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0 Download: 0

일반사회교육 예비교사들의 전공학술답사 사례연구

Title
일반사회교육 예비교사들의 전공학술답사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academic excursion of pre-service teacher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 the awareness on field trip
Authors
김정원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윤정
Abstract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으로써 현장체험학습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민주시민성의 함양을 궁극적인 교육목표로 하는 사회과에서 현장체험학습은 교과내용과 현실 문제를 가장 실제적이면서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학습방법이기도 하다. Dewey의 경험주의 교육철학과 구성주의 교육철학에서 그 이론적 토대를 찾을 수 있는 현장체험학습은 기존의 교육환경에서는 교실수업에 대하여 보충적이고 예외적인 학습 방법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2016년 전국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가 전면적으로 확대 시행되는 교육 여건의 변화에 따라 현장체험학습의 지도 및 교수방법에 대한 교육현장의 필요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장체험학습의 참여자이자 학습 당사자인 학습자들이 현장체험학습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해당 활동을 체계적으로 구상 및 준비하고 실행할 수 있는 책임자로서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교사 또는 예비교 사를 대상으로 한 현장체험학습 연수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는 앞으로 우리 교육현장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야 할 중요한 교육현안 및 과제 중의 한 가지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서울 소재 A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과교육과 일반사회교육전공 예비교사들이 경험한 전공학술답사 경험에 대하여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활용한 양적분석방법과 반구조화된(semi-structured) 심층인터뷰의 조사방법을 활용한 질적분석방법을 혼합한 혼합연구를 통하여, 예비교사들이 전공학술답사 체험을 통해서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가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전공학술답사를 체험하며 사회과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가? 둘째, 전공학술답사 체험이 특히 사회과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역량에 기여한 부분은 무엇인가? 셋째, 전공학술답사 체험에서 예비교사들이 느끼는 한계요소나 제한점에는 어떠한 점들이 있으며 대안은 무엇인가? 연구자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분석과 시사점을 통해 전공학술답사가 예비교사들의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인식변화와 교사교육 프로그램으로써 전공소양 증대나 교직 역량강화에 어떠한 기능이나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학창시절 현장체험학습을 경험하였는지의 여부와 예비교사들이 사회과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 교수자중심의 강의법을 선택하는지 아니면 현장체험학습을 포함한 학습자중심의 방법((야외)현장학습, 토의학습, 협동학습)을 선택하는지의 여부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예비교사들의 평소 일상적인 여행 경험 및 빈도와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방법 선택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즉, 예비교사들의 일상적인 야외 활동 경험은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방법의 중요도에 대한 선택 및 인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어려운 데 비해, 공식적인 학교 교육과정에서 얻어지는 야외 학습활동 경험과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습방법 중요도에 대한 선택 및 인식 간의 관계 간에는 영향을 미치며 상관성이 높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점차 강조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환경에서 예비교사가 학습자중심 교수학습방법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그 역량 강화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데에 사회과 예비교사 교육프로그램으로써 전공학술답사가 유의미한 역할과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직접적으로 시사한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해당 전공학술답사를 통해 다문화 역량을 강화하고 장차 교실 현장에서 현장체험학습을 구상하고 실행하게 될 때를 대비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는 인식을 보여주었다. 이는 이태원이라는 해당 답사의 장소 선정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다. 예비교사들은 전공답사 이전에 개인적으로 방문한 일상적·개별적 이태원 방문경험을 통해서는 이태원에 대한 편견 형성이나 해소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전공학술답사라는 집단적· 공식적·교육적 경험을 통해서는 이태원에 대한 긍정적 인식 변화에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서 전공학술답사가 예비교사 교육프로그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역량강화에 미치는 기능과 효과에 대하여 시사한다. 셋째,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이 전공답사 프로그램에서 느끼는 만족도가 높을수록 답사개념 자체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교사들의 답사 만족도 제고와 답사 개념에 대한 긍정적 인식변화 제고를 위하여 전공학술답사 프로그램의 개선점을 살펴본 결과 예비교사들이 전공답사에서 느끼는 제한점으로는 먼저, 예비교사들은 이상과 현실의 괴리로써 보다 구조화된 답사 사전준비 과정에의 동참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부담은 지고 싶지 않은 양가적인 인식을 동시에 보여주면서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답사활동지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음으로, 보다 일반사회교육 전공만의 정체성을 살리는 전공학술답사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요구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교사들은 장소 선정 측면에서 보다 일반사회와의 교과적합도가 높은 장소 선정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과 일반사회와 관련된 주제·테마 중심의 답사의 제안이라는 구체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일반사회교육 전공 예비교사교육에 있어 전공학술답사와 현장체험학습에 대한 실제적·학술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Field trip is one of the highly significant method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aims at cultivating democratic citizenship as its ultimate educational goal. At the same time, it is the most practical and integra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at can deal with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nd reality. Field trip, which is theoretical originated from Dewey's Experiential educational philosophy and Constructivist educational philosophy, has been treated as a supplementary and exception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classroom instruction in the existing educational environment. From 2016, along with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Free Semester in the nationwide middle school education system, the necessity and interest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field trip has expanded. For appropriate performance of field trip by learners who are participants as well as learning agencies of the study, the role of a teacher responsible for the systematic conception,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activity is most crucial.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field trip and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is one of the significant topics to be actively investigated in the field of education. Based on a case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academic excursion in the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t A Women's University in Seou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teachers' awareness on academic excursion, its educational effects, and limitations. In this context,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a) How do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s of usual travel and field trip experiences in the past affect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sidered crucial social studies? (b) How do the preliminary place recognition and experiences of the academic excursion affect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he pre-service teachers of social studies? (c) What are the constraints and limitations felt by the pre-service teachers in academic excursion, and what are the alternatives?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ology, the mixed research method, in which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using pre-survey and post-survey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us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on academic excursion experiences of pre-service teachers, was used. The finding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a) Whether pre-service teachers have experienced field trip during their school days and whether pre-service teachers choose instructor-centered/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as the most vital teaching method in social studies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usual and individual travel experiences and frequency of the pre service teach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hoic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emphasizes learner-centered education, such results suggest that academic excursion can play a meaningful role and function as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learner-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method and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ir competencies. (b) The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at they could strengthen their multicultural competence through the field trip and to develop abilities to prepare of design and practical exercise of field trip in their future educational fields. This was closely related to the selection of the site: Itaewon. Although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affected by prejudice formation or dissolution against Itaewon originated from their ordinary and individual visits to Itaewon, the grouped, formal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academic excursion led them to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Itaewon. This suggests that academic excursion, as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has positive functions and effects in strengthening multicultural competence. (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academic excursion concept itself changed positively as the satisfaction of the academic excursion was higher. This suggests the more pre-service teachers satisfy academic excursion program, the more pre-service teacher's awareness on field trip is changed positively. In terms of seeing on the constraints and limitations of academic excursion program felt by pre-service teachers, for the improvement point for the pre-service teacher's satisfaction on academic excursion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the details are as follow. The first point is related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the pre-service teachers present an ambiguous awareness in which they think of the necessity of participating in a more structured excursion preparation process but simultaneously do not want additional individual burden. They suggest alternatives and in this process the pre-service teachers show an awareness of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the action paper for learning. The next point is related to the unique identity of social studies major. The preservice teachers suggest the necessity of selecting excursion places with a higher academic relevance to the social studies and themes and topic-related exploratio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practical and academic materials on academic excursion and field trip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social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