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정우-
dc.contributor.author이은홍-
dc.creator이은홍-
dc.date.accessioned2018-03-06T16:32:35Z-
dc.date.available2018-03-06T16:32:35Z-
dc.date.issued2018-
dc.identifier.otherOAK-0000001485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4857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41029-
dc.description.abstract시 감상은 독자가 시 텍스트에서 포착한 감각을 능동적으로 재구성하는 활동이다. 이 논문은 학습자의 감상문과 마인드맵을 통해 감각 재구성 양상을 파악한 결과를 바탕으로 감각 재구성을 위한 시 감상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통해서 시 감상 교육이 시에 대한 의미 이해에 그치는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가 시와 예민하게 교감할 수 있는 능력을 높이며, 감각의 재구성과 시의 자기화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시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감각은 주체가 외부 세계로부터 떠올린 상이다. 일상적인 지각 과정에서 주체는 이전에 가지고 있던 자신의 지식을 바탕으로 이 외부 세계로부터의 상을 유의미한 대상으로 재인한다. 그러나 여러 요소들이 독자적인 결합의 맥락 속에 배치되어 있는 시를 지각할 때 독자는 쉽게 재인될 수 없는 불명료한 상태로 감각을 수용하게 된다. 시 감상은 이러한 불명료한 감각을 나름의 방식으로 명료하게 만들어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독자는 자신이 이미 알고 있고 익숙하게 자동화된 여러 지식과 경험들을 다시 살펴봄으로써 자신의 감각을 이전과 다른 상태로 만든다. 독자의 입장에서 볼 때 시 텍스트는 자신의 감각을 재구성하도록 추동하는 이질적 대상이며, 독자는 시 텍스트 안에 있는 여러 감각 대상들이 형성하는 비일상적이고 낯선 관계들 사이에서 감각 재구성의 근거를 마련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질적 시 텍스트 수용 과정을 통해 독자는 궁극적으로 자신을 재구성하는 존재의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비평가와 같은 숙련된 감상자들의 여러 평문에는 이 감각의 재구성이 감상의 과정에 지속되는 양상을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시 텍스트를 수용하면서 정태적이고 부분적인 지식의 재생이 아니라 역동적인 체험의 장을 구축하였으며, 감각 대상들을 확장하고 고정된 기존의 감각들을 새롭게 질서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감각 재구성으로서의 시 감상이 교육의 장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의 시 감상 텍스트를 수집 ․ 분석하여 ‘시 텍스트와의 접촉’, ‘감각 형성의 심화와 변화’, ‘감각의 표현’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우선 ‘시 텍스트와의 접촉’ 에서는 학습자가 시 텍스트를 관찰하고 이로부터 의미화 가능성을 모색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동일한 시적 대상이라도 더 정확하고 세밀하게 관찰하려는 학습자가 있었다. 그리고 관찰 대상으로부터 명료하게 감각을 형성하거나, 감각을 명료화하지 않고 지각이나 의미로 수렴하거나 발산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감각 형성의 심화’에서는 학습자가 감각들을 종합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시 읽기 과정에서 감각들이 종합될 방향을 고려하면서 수렴적인 의미 계열을 구성하고, 감상문 쓰기 과정에서 수렴적인 의미에 부합하는 감각 대상들만을 선택하여 종속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경우와, 시 읽기 과정에서 감각들이 종합될 방향을 미리 고려하지 않고 발산적으로 의미 계열을 구성하며, 감상문 쓰기 과정에서 종합 가능한 감각들만 선별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감각 대상을 미세하게 관찰하면서 감각들의 관계를 명료화하는 방향으로 감상문을 쓴 경우와 감각 대상을 거시적인 의미 범주에 귀속시키면서 주제 중심으로 감상문을 쓴 경우가 있었다. ‘감각 형성의 변화’에서는 학습자가 다시 읽기 과정에서 감상의 오류를 발견하거나, 불명료했던 감각을 명료화하려고 할 때 감상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감각의 표현’에서는 감상문 쓰기 과정을 통해서 감각의 표현이 축소되거나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감상이 감각의 차원에서 타자의 언어적 표현에 주목하면서, 이로부터 독자의 체험을 구성하는 고유한 특질로서 감각을 형성하는 것일 때, 시에 대한 이해는 타자에 대한 이해일 뿐 아니라 시에 대한 예민한 자기화의 과정이기도 하다. 이러한 지향 속에서 감각 재구성을 위한 시 감상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작가의 언어 선택을 유의미한 감각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자신의 기억을 재구성 대상으로서 환기하고 성찰하면서 변화시키는 교육 내용이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가 감각을 세밀하게 변별하면서도 상호 관계성을 심화하는 가운데 시를 음미할 수 있도록 하며, 시 감상에서 형성한 감각을 표현하기 위해서 감상문에서 자신의 언어 선택을 종합적으로 조직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한다.;The poetry appreciation is an activity that the reader actively reorganizes the sensation which he catches in the poetry 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for the reconstruction of sensation based on the result of understanding the pattern of sensation reconstruction through the mind map and appreciation reports of learners. This study tries to suggest a new direction for poetry education through which the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can overcome the limitation of merel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oetry, and enhance the ability of susceptible communicating with poetry enabling the reconstruction of sensation and the appropriation of poetry. The sensation is an image that the subject associates with from the outside world. In ordinary perception process, the subject recognizes this image from the outside world as a meaningful object based on his existing knowledge. However, when perceiving poetry whose elements are placed in the context of a unique combination, the reader accepts unclear sensations that can not be easily recognized. Poetry appreciation is the process of clarifying these obscure sensations in its own way. The reader differentiates his sensations by the retrospect of his existing knowledge and familiar experienc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reader, poetry is a different object that drives to reconstruct his sensations, and the reader establishes a basis for the reconstruction of sensation among the unusual and unfamiliar relations formed by the various sensory objects in the poetry text. Through this process of accepting different poetry, the reader eventually experiences a change of being existence with reconstructing himself. In many appreciation reports of experienced readers such as critics, the reconstruction of sensation tends to be continuously appeared in the process of appreciation. Specifically, it embraces the poetry text and builds a dynamic experience, not a static and partial reproduction of knowledge, and expands the sensory objects and newly arranges the existing fixed sensations. To investigate the specific aspects of poetry appreciation regarding the reorganization of sensation for education, this study divides the learner’s poetry appreciation into 'contact with poetry text', 'deepening and changing of sensation formation', and 'expression of sensation'. First of all, in the 'contact with poetry text', the learner showed a tendency to observe the poetry text and look for the meanings of it. Some learners tried to observe poetic objects more precisely. And there is a tendency to form a clear sensation from a poetic object, or converge/diverge into perception/meaning without clarifying the sensation. In the 'deepening of sensation formation', the aspect of the learner’s synthesis of sensations is handled. There were cases where the learner constructs a convergent meaning series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integrated sensations in the poetry reading, and selects only the sensory objects that conform to the convergent meaning in the writing of appreciation reports, or the learner constructs a divergent meaning series without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integrated sensations in advance, and selects only the sensations that can be synthesized to construct the meaning in the writing of appreciation reports. Also, there were cases where an appreciation report was written in the direction of clarifying the relation of sensations while specifically observing the sensory objects or a report was written around the topic while including the sensory object in the macroscopic meaning category. In the 'changing of sensation formation', the appreciation was changed when the learner tried to clarify unclear appreciations or found his errors of appreciation in the process of re-reading. In 'expression of sensation', expressions of sensation were reduced or enlarged through the writing of appreciation reports. When the appreciation focuses on the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other in the level of sensation and forms a sensation as a unique characteristic that constructs the reader’s experience, the understanding of poetry is not only an understanding of the other but also a susceptible appropriation for poetry. In this approach,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for the reconstruction of sensation should provide the contents in which the learner actively accepts the writer’s words as meaningful sensory objects, and changes his memory by retrospect and evoking. In addition, a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developed in which the learner can appreciate poetry while deepening the interrelationship and specifically distinguishing the sensations and to synthetically organize the selection of words in the appreciation report to express the sensations formed in the poetry appreci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사 검토 5 C. 연구 방법 13 1. 연구 대상 14 2. 자료 수집 방법 및 절차 15 3. 자료 분석 방법 및 절차 24 Ⅱ. 시 감상 교육과 감각 31 A. 시 감상에서 감각 재구성의 원리와 특징 31 1. 시 감상에서 감각 재구성의 원리 31 2. 감각 재구성의 시 감상의 특징 44 B. 시 감상 교육에서 감각 재구성의 과정 52 1. 역동적인 감상 체험의 장 구축 52 2. 감각의 지속적 재구성 63 Ⅲ. 학습자의 감각적 시 감상 양상 72 A. 시 텍스트와의 접촉 74 1. 시 텍스트 관찰 74 2. 의미화 가능성 모색 81 B. 감각 형성의 심화와 변화 99 1. 감각 형성의 심화 99 2. 감각 형성의 변화 121 C. 감각의 표현 133 1. 감각의 제시 133 2. 자기표현 형식의 선택 138 Ⅳ. 감각의 재구성을 위한 시 감상 교육의 실제 143 A. 감각의 재구성을 위한 시 감상 교육의 지향 143 1. 타자와의 공명적 소통 143 2. 시에 대한 예민한 자기화 147 B. 감각의 재구성을 위한 시 감상 교육의 내용 150 1. 개방적지속적 관찰 150 2. 기억의 환기 및 재구성 158 C. 감각의 재구성을 위한 시 감상 교육의 방법 167 1. 시에 대한 음미 167 2. 감상의 자기표현 172 Ⅴ. 결론 179 참고문헌 183 부록1. 마인드맵 1차 활동지 192 부록2. 마인드맵 2차 활동지 199 부록3. 감상문 필자와의 인터뷰 설명서 204 ABSTRACT 2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826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감각의 재구성으로서의 시 감상 교육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as Reconstruction of Sensation-
dc.creator.othernameLee, Eun Hong-
dc.format.pageix, 208 p.-
dc.contributor.examiner정소연-
dc.contributor.examiner정재찬-
dc.contributor.examiner최미숙-
dc.contributor.examiner김지혜-
dc.contributor.examiner김정우-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1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