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91 Download: 0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인식 조사 및 실제 오류 분석 연구

Title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인식 조사 및 실제 오류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Japanese Korean learners’ perception about the Korean monophthong’s difficulty level and their pronunciation error analysis
Authors
조윤주
Issue Date
2018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한국어를 학습한 경험이 없는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들의 인식과 발음 오류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과 실제 발생되고 있는 오류 간에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전까지 음운론적으로 또는 음성학적으로 한국어 단모음과 일본어 단모음에 대한 비교 분석 및 발음 오류 분석, 한국에서 학습한 일본인 학습자들의한국어 발음 난이도 인식에 대한 조사는 이루어졌으나, 한국에서 학습한 경험이 없는 일본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많이 발생되는 발음 오류 분석이나, 학습자들의 난이도 인식과 발음 오류 간의 상관성을 알아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학습한 경험이 없는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를 통해 인식을 확인하고, 음성 녹음 청취 실험 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의 발음 오류의 양상을 분석하였으며, 이 두 결과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4개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에서는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한국어 발음 교육에 대한 인식을, 두 번째 연구 문제에서 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단모음 난이도에 대한 인식을, 세 번째 연구 문제에서는 학습자들의 발음에서 많이 발생되고 있는 발음 오류 양상을, 네 번째 연구 문제를 통해서는 학습자들의 한국어 단모음 난이도 인식과 발음 오류 양상 간의 상관성의 여부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문 조사에 참여한 학습자의 수는 총 60명이었으며, 음성 녹음 청취 실험 조사에 참여한 학습자는 22명이었다. 이들은 일본 도쿄 소재 대학교 1학년으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습자들로만 구성하였다. 먼저, 60명의 참여자가 대면 설문 조사에서 총 18문항에 대해 답변하였고, 이들 가운데 무작위로 선정된 22명이 음성녹음 청취 실험 조사에 참여하였다. 청취 실험은 연구자 본인이 직접 실시하였으며, 채점자 내 신뢰도의 확보를 위하여, 음성 파일을 편집하여 청취 순번을 무작위로 섞어 일주간의 시차를 두고 5번을 실시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어 진 결과를 종합하여 기술 통계와 빈도 분석, 비모수검정인 Kruskal-Wallis 검정 및 Mann-Whitney U 검정, 모수검정인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t-검정, 비모수집단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관성 분석 방법인 pearman의 상관분석 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구 문제 1번 ‘한국에서 학습한 경험이 없는 일본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발음 교육 전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와 관련해서는 한국어 발음 학습의 중요성, 학습자들의 목표 수준, 발음 전문 수업의 수강 경험 유무, 발음 전문 수업의 수상 희망 여부 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전원 한국어 발음 학습이 중요하다고 답하였으며, 그 가운데 86.67%의 응답자들이 ‘매우 중요하다’고 답변하였다. 또 한 목표 수준에 있어서도 80% 이상의 응답자들이 ‘모어 화자와 유사한, 외국인 같지 않은’수준을 목표로 하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 53.33%의 응답자들은 ‘모어 화자 수준’이라는 답변을 하여, 일본인 학습자들의 발음 목표 수준이 높다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단, 그럼에도 발음 전문 수업의 수강 경험은 전체에서 단 한 명이었으며, 응답자 전원이 발음 전문 수업 수강 희망 여부에 대해 ‘가능하면 듣고 싶다’, 56.67%가 ‘반드시 듣고 싶다’라는 답변을 하여, 일본 내에서 한국어 발음에 대한 수업이 개설되어야 할 필요성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문제 2번 ‘한국에서 학습한 경험이 없는 일본인 학습자들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한국어 단모음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전체 학습자들의 인식을 먼저 파악한 이후, 학습자 수준 및 학습 방법을 변인으로 하여 각각 연구 문제 2-1, 2-2로 설정, 차이 여부를 함께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ㅓ’ > ‘ㅡ’ >> ‘ㅗ’ > ‘ㅜ’ > ‘ㅐ’ > ‘ㅣ’ > ‘ㅏ’순으로 어렵게 느끼고 있 음을 파악할 수 있었고, 연구 문제 2-1 및 2-2에서 변인별 난이도 인식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문제 3번 ‘한국에서 학습한 경험이 없는 일본인 학습자들에게 실제 많이 발생되는 단모음 발음 오류는 무엇이며, 어떻게 발음하고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가장 많은 오류가 발견된 모음은 ‘ㅜ’(총 97개, 63%)였으며, 두 번째는 ‘ㅗ’(총 47개, 31%), 세 번째는 ‘ㅓ’(총 19개, 12%), 그다음은 ‘ㅐ’(총 2개, 1%), 그 다음은 ‘ㅏ’(총 1개, 1%)로 확인되었다. 또한 ‘ㅣ’와 관련된 오류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를 난이도 인식과 동일하게 학습자 수준 및 학습 방법을 변인으로도 살펴보았는데, 학습자 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전혀 드러나지 않았으나, 학습 방법에 따라서는, 독학에 비해 교수 학습의 경우, ‘ㅜ’오류 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각각의 오류 양상을 살펴본 결과, ‘ㅜ’의 경우 주로 /ㅡ/와 유사하게 발음되었으며, 이 경우 원순성의 결여가 가장 큰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ㅗ’는 주로 /ㅓ/와 유사하게 발음되었으며, 일부 /ㅡ/와 유사하게 발음 되는 경우도 존재했다. 단, 두 경우 다 ‘ㅜ’의 경우와 같이 원순성의 결여가 큰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ㅓ’의 오류는 /ㅗ/와 유사한 경우가 대부분으로, 한국어 ‘ㅓ’에는 원순성이 전혀 없는 것과는 달리, 한국어 ‘ㅗ’에 비해서는 약하지만 일부 원순성의 발현으로 인해 /ㅗ/와 비슷하게 들리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원순성에 대한 교육이 더 이루어 져야 함을 파악할 수 있다. 연구 문제 4번 ‘학습한 경험이 없는 일본인 학습자들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한국어 단모음과 실제 오류가 많이 발생되는 단모음은 동일한가?’를 살펴본 걸과, 전체 단모음을 대상으로 살펴봤을 때는 전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한국어와 일본어의 유사도 및 학습자들의 난이도 인식 등을 반영하여 ‘ㅓ’, ‘ㅗ’, ‘ㅜ’, ‘ㅡ’만을 대상으로 살펴본 결과, 상관성이 약하기는 하나, 난이도 인식과 오류 수가 음의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설문 조사 및 음성 녹음 청취 실험 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의 인식 및 인식과 오류 간의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일본 내 한국어 교육에서는 발음 전문 수업이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학습자들이 발음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와 관련된 수업을 수강하고 싶어 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의 한국어 단모음 난이도 인식 및 실제 발생되는 오류를 비교하여, 학습자들의 난이도 인식과 오류 양상이 다름을 확인하였으며, 유사도와 난이도 인식을 반영하여 볼 경우, 오히려 음의 상관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앞으로 일본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경우, 한국어 발음 교육에 조금 더 관심을 쏟을 필요가 있으며, 발음에 있어서도 현재까지 주로 이루어져 온 음운론적 대조를 통한 방식 보다는 음성학적 유사성과 학습자의 인식과 오류 수의 상관관계 등을 를 추가적으로 반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을 기초로, 여러 방법적인 면들을 보완 및 추가하여, 발음 오류를 개선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길 바란다.;This study’s purpose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 about the Korean monophthong’s difficulty level and pronunciation errors especially Japanese Korean learners who never had studied in Korea. Lots of studies found out Japanese learners want to get the clear pronunciation more then the others. If learners are not able to get the clear pronunciation, they might lose their confidence. These days, many Japanese learners study Korean in Japan. With increasing number of students wanting to study Korean in Japan, figuring out the Japanese learners’ perception and pronunciation errors who never had studied in Korea and current situation of teaching Korean in Japan is really important for teachers who want to teach Korean in Japan. There were many studies investigating Japanese learners’pronunciation errors till current, but it’s hard to find studies which are focused on Japanese learners’ perception and also pronunciation errors who never had studied in Korea. In consideration of this situation, This study pursues to know Japanese Korean learners’perception about the Korean monophthong’s difficulty level and their pronunciation errors and also the correlation of both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and voice recording test. There were four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Japanese Korean learners’overall perception whose never had studied in Korea about the teaching system especially Korean pronunciation? 2. Which Korean monophthong is most difficult to them? And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learning level or how they learn Korean’s monophthong? 3. Which Korean monophthong is made the most mistakes by Japanese learners? 4. Is there any correlation with their perception about the Korean monophthong’s difficulty level and pronunciation errors? With those research questions, 6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22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voice recording test. And after finishing both tests, tests’ results were u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Through the analysis result in the first research question, learners think that Korean pronunciation is really important. All of respondents want to pronounce unlike a foreigner. Moreover, more than 50% of respondents want to pronounce like a Korean. Also, all of respondents want to take a specialized pronunciation class. However, only one respondent has taken the specialized Korean pronunciation class. Secondly, with question 2, they think the pronunciation of ‘ㅓ’is most difficult in the Korean monophthong. In order to difficulty which they think is ‘ㅓ’>‘ㅡ’>>‘ㅗ’>‘ㅜ’>‘ㅐ’>‘ㅣ’>‘ㅏ’. they think like this because that monophthong does not exist in Japanese. And there is no difference according to learning level or how they learned. Third, ‘ㅜ’was made the most mistakes by respondents. About 63% of records were errors. Respondents made mistakes ‘ㅜ’ like /ㅡ/, ‘ㅗ’ like /ㅡ/ or /ㅓ/ and ‘ㅓ’ like /ㅗ/ more the twice when they pronounced. And every errors relate with the round. Lastly, when trying to 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whole of Korean monophthong and respondents’ perception, there is no correlation with the perception about the Korean monophthong’s difficulty level and their errors. However,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Korean’s monophthong and Japanese’s and the perception about the Korean monophthong’s difficulty level, testing just ‘ㅓ’ and ‘ㅡ’, ‘ㅗ’, ‘ㅜ’, there is a negative-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about the Korean monophthong’s difficulty level and respondents’ errors. To conclude, this study investigated Japanese Korean learners’perception the Korean monophthong’s difficulty level, their pronunciation error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both. with four research questions. Through results, it was possible to know learners’perception such as, how they think about the teaching system especially Korean pronunciation, which Korean monophthong is most difficult to them, their errors’form, and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and errors. Trying to teach Korean pronunciation better, learners’perception, their errors’ form and the correlation between both have to include the teaching system. Thus it needs more investigations by many direc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