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4 Download: 0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효능감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효능감 구성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Reading Efficacy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Authors
최정윤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스스로를 믿는 신념인 일반적 자기 효능감의 개념을 바탕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가 가지는 성공적인 한국어 읽기에 대한 신념을 한국어 읽기 효능감(Reading Self-efficacy)으로 정의하고 그것의 실체를 구체화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간 한국어 교육에서는 읽기의 정의적 측면에 대해 검증하는 연구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다. 최근 들어 정의적 요인의 통합적 실체로서 읽기 동기와 읽기 태도에 대한 연구가 전개되기 시작했지만, 통합적 실체를 이루고 있는 개별적 요인인 읽기 효능감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미진하다. 이는 읽기 효능감의 세부 구성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들이 부족하고 읽기 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보인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 읽기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요인에 관심을 가지되, 그 중에서도 읽기 동기를 이루는 주요인으로서의 ‘읽기 효능감’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읽기 효능감 측정 문항을 개발한 후, 측정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읽기 효능감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의 실체를 구체화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 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읽기 효능감이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고 읽기교육에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다음은 본 연구의 구성을 제시한 것이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는 목적과 필요성을 언급하고,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한국어교육에서의 자기 효능감에 대한 연구와 한국어교육에서의 언어 기능별 효능감에 대한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러한 후 본 연구 의 연구 문제와 가설을 제시하며 이에 대한 근거를 밝혔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보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은 일반적 자기 효능감에 대한 부분과 영역-특수적인 언어 기능별 효능감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일반적 자기 효능감에 대한 부분에서는 일반적 자기 효능감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론들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언어 기능별 효능감에 대한 부분에서는 언어의 네 가지 기능에 해당하는 말하기·듣기·읽기·쓰기 효능감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이론들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그리고 한국어 읽기 능력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구성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읽기 능력에 대한 여러 이론들의 관점을 살펴본 후 본 연구에서 기반으로 삼을 한국어 읽기 능력의 하위 구성 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한국어 읽기 교육의 등급별 목표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할 한국어 읽기 효능감 측정 문항의 수준을 설정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에 대해 밝혔다. 그러한 후에 본 연구에서 자료 수집 도구로 사용한 읽기 능력 측정 평가지와 읽기 효능감 측정 설문지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연구 절차와 자료 분석 방법에 대해 상세히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자가 제작한 한국어 읽기 효능감 측정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여 한국어 읽기 효능감의 구성 요인을 설정하였다. 문항의 양호도를 통계적인 방법으로 확인한 후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읽기 효능감의 구성 요인을 설정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Ⅳ장의 마지막에서는 이러한 한국어 읽기 효능감의 구성 요인을 바탕으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효능감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들을 정리하여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처음으로 읽기 효능감에 대한 측정 문항을 설계하여 구성 요인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과, 읽기 효능감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 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읽기 효능감을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하고자 하는 교사나 자신의 읽기 효능감을 높이고자 하는 학습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factors which is composed in reading efficacy of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Additionally, it aims to show what differences in reading efficac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have, there are the meaningful differences of teacher’s support. The study defines reading efficacy as the belief in the ability of individual’s own reading competence. A reading efficacy scale was developed based of the constructs of Korean reading ability to be achieved and major sources of self efficacy. This study is orginized as followed: ChapterⅠClearly mention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Moreover, ChapterⅠclarifies major research problems, and states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research problems. ChapterⅡis ab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elf efficacy and components of Korean reading ability. First, the concept, definition of self efficacy are investigated, and major sources of self efficacy and measurement of self efficacy are studied. Next, we set the components of Korean reading ability based on previous theories on the components of reading ability. Thus, this chapter is the basis for making the reading efficacy measurement tool of this study. Chapter Ⅲ elaborate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according to research participants of experiment, research tools, detailed procedures and analysis methods. Chapter Ⅳ describes the results of date analysis. First, The mean, standard deviation, response frequency, reliability, and correlation of the question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goodness of the measurement questions. And then, factor analysis on Korean reading efficacy was carried out. There are five factors that construct Korean reading efficacy of learners and have explanation capability 78.919% of the all variance. It is composed of 1. Reading Background Knowledge and Vocabulary Ability factor(49.429%), 2. Success Experience factor(10.857%), 3. Learner's Psychological state factor(7.004%), 4. Reading Strategy factor(6.848%), 5. Social Recognition factor(4.781%). Thus, as a result, reading efficacy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learner’s proficiency. Reading efficacy of the advanced learners was higher than the intermediate learners, especially for factor of 1. reading background knowledge and vocabulary ability and factor of 2. success experience. This is probably because the advanced learners have more background knowledge and vocabulary about reading materials than intermediate learners. Also, this chapter makes suggestions to reading instruction that improve reading ability of Korean learners positively. First, it is suggested that teacher should focus on instruction of reading about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and vocabulary in order to improve their reading comprehension. Second, helps learners to experience successful reading performances, so learners assume that their reading ability has improved. Third, prepares a positive and comfortable reading environment physically and mentally. Because the negative physiological status and emotion make lower learner’s reading efficacy. Forth, teaches a variety of reading strategies. lt will help improve learner’s reading skills required in the reading process. Fifth, social recognition, such as praise and positive feedback on the learner’s reading from family, friends and others, encourages the learner's reading efficacy. Chapter Ⅴ summarizes the overall results of the study. First of all, this study developed the first reading efficacy scale for Chinese speaking Korean learners and tested its validity. Second, the factors that affect reading efficacy were provided. The reading efficacy scale produced b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class design and teacher preparation for class. Moreover, this can be helped to carry out further research on reading efficacy. Finally, suggestions for instruction according to learner’s proficiency were outlined. This also can be used as a basic reference for the design and preparation for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