 할 수 있었다. 첫째, 사회과 예비교사가 다문화사회를 경험한 양상에 따라 다문화교육과 관련 이슈에 대한 관심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과 예비교사가 다문화사회를 생활 가까이에서 직접적으로 경험한 경우에는 다문화교실 상황에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더불어 다문화교육에 관련한 최근 이슈인 한국어(KSL) 교육과정에 대해서도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 반면, 연구대상자가 다문화사회는 오직 대중매체 등 제한적인 경로를 통해서만 접해보았다고 답변한 경우, 이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낮은 관심으로 이어졌다. 둘째, 다문화교육에 관한 교사교육은 사회과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제고라는 면에서 교육 효과를 갖지만, 교육 내용이 원론에 그쳐 이를 다문화교육 현장에 적응하는 데는 어려움이 나타났다. 다문화교육을 경험한 적이 있는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주로 강의를 통해서 알게 되었다고 응답했고, 이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나리오형 설문 중 다문화교실 상황을 직면한 것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였다. 셋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긍정적인 사회과 예비교사는 다문화 배경 학생이 성공적인 학업 성취를 해낼 것이라고 기대한다. 이들은 시나리오형 설문 중 다문화교실 상황에 긍정적인 감정을 느낀다고 응답하며 교사로서 책임감을 표명하였고, 다문화교육 방법에 관하여 교사 간 논의가 오가는 상황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다문화 배경 학생의 학업 성취에 대한 열의를 보였다. 넷째, 한국어(KSL)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사회과 예비교사는 한국어(KSL) 교육을 활용한 사회과 교과교육의 교수 효능감이 높다. 시나리오형 설문에서 이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만큼 다문화교육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돌발 상황을 유연하게 대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어(KSL) 교육을 활용한 사회과 교과교육의 교수 효능감이 높은 응답자는 다문화 배경 학생을 중심으로 교육 방향을 설정하는 모습을 보이며 교사전문성의 일면을 드러냈다. 다문화가정의 청소년이자 우리나라 공교육의 학습자인 다문화 배경 학생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선행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예비교사가 다문화 배경 학생에게 성공적인 사회과 교과교육을 이루도록 몇 가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사범대학 및 교육대학원은 사회과 예비교사가 다문화교육 현장을 들여다볼 수 있는 실천적인 다문화교육 커리큘럼을 개발해야 한다.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이 사회과 예비교사의 긍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현재 교원양성기관의 다문화교육이 이론적인 까닭에 연구대상자들이 다문화교육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교육 현장과는 거리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다문화교육에 대한 현실적 접근은 사회과 예비교사가 현장에 나아갔을 때 다문화 배경 학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게 도울 것이다. 둘째, 사범대학 및 교육대학원은 사회과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교육 커리큘럼에 한국어(KSL) 교육을 포함해야 한다. 한국어(KSL) 교육을 잘 이해하고 있는 사회과 예비교사는 다문화 배경 학생에게 사회과 교과교육을 제공할 때 그 교수 효능감이 높다. 게다가 한국어(KSL) 교육을 습득한 사회과 예비교사들은 다문화교육에 관하여 보다 전문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갖추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다문화 배경 학생의 성공적인 학업 성취가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prospective social studies teachers are awar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ite of schools and the KSL curriculum.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perception of KSL education as part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study aims to broaden the role of KSL in subject education for multicutural students. Adopt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his research surveyed 257 teachers who are prepar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studies education programs on colleges of education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Perceptions abou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ite of schools and the KSL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prospective social studies teachers with multicultural society experience in person tend to have positive awareness of the multicultural classroom situations and show high understanding of the KSL curriculum. Second, prospective social studies teachers who took lessons on multicultural education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but feel distant from the situations in the multicultural classroom. Third, prospective social studies teachers with a positiv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expect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ir students. Fourth, prospective social studies teachers with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KSL curriculum have shown a high degree of efficacy in educating student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Finally, prospective social studies teachers with a high level of efficacy in teaching are oriented towards learner-centered education.
Consequently,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a methodology of education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learners, colleges of education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must provide prac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including KSL curriculum for prospective social studies teachers.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